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2호기 수명 연장 나선 한수원…찬반 격화

입력 2022.04.07 (07:36) 수정 2022.04.07 (0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수력원자력이 내년이면 설계수명을 다하는 고리2호기를 계속해서 운영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친 원전 정책을 들고 나온 새 정부의 기조와 맞물려 수명 연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둘러싼 지역 사회의 찬반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부산 기장군의 고리2호기입니다.

내년 4월이면 설계 수명인 40년이 끝납니다.

먼저 가동을 멈춘 고리1호기의 뒤를 이어 폐쇄가 예상됐지만,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최소 10년의 수명 연장을 위한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제출한 겁니다.

사실상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임기도 끝나기 전에 폐기 절차를 밟게 됐습니다.

지역 안에서도 평가는 엇갈립니다.

원전 폐쇄로 지금껏 받아온 지역자원시설세 등 각종 지원금이 줄게 되는 자치단체는 안전성만 확보된다면 계속 운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양희창/기장군 안전도시국장 : "기타 여러 가지 최신 기술을 적용해서 설비 개선을 해야겠죠.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민 동의를 받는 그런 전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저희 기장군은 그걸 요구하는 거죠."]

각각 2년과 3년씩 설계 수명을 남겨놓고 있는 고리3호기와 4호기도 고리2호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상황.

지역 탈핵 단체들의 반발은 커지고 있습니다.

탈핵단체들은 고리2호기를 시작으로 설계수명을 다하는 다른 노후 원전들의 계속 운전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한 위험이 커질 거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갈팡질팡 원전 정책이 만드는 피해는 결국, 지역 주민들이 떠안게 될 거라며 수명 연장 시도를 멈추라고 요구합니다.

[박 철/탈핵부산시민연대 상임대표 : "(노후 원전은) 안전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이 지금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는 거죠. 지금은 무엇보다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가장 우선해야 하는데 그거보다는 경제성을 계속 내세운단 말이죠."]

고리2호기의 계속 운전을 위한 심사와 승인에 1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여 노후 원전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한번 불붙을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김종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리2호기 수명 연장 나선 한수원…찬반 격화
    • 입력 2022-04-07 07:36:18
    • 수정2022-04-07 08:38:04
    뉴스광장(부산)
[앵커]

한국수력원자력이 내년이면 설계수명을 다하는 고리2호기를 계속해서 운영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친 원전 정책을 들고 나온 새 정부의 기조와 맞물려 수명 연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둘러싼 지역 사회의 찬반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부산 기장군의 고리2호기입니다.

내년 4월이면 설계 수명인 40년이 끝납니다.

먼저 가동을 멈춘 고리1호기의 뒤를 이어 폐쇄가 예상됐지만,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최소 10년의 수명 연장을 위한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제출한 겁니다.

사실상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임기도 끝나기 전에 폐기 절차를 밟게 됐습니다.

지역 안에서도 평가는 엇갈립니다.

원전 폐쇄로 지금껏 받아온 지역자원시설세 등 각종 지원금이 줄게 되는 자치단체는 안전성만 확보된다면 계속 운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양희창/기장군 안전도시국장 : "기타 여러 가지 최신 기술을 적용해서 설비 개선을 해야겠죠.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민 동의를 받는 그런 전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저희 기장군은 그걸 요구하는 거죠."]

각각 2년과 3년씩 설계 수명을 남겨놓고 있는 고리3호기와 4호기도 고리2호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상황.

지역 탈핵 단체들의 반발은 커지고 있습니다.

탈핵단체들은 고리2호기를 시작으로 설계수명을 다하는 다른 노후 원전들의 계속 운전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한 위험이 커질 거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갈팡질팡 원전 정책이 만드는 피해는 결국, 지역 주민들이 떠안게 될 거라며 수명 연장 시도를 멈추라고 요구합니다.

[박 철/탈핵부산시민연대 상임대표 : "(노후 원전은) 안전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이 지금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는 거죠. 지금은 무엇보다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가장 우선해야 하는데 그거보다는 경제성을 계속 내세운단 말이죠."]

고리2호기의 계속 운전을 위한 심사와 승인에 1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여 노후 원전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한번 불붙을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김종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