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앞머리는 눈썹 위’…40년 전 ‘두발 규제’ 여전
입력 2022.03.31 (21:49)
수정 2022.03.31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982년, 교육부의 전신인 문교부는 획일적인 학교 교육을 없앤다며 '중고생 두발 자유화'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지금도 전국 대부분의 학교에는 여전히 '두발 규제'가 남아 있어 시대를 역행한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박연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 수업을 마치고 교문을 나선 고등학생들.
머리 모양이 모두 하나같이 비슷합니다.
옆과 뒷머리는 경사지게 깎고, 앞머리는 눈썹에 닿지 않아야 한다는 학교 규정 때문입니다.
이를 어기면 최대 8점의 벌점이 부과되고, 10점이 되면 선도위원회 처분을 받습니다.
[학생/음성변조 : "머리 깎을 시간만 더 자주 필요하고, 딱히 도움 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나중에 상점 받아서 (벌점을) 깎아야 하니까…."]
최근 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가 대전의 중·고교 150곳을 조사한 결과 두발을 규제하는 곳이 80%를 넘었습니다.
두발을 자유화하면 과도한 염색이나 파마를 할 수 있고, 학생들의 탈선도 우려된다는 이유인데, 지나친 통제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병구/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장 : "인권에 대한 기본적 가치에 대해서는 절대로 누구의 협의나 낮은 수준의 자치규약(학칙)을 통해서 통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죠."]
[앵커]
이 사안 취재한 박연선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40년 전에 한 두발 규제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놀라운데요.
두발 자유화와 학생들의 탈선 문제를 연결짓는 시선,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기자]
글쎄요.
개인적으로 두발 자유가 탈선으로 간다고 보는 건 지나친 선입견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100% 맞다, 아니다를 말할 수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충남에서는 재작년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면서 두발 규제가 사라졌기 때문에 간접비교는 가능한 상황입니다.
현장에서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또 구성원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직접 찾아가서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긴 머리와 단발 머리, 염색한 머리와 파마한 머리.
학생들이 각자 개성에 맞게 자유로운 머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박소윤/당진고 2학년 : "제가 하고 싶은 머리를 강압적으로 뭔가 제지 받지 않고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자유'로운 느낌이 좋았어요."]
학생들 못지않게 선생님들의 만족감도 높습니다.
[박남이/당진고 담임교사 : "(두발 자유 이후에는) 학생 상담이나 교과지도, 저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어서 오히려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발 자유화 등의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된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7곳에 불과한 상황.
전문가들은 '두발 규제'를 교육현장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르는데 걸림돌로 보고 있습니다.
[김누리/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시대의 관행들이 그대로 남아서 아직도 한국사회를 성숙한 민주사회로 못 가도록 가로막고 있는 거죠."]
개성 넘치는 K-한류 문화가 전세계를 선도하는 시대, 그러나, 학교 교육은 40년 넘게 두발 자유같은 기본적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할 만큼 시대에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1982년, 교육부의 전신인 문교부는 획일적인 학교 교육을 없앤다며 '중고생 두발 자유화'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지금도 전국 대부분의 학교에는 여전히 '두발 규제'가 남아 있어 시대를 역행한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박연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 수업을 마치고 교문을 나선 고등학생들.
머리 모양이 모두 하나같이 비슷합니다.
옆과 뒷머리는 경사지게 깎고, 앞머리는 눈썹에 닿지 않아야 한다는 학교 규정 때문입니다.
이를 어기면 최대 8점의 벌점이 부과되고, 10점이 되면 선도위원회 처분을 받습니다.
[학생/음성변조 : "머리 깎을 시간만 더 자주 필요하고, 딱히 도움 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나중에 상점 받아서 (벌점을) 깎아야 하니까…."]
최근 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가 대전의 중·고교 150곳을 조사한 결과 두발을 규제하는 곳이 80%를 넘었습니다.
두발을 자유화하면 과도한 염색이나 파마를 할 수 있고, 학생들의 탈선도 우려된다는 이유인데, 지나친 통제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병구/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장 : "인권에 대한 기본적 가치에 대해서는 절대로 누구의 협의나 낮은 수준의 자치규약(학칙)을 통해서 통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죠."]
[앵커]
이 사안 취재한 박연선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40년 전에 한 두발 규제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놀라운데요.
두발 자유화와 학생들의 탈선 문제를 연결짓는 시선,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기자]
글쎄요.
개인적으로 두발 자유가 탈선으로 간다고 보는 건 지나친 선입견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100% 맞다, 아니다를 말할 수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충남에서는 재작년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면서 두발 규제가 사라졌기 때문에 간접비교는 가능한 상황입니다.
현장에서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또 구성원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직접 찾아가서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긴 머리와 단발 머리, 염색한 머리와 파마한 머리.
학생들이 각자 개성에 맞게 자유로운 머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박소윤/당진고 2학년 : "제가 하고 싶은 머리를 강압적으로 뭔가 제지 받지 않고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자유'로운 느낌이 좋았어요."]
학생들 못지않게 선생님들의 만족감도 높습니다.
[박남이/당진고 담임교사 : "(두발 자유 이후에는) 학생 상담이나 교과지도, 저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어서 오히려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발 자유화 등의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된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7곳에 불과한 상황.
전문가들은 '두발 규제'를 교육현장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르는데 걸림돌로 보고 있습니다.
[김누리/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시대의 관행들이 그대로 남아서 아직도 한국사회를 성숙한 민주사회로 못 가도록 가로막고 있는 거죠."]
개성 넘치는 K-한류 문화가 전세계를 선도하는 시대, 그러나, 학교 교육은 40년 넘게 두발 자유같은 기본적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할 만큼 시대에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앞머리는 눈썹 위’…40년 전 ‘두발 규제’ 여전
-
- 입력 2022-03-31 21:49:01
- 수정2022-03-31 22:20:58
[앵커]
1982년, 교육부의 전신인 문교부는 획일적인 학교 교육을 없앤다며 '중고생 두발 자유화'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지금도 전국 대부분의 학교에는 여전히 '두발 규제'가 남아 있어 시대를 역행한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박연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 수업을 마치고 교문을 나선 고등학생들.
머리 모양이 모두 하나같이 비슷합니다.
옆과 뒷머리는 경사지게 깎고, 앞머리는 눈썹에 닿지 않아야 한다는 학교 규정 때문입니다.
이를 어기면 최대 8점의 벌점이 부과되고, 10점이 되면 선도위원회 처분을 받습니다.
[학생/음성변조 : "머리 깎을 시간만 더 자주 필요하고, 딱히 도움 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나중에 상점 받아서 (벌점을) 깎아야 하니까…."]
최근 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가 대전의 중·고교 150곳을 조사한 결과 두발을 규제하는 곳이 80%를 넘었습니다.
두발을 자유화하면 과도한 염색이나 파마를 할 수 있고, 학생들의 탈선도 우려된다는 이유인데, 지나친 통제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병구/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장 : "인권에 대한 기본적 가치에 대해서는 절대로 누구의 협의나 낮은 수준의 자치규약(학칙)을 통해서 통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죠."]
[앵커]
이 사안 취재한 박연선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40년 전에 한 두발 규제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놀라운데요.
두발 자유화와 학생들의 탈선 문제를 연결짓는 시선,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기자]
글쎄요.
개인적으로 두발 자유가 탈선으로 간다고 보는 건 지나친 선입견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100% 맞다, 아니다를 말할 수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충남에서는 재작년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면서 두발 규제가 사라졌기 때문에 간접비교는 가능한 상황입니다.
현장에서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또 구성원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직접 찾아가서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긴 머리와 단발 머리, 염색한 머리와 파마한 머리.
학생들이 각자 개성에 맞게 자유로운 머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박소윤/당진고 2학년 : "제가 하고 싶은 머리를 강압적으로 뭔가 제지 받지 않고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자유'로운 느낌이 좋았어요."]
학생들 못지않게 선생님들의 만족감도 높습니다.
[박남이/당진고 담임교사 : "(두발 자유 이후에는) 학생 상담이나 교과지도, 저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어서 오히려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발 자유화 등의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된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7곳에 불과한 상황.
전문가들은 '두발 규제'를 교육현장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르는데 걸림돌로 보고 있습니다.
[김누리/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시대의 관행들이 그대로 남아서 아직도 한국사회를 성숙한 민주사회로 못 가도록 가로막고 있는 거죠."]
개성 넘치는 K-한류 문화가 전세계를 선도하는 시대, 그러나, 학교 교육은 40년 넘게 두발 자유같은 기본적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할 만큼 시대에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1982년, 교육부의 전신인 문교부는 획일적인 학교 교육을 없앤다며 '중고생 두발 자유화'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지금도 전국 대부분의 학교에는 여전히 '두발 규제'가 남아 있어 시대를 역행한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박연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 수업을 마치고 교문을 나선 고등학생들.
머리 모양이 모두 하나같이 비슷합니다.
옆과 뒷머리는 경사지게 깎고, 앞머리는 눈썹에 닿지 않아야 한다는 학교 규정 때문입니다.
이를 어기면 최대 8점의 벌점이 부과되고, 10점이 되면 선도위원회 처분을 받습니다.
[학생/음성변조 : "머리 깎을 시간만 더 자주 필요하고, 딱히 도움 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나중에 상점 받아서 (벌점을) 깎아야 하니까…."]
최근 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가 대전의 중·고교 150곳을 조사한 결과 두발을 규제하는 곳이 80%를 넘었습니다.
두발을 자유화하면 과도한 염색이나 파마를 할 수 있고, 학생들의 탈선도 우려된다는 이유인데, 지나친 통제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병구/대전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장 : "인권에 대한 기본적 가치에 대해서는 절대로 누구의 협의나 낮은 수준의 자치규약(학칙)을 통해서 통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죠."]
[앵커]
이 사안 취재한 박연선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40년 전에 한 두발 규제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놀라운데요.
두발 자유화와 학생들의 탈선 문제를 연결짓는 시선,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기자]
글쎄요.
개인적으로 두발 자유가 탈선으로 간다고 보는 건 지나친 선입견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100% 맞다, 아니다를 말할 수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충남에서는 재작년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면서 두발 규제가 사라졌기 때문에 간접비교는 가능한 상황입니다.
현장에서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또 구성원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직접 찾아가서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긴 머리와 단발 머리, 염색한 머리와 파마한 머리.
학생들이 각자 개성에 맞게 자유로운 머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박소윤/당진고 2학년 : "제가 하고 싶은 머리를 강압적으로 뭔가 제지 받지 않고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자유'로운 느낌이 좋았어요."]
학생들 못지않게 선생님들의 만족감도 높습니다.
[박남이/당진고 담임교사 : "(두발 자유 이후에는) 학생 상담이나 교과지도, 저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어서 오히려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발 자유화 등의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된 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7곳에 불과한 상황.
전문가들은 '두발 규제'를 교육현장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르는데 걸림돌로 보고 있습니다.
[김누리/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시대의 관행들이 그대로 남아서 아직도 한국사회를 성숙한 민주사회로 못 가도록 가로막고 있는 거죠."]
개성 넘치는 K-한류 문화가 전세계를 선도하는 시대, 그러나, 학교 교육은 40년 넘게 두발 자유같은 기본적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할 만큼 시대에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
-
박연선 기자 zion@kbs.co.kr
박연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