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국내 생산↓·수입↑…수입 점유비 역대 ‘최대’
입력 2022.05.10 (12:01)
수정 2022.05.10 (1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제품의 국내 생산량이 줄어든 반면, 수입은 크게 늘어 점유 비율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0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7.4(2015년=100)로 1년 전보다 1.7%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한 제조업 제품을 국내에 공급한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제조업의 내수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국산 지수가 97.7로 금속가공과 자동차 등이 줄어 1.4% 감소했습니다.
반면 수입 지수는 136.9로 전자제품과 전기장비 등이 늘어 9.2%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8%로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점유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30.2%), 4분기(30%) 등 세 분기 연속 30%대 수입 점유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화 종류별로 보면 최종재는 0.6% 감소하고, 중간재는 3.1% 늘었습니다. 소비재는 의약품 등이 늘어 2.9% 증가했습니다. 자본재는 웨이퍼 가공 장비, 컨테이너선 등이 줄어 5.8% 감소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은 9.2% 감소했지만, 전자제품과 전기장비가 각각 13%, 7.4%씩 증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오늘(10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7.4(2015년=100)로 1년 전보다 1.7%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한 제조업 제품을 국내에 공급한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제조업의 내수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국산 지수가 97.7로 금속가공과 자동차 등이 줄어 1.4% 감소했습니다.
반면 수입 지수는 136.9로 전자제품과 전기장비 등이 늘어 9.2%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8%로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점유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30.2%), 4분기(30%) 등 세 분기 연속 30%대 수입 점유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화 종류별로 보면 최종재는 0.6% 감소하고, 중간재는 3.1% 늘었습니다. 소비재는 의약품 등이 늘어 2.9% 증가했습니다. 자본재는 웨이퍼 가공 장비, 컨테이너선 등이 줄어 5.8% 감소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은 9.2% 감소했지만, 전자제품과 전기장비가 각각 13%, 7.4%씩 증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계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조업 국내 생산↓·수입↑…수입 점유비 역대 ‘최대’
-
- 입력 2022-05-10 12:01:01
- 수정2022-05-10 12:09:40

제조업 제품의 국내 생산량이 줄어든 반면, 수입은 크게 늘어 점유 비율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0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7.4(2015년=100)로 1년 전보다 1.7%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한 제조업 제품을 국내에 공급한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제조업의 내수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국산 지수가 97.7로 금속가공과 자동차 등이 줄어 1.4% 감소했습니다.
반면 수입 지수는 136.9로 전자제품과 전기장비 등이 늘어 9.2%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8%로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점유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30.2%), 4분기(30%) 등 세 분기 연속 30%대 수입 점유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화 종류별로 보면 최종재는 0.6% 감소하고, 중간재는 3.1% 늘었습니다. 소비재는 의약품 등이 늘어 2.9% 증가했습니다. 자본재는 웨이퍼 가공 장비, 컨테이너선 등이 줄어 5.8% 감소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은 9.2% 감소했지만, 전자제품과 전기장비가 각각 13%, 7.4%씩 증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오늘(10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7.4(2015년=100)로 1년 전보다 1.7%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한 제조업 제품을 국내에 공급한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제조업의 내수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국산 지수가 97.7로 금속가공과 자동차 등이 줄어 1.4% 감소했습니다.
반면 수입 지수는 136.9로 전자제품과 전기장비 등이 늘어 9.2%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8%로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점유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30.2%), 4분기(30%) 등 세 분기 연속 30%대 수입 점유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화 종류별로 보면 최종재는 0.6% 감소하고, 중간재는 3.1% 늘었습니다. 소비재는 의약품 등이 늘어 2.9% 증가했습니다. 자본재는 웨이퍼 가공 장비, 컨테이너선 등이 줄어 5.8% 감소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은 9.2% 감소했지만, 전자제품과 전기장비가 각각 13%, 7.4%씩 증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계청 제공]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