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환 “위기 극복해 세계일류 해양국가로 도약할 것”

입력 2022.05.04 (10:43) 수정 2022.05.04 (1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해양수산 분야의 위기를 극복해 세계 일류 해양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후보자는 오늘(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어촌지역은 고령화를 넘어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해운항만산업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미래를 예단하기 어려우며, 해양 영유권을 둘러싼 해양 국가들의 경쟁도 치열해지는 등 대내외적 환경이 녹록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신의 모든 경험과 역량을 발휘해 ‘도약하는 해양경제, 활력 넘치는 바다 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조 후보자는 먼저 “어촌의 주거·소득·생활 수준을 개선할 뿐 아니라 과학적인 자원 관리 정책으로 지속 가능한 어업 구조를 확립하고, 양식·가공·유통 시설을 스마트화해 ‘청년들이 돌아오는 젊은 어촌’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운산업을 육성하고, 첨단 항만 인프라 조성에 속도를 내겠다”면서 “한진해운 파산 이후 공공 주도로 재건된 우리 해운산업이 민간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기반을 확실히 다져가고, 첨단 자동화 항만과 스마트 물류센터를 신속히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후보자는 탄소 중립과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그는 “선박, 항만시설, 가공 공장 등 주요 탄소 배출원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는 한편 갯벌 식생을 복원하고 바다숲 조성을 확대해 탄소흡수원을 늘리겠다”면서 “플라스틱 쓰레기는 발생·처리·재활용의 전 과정을 철저히 관리해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조 후보자는 아울러 “해양 이용·개발을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해양공간 관리제도를 대폭 정비하고, 연안 재해예방 체계도 강화하겠다”면서 “동시에 디지털 해양 에너지·바이오 등 신산업을 발굴하는 데도 힘쓰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조 후보자는 “30년 가까이 공직생활을 해온 제가 장관 후보자로서 자질과 능력을 검증받기 위해 이 자리에 선 데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번 청문회를 준비하면서 우리 미래세대가 바다의 가치와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더 많이 고민하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굳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승환 “위기 극복해 세계일류 해양국가로 도약할 것”
    • 입력 2022-05-04 10:43:28
    • 수정2022-05-04 10:46:58
    경제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해양수산 분야의 위기를 극복해 세계 일류 해양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후보자는 오늘(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어촌지역은 고령화를 넘어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해운항만산업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미래를 예단하기 어려우며, 해양 영유권을 둘러싼 해양 국가들의 경쟁도 치열해지는 등 대내외적 환경이 녹록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신의 모든 경험과 역량을 발휘해 ‘도약하는 해양경제, 활력 넘치는 바다 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조 후보자는 먼저 “어촌의 주거·소득·생활 수준을 개선할 뿐 아니라 과학적인 자원 관리 정책으로 지속 가능한 어업 구조를 확립하고, 양식·가공·유통 시설을 스마트화해 ‘청년들이 돌아오는 젊은 어촌’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운산업을 육성하고, 첨단 항만 인프라 조성에 속도를 내겠다”면서 “한진해운 파산 이후 공공 주도로 재건된 우리 해운산업이 민간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기반을 확실히 다져가고, 첨단 자동화 항만과 스마트 물류센터를 신속히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후보자는 탄소 중립과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그는 “선박, 항만시설, 가공 공장 등 주요 탄소 배출원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는 한편 갯벌 식생을 복원하고 바다숲 조성을 확대해 탄소흡수원을 늘리겠다”면서 “플라스틱 쓰레기는 발생·처리·재활용의 전 과정을 철저히 관리해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조 후보자는 아울러 “해양 이용·개발을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해양공간 관리제도를 대폭 정비하고, 연안 재해예방 체계도 강화하겠다”면서 “동시에 디지털 해양 에너지·바이오 등 신산업을 발굴하는 데도 힘쓰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조 후보자는 “30년 가까이 공직생활을 해온 제가 장관 후보자로서 자질과 능력을 검증받기 위해 이 자리에 선 데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번 청문회를 준비하면서 우리 미래세대가 바다의 가치와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더 많이 고민하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굳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