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6백억 횡령…“10년간 몰랐다”

입력 2022.04.28 (23:48) 수정 2022.04.29 (0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1금융권인 우리은행에서 600억 대 횡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10년 전부터 횡령이 시작됐는데, 은행 측은 물론, 회계법인, 금융감독원까지 알지 못했는데요.

어떻게 은행에서 대규모 횡령이 발생한 것인지, 관리 감독에는 문제가 없는지, 양지열 변호사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앵커]

통계를 좀 찾아보니 지난해 은행권에서 총 16건에 67억 원 규모의 횡령이 발생했었더라고요.

그런데 이번엔 단 한 건에 6백억 원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한 겁니까?

[앵커]

그럼 지금 이 돈은 어딨습니까?

회수할 수는 있습니까?

[앵커]

횡령 금액만큼이나 충격적인 건, 10년 가까이 누구도 횡령 사실을 몰랐다는 거죠.

은행에 감시 시스템이 없었던 겁니까?

[앵커]

뒤에 보시는 대로 우리은행을 포함해 최근 알려진 횡령 사건들, 그 금액만 3천억 여원에 이릅니다.

이 사건들 모두, 공통점이 하나 있죠.

자금을 관리하는 직원들이 돈을 빼돌린 거였잖아요?

[앵커]

이 횡령금들, 대부분 주식이나 코인 투자 등에 유용되기도 했고요.

우리은행 사건 역시, 횡령금을 주식 투자에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잖아요?

[앵커]

이러한 횡령 범죄는 매해 2만 건 가까이 꾸준히 발생하는 추셉니다.

횡령 범죄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이유, 처벌이 약해섭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6백억 횡령…“10년간 몰랐다”
    • 입력 2022-04-28 23:48:40
    • 수정2022-04-29 00:04:59
    뉴스라인 W
[앵커]

제1금융권인 우리은행에서 600억 대 횡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10년 전부터 횡령이 시작됐는데, 은행 측은 물론, 회계법인, 금융감독원까지 알지 못했는데요.

어떻게 은행에서 대규모 횡령이 발생한 것인지, 관리 감독에는 문제가 없는지, 양지열 변호사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앵커]

통계를 좀 찾아보니 지난해 은행권에서 총 16건에 67억 원 규모의 횡령이 발생했었더라고요.

그런데 이번엔 단 한 건에 6백억 원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한 겁니까?

[앵커]

그럼 지금 이 돈은 어딨습니까?

회수할 수는 있습니까?

[앵커]

횡령 금액만큼이나 충격적인 건, 10년 가까이 누구도 횡령 사실을 몰랐다는 거죠.

은행에 감시 시스템이 없었던 겁니까?

[앵커]

뒤에 보시는 대로 우리은행을 포함해 최근 알려진 횡령 사건들, 그 금액만 3천억 여원에 이릅니다.

이 사건들 모두, 공통점이 하나 있죠.

자금을 관리하는 직원들이 돈을 빼돌린 거였잖아요?

[앵커]

이 횡령금들, 대부분 주식이나 코인 투자 등에 유용되기도 했고요.

우리은행 사건 역시, 횡령금을 주식 투자에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잖아요?

[앵커]

이러한 횡령 범죄는 매해 2만 건 가까이 꾸준히 발생하는 추셉니다.

횡령 범죄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이유, 처벌이 약해섭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