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尹 ‘선제타격’ 발언 지도자로서 부적절”
입력 2022.04.26 (23:25)
수정 2022.04.26 (23: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대선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얘기한다거나 북한의 버르장머리를 고친다는 거친 표현을 쓰는 것은 국가 지도자로서 적절치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26일) JTBC에서 방송된 손석희 전 앵커와의 대담에서 "말 한마디가 대화를 어렵게 하고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그 점은 윤 당선자가 북한을 상대해 본 경험이 없어서 그럴 것"이라며 "후보 모드와 대통령 모드는 달라야 한다. 빨리 대통령 모드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도발 속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원위치로 돌아와 버린 것 아니냐'는 물음엔 "그러면 5년 간의 평화는 어디 날아갔나"라고 반문하고서 "(남북관계 진전이) 성사되지 못한 데 아쉬움이 있을 수 있지만 비판받을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문재인 정부 땐 한 건도 북한과 군사적 충돌이 없었다. 반면 이명박·박근혜 정부 땐 천안함, 연평도 등 군사적 충돌이 있었다"며 "누가 평화와 안보를 잘 지켰나. 진보정부가 훨씬 잘 지켰다. 그럼에도 막연히 진보는 안보에 무능하다고 딱지를 붙이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운전자론이 허구였다는 주장도 있다'라고 묻자 "우리 정부 출범 초기만 해도 북한 핵실험 등이 거듭되며 전쟁 위기가 조성됐다. 이를 해소하고 대화국면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저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정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생각을 묻자, 문 대통령은 "좋게 생각한다"며 "톱다운 방식으로 북한을 설득해보겠다고 생각한 것만 해도 대담한 발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겠다. 지금은 평가하기 적절한 국면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과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나'라는 질문엔 "그 때는 좋은 대화 파트너일 때고, 지금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이는 '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대화의 완전한 단절로 이어질지는 분명하지 않다"며 "새 정부가 당연히 대화복원 노력을 해야 하며 북한이 합리적 선택을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을 더 강하게 대하지 못해 답답하다는 지적도 있었다'라는 질문에는 "(그런 주장이) 정말 답답하다. 군사 충돌 없이 응징하거나 제재할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게 현명한 길인가"라고 비판했습니다.
'한국도 핵을 가져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는 우리도 기술이 있으니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며 "동북아 지역에 도미노 핵 확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현실적이지 않은 걸 넘어서 정치인들이 삼가야 할 주장이자 어처구니 없는 주장, 기본이 안된 주장이다. 나무랄 필요가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는 의견 일치를 이뤘는데, 길은 멀고 날은 저물고 그랬다"며 "저로서는 시간이 없는 게 아쉽다. 가급적 다음 정부로 대화의 기조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미 대화 과정의 뒷얘기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우선 2018년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도보다리 회동'에서 나눈 대화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안전만 보장되면 비핵화를 할 수 있는데 미국의 불신이 심하다. 어떻게 이를 해소할까'라고 하더라. 미국과 회담 경험이 없다며 어떻게 하면 되는지 질문을 하더라"라고 떠올렸습니다.
같은 해 9월 평양에서 이뤄진 '능라도 연설'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발언 시간이나 내용에 일절 간섭하지 않고 전적으로 믿고 맡겨준 게 의외였다"고 했습니다.
2018년 제 1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 직전 취소될 위기에 처했을 때의 상황에 대해서는 "다행히 김 위원장과 원포인트 회담(2차 남북정상회담)을 해서 대화 노력을 계속하도록 설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이 뭐라고 했나'라고 묻자 "김 위원장은 (2차 남북정상회담장에) 함께 온 김영철 통전부장에게 '우리도 (메시지가) 세련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참고해야 한다'라고 했다"면서 "김 통전부장이 곧바로 김 위원장의 친서를 갖고 미국을 방문해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회고했습니다.
윤 당선인이 대선 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추가배치를 언급한 것에는 "선거용 발언이지, 대통령 모드에선 달라질 거라고 본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수위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오늘(26일) JTBC에서 방송된 손석희 전 앵커와의 대담에서 "말 한마디가 대화를 어렵게 하고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그 점은 윤 당선자가 북한을 상대해 본 경험이 없어서 그럴 것"이라며 "후보 모드와 대통령 모드는 달라야 한다. 빨리 대통령 모드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도발 속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원위치로 돌아와 버린 것 아니냐'는 물음엔 "그러면 5년 간의 평화는 어디 날아갔나"라고 반문하고서 "(남북관계 진전이) 성사되지 못한 데 아쉬움이 있을 수 있지만 비판받을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문재인 정부 땐 한 건도 북한과 군사적 충돌이 없었다. 반면 이명박·박근혜 정부 땐 천안함, 연평도 등 군사적 충돌이 있었다"며 "누가 평화와 안보를 잘 지켰나. 진보정부가 훨씬 잘 지켰다. 그럼에도 막연히 진보는 안보에 무능하다고 딱지를 붙이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운전자론이 허구였다는 주장도 있다'라고 묻자 "우리 정부 출범 초기만 해도 북한 핵실험 등이 거듭되며 전쟁 위기가 조성됐다. 이를 해소하고 대화국면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저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정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생각을 묻자, 문 대통령은 "좋게 생각한다"며 "톱다운 방식으로 북한을 설득해보겠다고 생각한 것만 해도 대담한 발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겠다. 지금은 평가하기 적절한 국면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과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나'라는 질문엔 "그 때는 좋은 대화 파트너일 때고, 지금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이는 '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대화의 완전한 단절로 이어질지는 분명하지 않다"며 "새 정부가 당연히 대화복원 노력을 해야 하며 북한이 합리적 선택을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을 더 강하게 대하지 못해 답답하다는 지적도 있었다'라는 질문에는 "(그런 주장이) 정말 답답하다. 군사 충돌 없이 응징하거나 제재할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게 현명한 길인가"라고 비판했습니다.
'한국도 핵을 가져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는 우리도 기술이 있으니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며 "동북아 지역에 도미노 핵 확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현실적이지 않은 걸 넘어서 정치인들이 삼가야 할 주장이자 어처구니 없는 주장, 기본이 안된 주장이다. 나무랄 필요가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는 의견 일치를 이뤘는데, 길은 멀고 날은 저물고 그랬다"며 "저로서는 시간이 없는 게 아쉽다. 가급적 다음 정부로 대화의 기조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미 대화 과정의 뒷얘기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우선 2018년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도보다리 회동'에서 나눈 대화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안전만 보장되면 비핵화를 할 수 있는데 미국의 불신이 심하다. 어떻게 이를 해소할까'라고 하더라. 미국과 회담 경험이 없다며 어떻게 하면 되는지 질문을 하더라"라고 떠올렸습니다.
같은 해 9월 평양에서 이뤄진 '능라도 연설'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발언 시간이나 내용에 일절 간섭하지 않고 전적으로 믿고 맡겨준 게 의외였다"고 했습니다.
2018년 제 1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 직전 취소될 위기에 처했을 때의 상황에 대해서는 "다행히 김 위원장과 원포인트 회담(2차 남북정상회담)을 해서 대화 노력을 계속하도록 설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이 뭐라고 했나'라고 묻자 "김 위원장은 (2차 남북정상회담장에) 함께 온 김영철 통전부장에게 '우리도 (메시지가) 세련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참고해야 한다'라고 했다"면서 "김 통전부장이 곧바로 김 위원장의 친서를 갖고 미국을 방문해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회고했습니다.
윤 당선인이 대선 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추가배치를 언급한 것에는 "선거용 발언이지, 대통령 모드에선 달라질 거라고 본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수위사진기자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文 “尹 ‘선제타격’ 발언 지도자로서 부적절”
-
- 입력 2022-04-26 23:25:48
- 수정2022-04-26 23:28:51
문재인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대선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얘기한다거나 북한의 버르장머리를 고친다는 거친 표현을 쓰는 것은 국가 지도자로서 적절치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26일) JTBC에서 방송된 손석희 전 앵커와의 대담에서 "말 한마디가 대화를 어렵게 하고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그 점은 윤 당선자가 북한을 상대해 본 경험이 없어서 그럴 것"이라며 "후보 모드와 대통령 모드는 달라야 한다. 빨리 대통령 모드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도발 속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원위치로 돌아와 버린 것 아니냐'는 물음엔 "그러면 5년 간의 평화는 어디 날아갔나"라고 반문하고서 "(남북관계 진전이) 성사되지 못한 데 아쉬움이 있을 수 있지만 비판받을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문재인 정부 땐 한 건도 북한과 군사적 충돌이 없었다. 반면 이명박·박근혜 정부 땐 천안함, 연평도 등 군사적 충돌이 있었다"며 "누가 평화와 안보를 잘 지켰나. 진보정부가 훨씬 잘 지켰다. 그럼에도 막연히 진보는 안보에 무능하다고 딱지를 붙이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운전자론이 허구였다는 주장도 있다'라고 묻자 "우리 정부 출범 초기만 해도 북한 핵실험 등이 거듭되며 전쟁 위기가 조성됐다. 이를 해소하고 대화국면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저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정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생각을 묻자, 문 대통령은 "좋게 생각한다"며 "톱다운 방식으로 북한을 설득해보겠다고 생각한 것만 해도 대담한 발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겠다. 지금은 평가하기 적절한 국면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과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나'라는 질문엔 "그 때는 좋은 대화 파트너일 때고, 지금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이는 '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대화의 완전한 단절로 이어질지는 분명하지 않다"며 "새 정부가 당연히 대화복원 노력을 해야 하며 북한이 합리적 선택을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을 더 강하게 대하지 못해 답답하다는 지적도 있었다'라는 질문에는 "(그런 주장이) 정말 답답하다. 군사 충돌 없이 응징하거나 제재할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게 현명한 길인가"라고 비판했습니다.
'한국도 핵을 가져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는 우리도 기술이 있으니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며 "동북아 지역에 도미노 핵 확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현실적이지 않은 걸 넘어서 정치인들이 삼가야 할 주장이자 어처구니 없는 주장, 기본이 안된 주장이다. 나무랄 필요가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는 의견 일치를 이뤘는데, 길은 멀고 날은 저물고 그랬다"며 "저로서는 시간이 없는 게 아쉽다. 가급적 다음 정부로 대화의 기조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미 대화 과정의 뒷얘기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우선 2018년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도보다리 회동'에서 나눈 대화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안전만 보장되면 비핵화를 할 수 있는데 미국의 불신이 심하다. 어떻게 이를 해소할까'라고 하더라. 미국과 회담 경험이 없다며 어떻게 하면 되는지 질문을 하더라"라고 떠올렸습니다.
같은 해 9월 평양에서 이뤄진 '능라도 연설'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발언 시간이나 내용에 일절 간섭하지 않고 전적으로 믿고 맡겨준 게 의외였다"고 했습니다.
2018년 제 1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 직전 취소될 위기에 처했을 때의 상황에 대해서는 "다행히 김 위원장과 원포인트 회담(2차 남북정상회담)을 해서 대화 노력을 계속하도록 설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이 뭐라고 했나'라고 묻자 "김 위원장은 (2차 남북정상회담장에) 함께 온 김영철 통전부장에게 '우리도 (메시지가) 세련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참고해야 한다'라고 했다"면서 "김 통전부장이 곧바로 김 위원장의 친서를 갖고 미국을 방문해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회고했습니다.
윤 당선인이 대선 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추가배치를 언급한 것에는 "선거용 발언이지, 대통령 모드에선 달라질 거라고 본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수위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오늘(26일) JTBC에서 방송된 손석희 전 앵커와의 대담에서 "말 한마디가 대화를 어렵게 하고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그 점은 윤 당선자가 북한을 상대해 본 경험이 없어서 그럴 것"이라며 "후보 모드와 대통령 모드는 달라야 한다. 빨리 대통령 모드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도발 속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원위치로 돌아와 버린 것 아니냐'는 물음엔 "그러면 5년 간의 평화는 어디 날아갔나"라고 반문하고서 "(남북관계 진전이) 성사되지 못한 데 아쉬움이 있을 수 있지만 비판받을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문재인 정부 땐 한 건도 북한과 군사적 충돌이 없었다. 반면 이명박·박근혜 정부 땐 천안함, 연평도 등 군사적 충돌이 있었다"며 "누가 평화와 안보를 잘 지켰나. 진보정부가 훨씬 잘 지켰다. 그럼에도 막연히 진보는 안보에 무능하다고 딱지를 붙이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반도 운전자론이 허구였다는 주장도 있다'라고 묻자 "우리 정부 출범 초기만 해도 북한 핵실험 등이 거듭되며 전쟁 위기가 조성됐다. 이를 해소하고 대화국면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저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정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생각을 묻자, 문 대통령은 "좋게 생각한다"며 "톱다운 방식으로 북한을 설득해보겠다고 생각한 것만 해도 대담한 발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겠다. 지금은 평가하기 적절한 국면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과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나'라는 질문엔 "그 때는 좋은 대화 파트너일 때고, 지금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이는 '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대화의 완전한 단절로 이어질지는 분명하지 않다"며 "새 정부가 당연히 대화복원 노력을 해야 하며 북한이 합리적 선택을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을 더 강하게 대하지 못해 답답하다는 지적도 있었다'라는 질문에는 "(그런 주장이) 정말 답답하다. 군사 충돌 없이 응징하거나 제재할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게 현명한 길인가"라고 비판했습니다.
'한국도 핵을 가져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는 우리도 기술이 있으니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며 "동북아 지역에 도미노 핵 확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현실적이지 않은 걸 넘어서 정치인들이 삼가야 할 주장이자 어처구니 없는 주장, 기본이 안된 주장이다. 나무랄 필요가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는 의견 일치를 이뤘는데, 길은 멀고 날은 저물고 그랬다"며 "저로서는 시간이 없는 게 아쉽다. 가급적 다음 정부로 대화의 기조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미 대화 과정의 뒷얘기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우선 2018년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도보다리 회동'에서 나눈 대화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안전만 보장되면 비핵화를 할 수 있는데 미국의 불신이 심하다. 어떻게 이를 해소할까'라고 하더라. 미국과 회담 경험이 없다며 어떻게 하면 되는지 질문을 하더라"라고 떠올렸습니다.
같은 해 9월 평양에서 이뤄진 '능라도 연설'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이 발언 시간이나 내용에 일절 간섭하지 않고 전적으로 믿고 맡겨준 게 의외였다"고 했습니다.
2018년 제 1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 직전 취소될 위기에 처했을 때의 상황에 대해서는 "다행히 김 위원장과 원포인트 회담(2차 남북정상회담)을 해서 대화 노력을 계속하도록 설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이 뭐라고 했나'라고 묻자 "김 위원장은 (2차 남북정상회담장에) 함께 온 김영철 통전부장에게 '우리도 (메시지가) 세련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참고해야 한다'라고 했다"면서 "김 통전부장이 곧바로 김 위원장의 친서를 갖고 미국을 방문해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회고했습니다.
윤 당선인이 대선 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추가배치를 언급한 것에는 "선거용 발언이지, 대통령 모드에선 달라질 거라고 본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수위사진기자단]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정부 출범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