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경제위기 신호, 재정 통화당국 긴밀 조율 필요
입력 2022.04.05 (08:02)
수정 2022.04.06 (13: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재준 KBS객원 해설위원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오미크론 확산세와 물가 상승으로 경기 리스크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의 전조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각적인 경제위기 신호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통화당국간 긴밀한 정책 조율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통상 경기침체 우려가 대두될 때 물가는 하락세를 보이지만, 지금은 유가 등 원자재가격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오히려 인플레 우려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러한 금융긴축은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발생했던 모든 금융위기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기와 맞물려 있기 때문입니다.
실물경제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는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수출이 둔화되면 경상수지는 물론, 경제활동 전반이 악화될 소지가 높습니다.
이처럼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해지는 상황에서 성장, 물가, 금융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정책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간 긴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은 며칠 전 이주열 총재가 임기를 마치고 신임 총재의 임명을 기다리고 있고, 재정당국의 수반인 대통령도 윤석열 당선인으로 교체를 앞두고 있습니다.
정권교체기에 안정적 국정 이양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시점입니다.
5월 정권교체를 앞두고 최근 신/구 정권 간 인사권에 대한 불협화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불가피한 면이 없지는 않지만, 양측 간 대화와 소통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 이양과 경제정책에 대한 조율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부 관련 부처들은 국제경제 동향과 국내시장을 점검하고 대화채널을 지속적으로 가동해가야 할 것입니다.
뉴스 해설이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오미크론 확산세와 물가 상승으로 경기 리스크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의 전조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각적인 경제위기 신호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통화당국간 긴밀한 정책 조율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통상 경기침체 우려가 대두될 때 물가는 하락세를 보이지만, 지금은 유가 등 원자재가격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오히려 인플레 우려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러한 금융긴축은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발생했던 모든 금융위기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기와 맞물려 있기 때문입니다.
실물경제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는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수출이 둔화되면 경상수지는 물론, 경제활동 전반이 악화될 소지가 높습니다.
이처럼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해지는 상황에서 성장, 물가, 금융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정책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간 긴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은 며칠 전 이주열 총재가 임기를 마치고 신임 총재의 임명을 기다리고 있고, 재정당국의 수반인 대통령도 윤석열 당선인으로 교체를 앞두고 있습니다.
정권교체기에 안정적 국정 이양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시점입니다.
5월 정권교체를 앞두고 최근 신/구 정권 간 인사권에 대한 불협화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불가피한 면이 없지는 않지만, 양측 간 대화와 소통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 이양과 경제정책에 대한 조율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부 관련 부처들은 국제경제 동향과 국내시장을 점검하고 대화채널을 지속적으로 가동해가야 할 것입니다.
뉴스 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경제위기 신호, 재정 통화당국 긴밀 조율 필요
-
- 입력 2022-04-05 08:02:40
- 수정2022-04-06 13:44:59

한재준 KBS객원 해설위원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오미크론 확산세와 물가 상승으로 경기 리스크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의 전조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각적인 경제위기 신호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통화당국간 긴밀한 정책 조율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통상 경기침체 우려가 대두될 때 물가는 하락세를 보이지만, 지금은 유가 등 원자재가격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오히려 인플레 우려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러한 금융긴축은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발생했던 모든 금융위기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기와 맞물려 있기 때문입니다.
실물경제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는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수출이 둔화되면 경상수지는 물론, 경제활동 전반이 악화될 소지가 높습니다.
이처럼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해지는 상황에서 성장, 물가, 금융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정책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간 긴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은 며칠 전 이주열 총재가 임기를 마치고 신임 총재의 임명을 기다리고 있고, 재정당국의 수반인 대통령도 윤석열 당선인으로 교체를 앞두고 있습니다.
정권교체기에 안정적 국정 이양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시점입니다.
5월 정권교체를 앞두고 최근 신/구 정권 간 인사권에 대한 불협화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불가피한 면이 없지는 않지만, 양측 간 대화와 소통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 이양과 경제정책에 대한 조율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부 관련 부처들은 국제경제 동향과 국내시장을 점검하고 대화채널을 지속적으로 가동해가야 할 것입니다.
뉴스 해설이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오미크론 확산세와 물가 상승으로 경기 리스크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의 전조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각적인 경제위기 신호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통화당국간 긴밀한 정책 조율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통상 경기침체 우려가 대두될 때 물가는 하락세를 보이지만, 지금은 유가 등 원자재가격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오히려 인플레 우려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러한 금융긴축은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발생했던 모든 금융위기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기와 맞물려 있기 때문입니다.
실물경제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는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수출이 둔화되면 경상수지는 물론, 경제활동 전반이 악화될 소지가 높습니다.
이처럼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해지는 상황에서 성장, 물가, 금융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정책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간 긴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은 며칠 전 이주열 총재가 임기를 마치고 신임 총재의 임명을 기다리고 있고, 재정당국의 수반인 대통령도 윤석열 당선인으로 교체를 앞두고 있습니다.
정권교체기에 안정적 국정 이양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시점입니다.
5월 정권교체를 앞두고 최근 신/구 정권 간 인사권에 대한 불협화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불가피한 면이 없지는 않지만, 양측 간 대화와 소통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 이양과 경제정책에 대한 조율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부 관련 부처들은 국제경제 동향과 국내시장을 점검하고 대화채널을 지속적으로 가동해가야 할 것입니다.
뉴스 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