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 원으로 어떻게 반찬을”…뛰는 물가에 아동센터·무료급식소 ‘비상’

입력 2022.04.07 (21:41) 수정 2022.04.07 (22: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가 길어지고 최근 물가마저 급등하면서 우리 사회 취약계층 챙기기도 쉽지 않습니다.

지역아동센터나 무료급식소에서 밥 한끼 준비하는 데도 애를 먹고 있다고 합니다.

전현우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종각의 한 무료 급식소에서 봉사자들이 식사 준비에 한창입니다.

30년 가까이 무료 급식을 제공해 온 곳입니다.

코로나19 유행 속에 최근 물가까지 급등하면서, 운영이 여의치 않습니다.

[자광명/탑골공원 원각사 무료 급식소 봉사자 : "반찬들이 전부 다 호박이니 가지니 이런 버섯이니 이런 게 20~30%씩 다 올랐잖아요. 이 상황이 길게 가면 여기가 어려워지겠지. 더 어려워지겠지."]

점심 메뉴는 밥과 어묵볶음, 무생채와 쇠고기 버섯 무국입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국에 들어간 수입산 쇠고기값은 28%, 버섯값은 12% 올랐습니다.

무는 13%, 어묵도 5%나 비싸졌습니다.

오전 11시 반, 급식이 시작됐습니다.

["맛있게 드세요!"]

코로나19 이후 이곳을 찾는 사람이 늘었는데, 최근 물가가 오른 뒤부터는 줄이 더 길어졌습니다.

[김진팔/서울 중구 : "물가가 오르니까 또 밥값도 올라가고 이러니까…여기 와서 어떻게든지 한 그릇 얻어먹으려고 줄 서고 그러는 거죠."]

도시락을 360명 분이나 준비했는데, 10명 넘게 식사를 못 받았습니다.

["다 끝났어요. 많이 준비 못 해서 죄송합니다."]

경기도 부천에 있는 이 지역아동센터도 아이들 반찬꺼리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정부에서 지원받는 급식비는 아동 한 명당 7천 원입니다.

여기서 인건비 천 원, 연료비와 부자재비 천 원, 간식비 2천 원을 빼면 온전히 쓸 수 있는 돈은 3천 원 정도 뿐입니다.

[최영신/○○지역아동센터 센터장 : "3천 원이면 사실 먹을 수 있는 반찬이 없어요. 점점 할인되는 음식을 찾을 수밖에 없고 더 싼 거, 떨이하는 거 이런 걸 찾을 수밖에 없는 거죠."]

빵이나 우유 등 간식부터 줄이는 식으로 일단은 버티고 있다고 합니다.

[최영신/○○지역아동센터 : "예전에는 매일 먹었는데 요즘은 특식 있는 날만 먹거나 일주일에 두세번…."]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 취약계층들의 한 끼 챙기기도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박찬걸 박장빈/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천 원으로 어떻게 반찬을”…뛰는 물가에 아동센터·무료급식소 ‘비상’
    • 입력 2022-04-07 21:41:47
    • 수정2022-04-07 22:19:02
    뉴스 9
[앵커]

코로나19가 길어지고 최근 물가마저 급등하면서 우리 사회 취약계층 챙기기도 쉽지 않습니다.

지역아동센터나 무료급식소에서 밥 한끼 준비하는 데도 애를 먹고 있다고 합니다.

전현우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종각의 한 무료 급식소에서 봉사자들이 식사 준비에 한창입니다.

30년 가까이 무료 급식을 제공해 온 곳입니다.

코로나19 유행 속에 최근 물가까지 급등하면서, 운영이 여의치 않습니다.

[자광명/탑골공원 원각사 무료 급식소 봉사자 : "반찬들이 전부 다 호박이니 가지니 이런 버섯이니 이런 게 20~30%씩 다 올랐잖아요. 이 상황이 길게 가면 여기가 어려워지겠지. 더 어려워지겠지."]

점심 메뉴는 밥과 어묵볶음, 무생채와 쇠고기 버섯 무국입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국에 들어간 수입산 쇠고기값은 28%, 버섯값은 12% 올랐습니다.

무는 13%, 어묵도 5%나 비싸졌습니다.

오전 11시 반, 급식이 시작됐습니다.

["맛있게 드세요!"]

코로나19 이후 이곳을 찾는 사람이 늘었는데, 최근 물가가 오른 뒤부터는 줄이 더 길어졌습니다.

[김진팔/서울 중구 : "물가가 오르니까 또 밥값도 올라가고 이러니까…여기 와서 어떻게든지 한 그릇 얻어먹으려고 줄 서고 그러는 거죠."]

도시락을 360명 분이나 준비했는데, 10명 넘게 식사를 못 받았습니다.

["다 끝났어요. 많이 준비 못 해서 죄송합니다."]

경기도 부천에 있는 이 지역아동센터도 아이들 반찬꺼리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정부에서 지원받는 급식비는 아동 한 명당 7천 원입니다.

여기서 인건비 천 원, 연료비와 부자재비 천 원, 간식비 2천 원을 빼면 온전히 쓸 수 있는 돈은 3천 원 정도 뿐입니다.

[최영신/○○지역아동센터 센터장 : "3천 원이면 사실 먹을 수 있는 반찬이 없어요. 점점 할인되는 음식을 찾을 수밖에 없고 더 싼 거, 떨이하는 거 이런 걸 찾을 수밖에 없는 거죠."]

빵이나 우유 등 간식부터 줄이는 식으로 일단은 버티고 있다고 합니다.

[최영신/○○지역아동센터 : "예전에는 매일 먹었는데 요즘은 특식 있는 날만 먹거나 일주일에 두세번…."]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 취약계층들의 한 끼 챙기기도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박찬걸 박장빈/영상편집:유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