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수소’ 정의부터 난항…대안은?

입력 2022.04.06 (21:50) 수정 2022.04.06 (22: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는 지난해 '수소'를 국가 주요에너지로 육성시키기 위해 '수소법'을 세계에서 처음 시행했습니다.

2050년 수소 사용량 전체를 청정 수소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성적표, 신통치 않습니다.

310개의 수소 충전기를 올해 말까지 설치하겠다는 목표는 현재 55%정도만 달성했습니다.

수소승용차와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목표치의 30%를 조금 넘었을 뿐입니다.

시행된 수소법을 좀 더 구체화한 수소법 개정안은 여야가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채 공전하고 있습니다.

갈길 바쁜 수소 경제의 현주소.

정새배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제주도의 풍력발전단지입니다.

풍력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수소, 이른바 '그린수소' 생산에 성공한 겁니다.

[구정웅/그린 수소 업체 이사 : "궁극적으로는 이제 수소모빌리티, 수소 차량이라든지 여러 가지 부분으로 공급이 될 텐데, 올해 안에 (하루에) 100kg에서 200kg 정도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지만 청정수소 활용은 거의 못하고 있습니다.

주민 반발 등의 이유로 수소충전소 설치가 무산됐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운행하던 수소 차량 석 대는 충전소가 없어 목포로 원정 충전을 다니다 결국 다른 지역으로 옮겼습니다.

인프라 구축이 안 돼 시작부터 힘겨운 상황.

특히 국내 수소 대부분은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그레이 수소'입니다.

탄소 중립이라는 세계적 추세를 선도하려면 청정수소로 대체해야 하지만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법 개정안은 국회에서 발이 묶였습니다.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 수소 판매와 사용 의무 부과 등 꼭 필요한 내용이 담겨 있지만 정작 무엇을 청정수소로 볼 것이냐는 두고 여야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도 문제입니다.

정부의 목표 생산 단가는 일본과 비슷하지만 미국, 중국 등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입니다.

[박상욱/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 "청정 수소를 대량 생산해서 수출할 나라들도 대규모의 연구·개발과 인프라 투자를 해야 하는 데, 우리가 필요로 할 때 맞춰서 준비될 것이냐 하는 불확실성이 아주 큽니다."]

일각에선 원자력 발전을 통한 청정수소의 도입을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강희준/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김지훈 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정 수소’ 정의부터 난항…대안은?
    • 입력 2022-04-06 21:50:18
    • 수정2022-04-06 22:36:11
    뉴스 9
[앵커]

정부는 지난해 '수소'를 국가 주요에너지로 육성시키기 위해 '수소법'을 세계에서 처음 시행했습니다.

2050년 수소 사용량 전체를 청정 수소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성적표, 신통치 않습니다.

310개의 수소 충전기를 올해 말까지 설치하겠다는 목표는 현재 55%정도만 달성했습니다.

수소승용차와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목표치의 30%를 조금 넘었을 뿐입니다.

시행된 수소법을 좀 더 구체화한 수소법 개정안은 여야가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채 공전하고 있습니다.

갈길 바쁜 수소 경제의 현주소.

정새배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제주도의 풍력발전단지입니다.

풍력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수소, 이른바 '그린수소' 생산에 성공한 겁니다.

[구정웅/그린 수소 업체 이사 : "궁극적으로는 이제 수소모빌리티, 수소 차량이라든지 여러 가지 부분으로 공급이 될 텐데, 올해 안에 (하루에) 100kg에서 200kg 정도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지만 청정수소 활용은 거의 못하고 있습니다.

주민 반발 등의 이유로 수소충전소 설치가 무산됐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운행하던 수소 차량 석 대는 충전소가 없어 목포로 원정 충전을 다니다 결국 다른 지역으로 옮겼습니다.

인프라 구축이 안 돼 시작부터 힘겨운 상황.

특히 국내 수소 대부분은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그레이 수소'입니다.

탄소 중립이라는 세계적 추세를 선도하려면 청정수소로 대체해야 하지만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법 개정안은 국회에서 발이 묶였습니다.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 수소 판매와 사용 의무 부과 등 꼭 필요한 내용이 담겨 있지만 정작 무엇을 청정수소로 볼 것이냐는 두고 여야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도 문제입니다.

정부의 목표 생산 단가는 일본과 비슷하지만 미국, 중국 등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입니다.

[박상욱/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 "청정 수소를 대량 생산해서 수출할 나라들도 대규모의 연구·개발과 인프라 투자를 해야 하는 데, 우리가 필요로 할 때 맞춰서 준비될 것이냐 하는 불확실성이 아주 큽니다."]

일각에선 원자력 발전을 통한 청정수소의 도입을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강희준/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김지훈 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