생활치료센터 입소자 관리 부실…입증은 유족 몫?

입력 2022.03.24 (19:08) 수정 2022.03.24 (19: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의 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에서 숨진 채 발견된 남성의 사인이 복막염으로 밝혀졌습니다.

응급 대처만 빨랐더라도 남성을 살릴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생활치료센터의 부실한 입소자 관리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민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0대 남성이 입소 8일만인 지난달 1일 숨진 채 발견된 부산의 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결과 남성의 사인은 코로나19가 아닌 십이지장 궤양 천공에 의한 복막염이었습니다.

숨진 남성은 당뇨와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는데, 입소 전 작성한 상태 기록지에도 이런 점이 적혀 있습니다.

당뇨 같은 만성질환자는 생활치료센터 운영 지침에 따라 수시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하지만 의료진이 작성한 일지에는 남성이 복통을 호소하자 '소화제 3알'을 줬을 뿐입니다.

이후에도 남성이 가슴 답답함 등 통증을 호소한 게 확인되지만, 숨진 채 발견되기 전 나흘 동안 병원 이송 같은 적극적인 조치는 없습니다.

발견 직전 하루 동안은 자가격리 앱에 접속하지 않고 방 앞에 놓인 도시락도 가져가지 않았지만 확인 과정 역시 없었습니다.

운영지침에는 "연락이 되지 않은 경우 신속히 직접 방문해야" 한다고 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은 겁니다.

센터를 운영한 방역당국은 "관리에 미흡한 부분이 일부 있다"면서도 "배상 등 행정적으로 지원할 수 없는 부분은 유족이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의 방역 정책을 따랐던 유족은 이제 자치단체 등을 상대로 소송을 벌여 잘잘못을 가려내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유족 : "너무 억울하게 죽었잖아요. 그러니까 할 수 있는 건 최선을 다해야 하는데 솔직히 방법도 잘 모르고 어디 가서 얘기해도 들어주는 사람이 없고…."]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생활치료센터는 88곳, 지난해 인천과 충남에 이어 올해 서울에서도 생활치료센터 입소자가 숨지는 등 관리 부실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수사에 나선 경찰은 센터 관계자를 불러 관련 규정이 지켜졌는지를 조사하는 등 관리 부실과 이번 사건과의 인과 관계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관리 부실…입증은 유족 몫?
    • 입력 2022-03-24 19:08:55
    • 수정2022-03-24 19:17:45
    뉴스7(전주)
[앵커]

부산의 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에서 숨진 채 발견된 남성의 사인이 복막염으로 밝혀졌습니다.

응급 대처만 빨랐더라도 남성을 살릴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생활치료센터의 부실한 입소자 관리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민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0대 남성이 입소 8일만인 지난달 1일 숨진 채 발견된 부산의 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결과 남성의 사인은 코로나19가 아닌 십이지장 궤양 천공에 의한 복막염이었습니다.

숨진 남성은 당뇨와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는데, 입소 전 작성한 상태 기록지에도 이런 점이 적혀 있습니다.

당뇨 같은 만성질환자는 생활치료센터 운영 지침에 따라 수시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하지만 의료진이 작성한 일지에는 남성이 복통을 호소하자 '소화제 3알'을 줬을 뿐입니다.

이후에도 남성이 가슴 답답함 등 통증을 호소한 게 확인되지만, 숨진 채 발견되기 전 나흘 동안 병원 이송 같은 적극적인 조치는 없습니다.

발견 직전 하루 동안은 자가격리 앱에 접속하지 않고 방 앞에 놓인 도시락도 가져가지 않았지만 확인 과정 역시 없었습니다.

운영지침에는 "연락이 되지 않은 경우 신속히 직접 방문해야" 한다고 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은 겁니다.

센터를 운영한 방역당국은 "관리에 미흡한 부분이 일부 있다"면서도 "배상 등 행정적으로 지원할 수 없는 부분은 유족이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의 방역 정책을 따랐던 유족은 이제 자치단체 등을 상대로 소송을 벌여 잘잘못을 가려내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유족 : "너무 억울하게 죽었잖아요. 그러니까 할 수 있는 건 최선을 다해야 하는데 솔직히 방법도 잘 모르고 어디 가서 얘기해도 들어주는 사람이 없고…."]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생활치료센터는 88곳, 지난해 인천과 충남에 이어 올해 서울에서도 생활치료센터 입소자가 숨지는 등 관리 부실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수사에 나선 경찰은 센터 관계자를 불러 관련 규정이 지켜졌는지를 조사하는 등 관리 부실과 이번 사건과의 인과 관계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