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인물] 일본 또 역사 왜곡…일제 강제동원 역사관 건립 의미는?

입력 2022.03.31 (19:53) 수정 2022.03.31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일본이 역사교과서 검정 과정에 조선인 강제징용이나 위안부의 강제성을 삭제해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오늘 '이슈앤인물'에서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을 대변하고 계시는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지금 일제 강제동원 시민모임에서 역사관 건립 추진하고 계시죠.

어떻게 추진하게 되신 건가요?

[답변]

우선 벌써 일본으로부터 광복을 맞은 지가 벌써 77년째에 이르렀습니다.

너무 많은 시간이 지났죠.

당시 많이 계셨던 피해자분들도 대부분 돌아가시고 올해 정부 기록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국외로 강제동원되신 분 중에서 현재 생존자가 전국적으로 1815명에 불과합니다.

이분들 역시 몇 년을 앞두고 있지 않습니다.

이런 명백한 상황에서 과연 무엇으로 그 당시의 시대적 아픔을 얘기를 할 것인가 결국 역사관 건립을 통해서 지속적인 역사 교육이 필요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앵커]

그래서 이번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출마하는 후보들에게 역사관 건립을 공약으로 채택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하셨는데 왜 그렇게 채택을 요청하시는 건가요?

[답변]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지 않고서는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사실 저희 단체도 지난해에 시민들 뜻을 모아서 부지나 공간을 마련해 볼까 하고 기부금품법에 의해서 광주시에 등록해서 행자부에 문의를 했었습니다마는 행자부가 부지나 공간을 마련하는 데에 모금 활동은 허용해 주지 않았었습니다.

이렇다고 하면 민간의 힘으로는 이건 사실상 불가항력적이고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지 않는 한 방법이 없고 또 하나는 역사관이라고 하는 것이 건립에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가 되고 또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해서도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지 않는 한 다른 방법이 없겠다 하는 현실적인 판단입니다.

[앵커]

또 앞서도 언급했듯이 일본이 내년부터 사용할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일본인 강제징용에 대해 강제 연행이라는 표현을 삭제해서 지금 논란인데 이런 일본의 역사 왜곡 행위 때문에라도 역사관 건립이 꼭 필요한 거죠?

[답변]

당연합니다.

나치의 유명한 선동가 괴벨스가 한 말인데 거짓말도 100번 반복하면 진실이 된다라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은 일본의 주장이 터무니없고 엉터리 같지만 50년 100년이 흐르게 되면 그 상황을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피해 국가라고 하는 것 때문에 일종의 도덕적 우월감에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일본의 어떤 그런 것들을 좀 낮게 보는 것이 있죠.

그런데 일본만 탓하고 우리는 우리의 노력을 게을리 했었을 때 정말 이 일본과의 역사 전쟁에서 우리가 나중에 어떻게 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일본의 역사 인식을 요구하는 것과 함께 우리는 우리로서의 노력을 다 해야 할 때이고 지금 더 미룰 때가 아니다라고 하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앵커]

또 일본 전범기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도 힘쓰고 계신데 2018년이었죠.

미쓰비시를 상대로 대법원에서 승소를 했는데 그 이후에 지금 진행 상황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답변]

대법원 판결로부터 벌써 3년 4개월, 40개월이 지났습니다.

판결을 이행하기는커녕 오히려 대법원 판결을 우롱하다시피 하고 지금 이게 한일 간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습니다마는 불가피하게 미츠비시 중공업이 국내에 가지고 있는 상표권 2권과 특허권 6건에 대해서는 현재 압류 조치를 한 상황입니다.

미츠비시 중공업은 이것마저도 부당하다고 그동안 항고에 재항고 쓸 수 있는 모든 카드를 다 써가면서 시간 끌기에 나섰는데 일본의 이런 주장이 우리 법원에서 받아들여질 리가 없고 아마 올여름 정도면 중요한 분기점이 형성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한 차례 이것을 두고 한일 간 외교적 마찰이 불가피할 것 같은데 관심 있게 계속 지지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앵커]

오랜 기간 지금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해서 노력해 오고 계신 데 앞으로 어떤 관심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답변]

무엇보다도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유족들이 많이 지쳐 있습니다.

그분들은 그분들 나름대로 광복 77년 동안 일본의 역사 책임을 묻고 또 고발하기 위해서 부단히 싸워왔다라고 생각이 듭니다.

일본은 더 말할 것 없지만 우리 정부가 정부로서 노력을 다 했는가 하면 저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단적인 예로 지금 생존자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광주에 계시는 양금덕 피해 할머니에게 우리 정부가 하는 것은 고작 1년에 80만원 한 달에 6만 6천 원 정도의 의료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이 우리 정부가 하는 다 이거든요.

이러고서 우리의 역할을 다했다 할 것인지 하는 생각이고 저는 정부뿐만 아니라 우리 지방자치단체도 할 역할들이 있다라고 생각이 듭니다.

우리 지역 피해자들이 근본적인 책임은 일본 정부에 있지만 또 우리 정부가 또 우리 지방자치단체가 내 편이구나 하는 이런 마음이 느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조치들을 지금부터 찾아보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정말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네, 지금까지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인물] 일본 또 역사 왜곡…일제 강제동원 역사관 건립 의미는?
    • 입력 2022-03-31 19:53:41
    • 수정2022-03-31 20:14:48
    뉴스7(광주)
[앵커]

최근 일본이 역사교과서 검정 과정에 조선인 강제징용이나 위안부의 강제성을 삭제해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오늘 '이슈앤인물'에서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을 대변하고 계시는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지금 일제 강제동원 시민모임에서 역사관 건립 추진하고 계시죠.

어떻게 추진하게 되신 건가요?

[답변]

우선 벌써 일본으로부터 광복을 맞은 지가 벌써 77년째에 이르렀습니다.

너무 많은 시간이 지났죠.

당시 많이 계셨던 피해자분들도 대부분 돌아가시고 올해 정부 기록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국외로 강제동원되신 분 중에서 현재 생존자가 전국적으로 1815명에 불과합니다.

이분들 역시 몇 년을 앞두고 있지 않습니다.

이런 명백한 상황에서 과연 무엇으로 그 당시의 시대적 아픔을 얘기를 할 것인가 결국 역사관 건립을 통해서 지속적인 역사 교육이 필요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앵커]

그래서 이번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출마하는 후보들에게 역사관 건립을 공약으로 채택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하셨는데 왜 그렇게 채택을 요청하시는 건가요?

[답변]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지 않고서는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사실 저희 단체도 지난해에 시민들 뜻을 모아서 부지나 공간을 마련해 볼까 하고 기부금품법에 의해서 광주시에 등록해서 행자부에 문의를 했었습니다마는 행자부가 부지나 공간을 마련하는 데에 모금 활동은 허용해 주지 않았었습니다.

이렇다고 하면 민간의 힘으로는 이건 사실상 불가항력적이고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지 않는 한 방법이 없고 또 하나는 역사관이라고 하는 것이 건립에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가 되고 또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해서도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지 않는 한 다른 방법이 없겠다 하는 현실적인 판단입니다.

[앵커]

또 앞서도 언급했듯이 일본이 내년부터 사용할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일본인 강제징용에 대해 강제 연행이라는 표현을 삭제해서 지금 논란인데 이런 일본의 역사 왜곡 행위 때문에라도 역사관 건립이 꼭 필요한 거죠?

[답변]

당연합니다.

나치의 유명한 선동가 괴벨스가 한 말인데 거짓말도 100번 반복하면 진실이 된다라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은 일본의 주장이 터무니없고 엉터리 같지만 50년 100년이 흐르게 되면 그 상황을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피해 국가라고 하는 것 때문에 일종의 도덕적 우월감에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일본의 어떤 그런 것들을 좀 낮게 보는 것이 있죠.

그런데 일본만 탓하고 우리는 우리의 노력을 게을리 했었을 때 정말 이 일본과의 역사 전쟁에서 우리가 나중에 어떻게 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일본의 역사 인식을 요구하는 것과 함께 우리는 우리로서의 노력을 다 해야 할 때이고 지금 더 미룰 때가 아니다라고 하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앵커]

또 일본 전범기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도 힘쓰고 계신데 2018년이었죠.

미쓰비시를 상대로 대법원에서 승소를 했는데 그 이후에 지금 진행 상황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답변]

대법원 판결로부터 벌써 3년 4개월, 40개월이 지났습니다.

판결을 이행하기는커녕 오히려 대법원 판결을 우롱하다시피 하고 지금 이게 한일 간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습니다마는 불가피하게 미츠비시 중공업이 국내에 가지고 있는 상표권 2권과 특허권 6건에 대해서는 현재 압류 조치를 한 상황입니다.

미츠비시 중공업은 이것마저도 부당하다고 그동안 항고에 재항고 쓸 수 있는 모든 카드를 다 써가면서 시간 끌기에 나섰는데 일본의 이런 주장이 우리 법원에서 받아들여질 리가 없고 아마 올여름 정도면 중요한 분기점이 형성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한 차례 이것을 두고 한일 간 외교적 마찰이 불가피할 것 같은데 관심 있게 계속 지지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앵커]

오랜 기간 지금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해서 노력해 오고 계신 데 앞으로 어떤 관심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답변]

무엇보다도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유족들이 많이 지쳐 있습니다.

그분들은 그분들 나름대로 광복 77년 동안 일본의 역사 책임을 묻고 또 고발하기 위해서 부단히 싸워왔다라고 생각이 듭니다.

일본은 더 말할 것 없지만 우리 정부가 정부로서 노력을 다 했는가 하면 저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단적인 예로 지금 생존자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광주에 계시는 양금덕 피해 할머니에게 우리 정부가 하는 것은 고작 1년에 80만원 한 달에 6만 6천 원 정도의 의료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이 우리 정부가 하는 다 이거든요.

이러고서 우리의 역할을 다했다 할 것인지 하는 생각이고 저는 정부뿐만 아니라 우리 지방자치단체도 할 역할들이 있다라고 생각이 듭니다.

우리 지역 피해자들이 근본적인 책임은 일본 정부에 있지만 또 우리 정부가 또 우리 지방자치단체가 내 편이구나 하는 이런 마음이 느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조치들을 지금부터 찾아보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정말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네, 지금까지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