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국정과제 ‘탄소 중립’…구미 제조업체 80% “대응 못해”
입력 2022.05.12 (08:05)
수정 2022.05.12 (09: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 정부가 주요 환경정책 중 하나로 '탄소중립'을 내세우면서 관련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지역 기업들은 비용이나 인력 문제로 탄소중립에 소극적인 모습인데요.
정책과 현장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합니다.
주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이 업체는 정부 지원 대상에 선정돼 올해 초 공장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했습니다.
덕분에 전력 사용량과 비용은 설치 전보다 20% 이상 절감됐고 탄소 저감 효과까지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권영만/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관계자 : "각 공정별로, 기기별로 전기량을 파악하고, 거기서 낭비가 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기 위해서…."]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이 같은 시설을 마련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북도가 최근 구미 제조업체 100여 곳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87%의 기업들이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탄소중립을 검토할 여유뿐만 아니라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약 80%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A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에너지) 고효율 설비들을 투자하면 설비가 상당히 고가고, 초기 투자가 굉장히 많이 든다는 거죠.”]
전국 최대 규모 산업단지인 구미 산단은 기계와 전기전자 등 탄소 다량배출 업종 비중이 전체 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탄소중립 정책과 규제를 적용할 경우 지역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이종수/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 : “(정부와 자치단체가) 열 수요, 동력 수요를 전기화 설비로 바꾸는 투자에 대해서 세제 혜택이라든지 혹은 보조금 지원을….”]
경상북도는 올 하반기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지역 기업들의 실정을 반영한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그래픽:김지현
새 정부가 주요 환경정책 중 하나로 '탄소중립'을 내세우면서 관련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지역 기업들은 비용이나 인력 문제로 탄소중립에 소극적인 모습인데요.
정책과 현장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합니다.
주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이 업체는 정부 지원 대상에 선정돼 올해 초 공장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했습니다.
덕분에 전력 사용량과 비용은 설치 전보다 20% 이상 절감됐고 탄소 저감 효과까지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권영만/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관계자 : "각 공정별로, 기기별로 전기량을 파악하고, 거기서 낭비가 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기 위해서…."]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이 같은 시설을 마련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북도가 최근 구미 제조업체 100여 곳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87%의 기업들이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탄소중립을 검토할 여유뿐만 아니라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약 80%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A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에너지) 고효율 설비들을 투자하면 설비가 상당히 고가고, 초기 투자가 굉장히 많이 든다는 거죠.”]
전국 최대 규모 산업단지인 구미 산단은 기계와 전기전자 등 탄소 다량배출 업종 비중이 전체 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탄소중립 정책과 규제를 적용할 경우 지역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이종수/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 : “(정부와 자치단체가) 열 수요, 동력 수요를 전기화 설비로 바꾸는 투자에 대해서 세제 혜택이라든지 혹은 보조금 지원을….”]
경상북도는 올 하반기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지역 기업들의 실정을 반영한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그래픽:김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 정부 국정과제 ‘탄소 중립’…구미 제조업체 80% “대응 못해”
-
- 입력 2022-05-12 08:05:55
- 수정2022-05-12 09:24:35

[앵커]
새 정부가 주요 환경정책 중 하나로 '탄소중립'을 내세우면서 관련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지역 기업들은 비용이나 인력 문제로 탄소중립에 소극적인 모습인데요.
정책과 현장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합니다.
주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이 업체는 정부 지원 대상에 선정돼 올해 초 공장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했습니다.
덕분에 전력 사용량과 비용은 설치 전보다 20% 이상 절감됐고 탄소 저감 효과까지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권영만/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관계자 : "각 공정별로, 기기별로 전기량을 파악하고, 거기서 낭비가 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기 위해서…."]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이 같은 시설을 마련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북도가 최근 구미 제조업체 100여 곳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87%의 기업들이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탄소중립을 검토할 여유뿐만 아니라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약 80%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A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에너지) 고효율 설비들을 투자하면 설비가 상당히 고가고, 초기 투자가 굉장히 많이 든다는 거죠.”]
전국 최대 규모 산업단지인 구미 산단은 기계와 전기전자 등 탄소 다량배출 업종 비중이 전체 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탄소중립 정책과 규제를 적용할 경우 지역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이종수/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 : “(정부와 자치단체가) 열 수요, 동력 수요를 전기화 설비로 바꾸는 투자에 대해서 세제 혜택이라든지 혹은 보조금 지원을….”]
경상북도는 올 하반기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지역 기업들의 실정을 반영한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그래픽:김지현
새 정부가 주요 환경정책 중 하나로 '탄소중립'을 내세우면서 관련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지역 기업들은 비용이나 인력 문제로 탄소중립에 소극적인 모습인데요.
정책과 현장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합니다.
주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이 업체는 정부 지원 대상에 선정돼 올해 초 공장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했습니다.
덕분에 전력 사용량과 비용은 설치 전보다 20% 이상 절감됐고 탄소 저감 효과까지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권영만/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관계자 : "각 공정별로, 기기별로 전기량을 파악하고, 거기서 낭비가 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기 위해서…."]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이 같은 시설을 마련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북도가 최근 구미 제조업체 100여 곳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87%의 기업들이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탄소중립을 검토할 여유뿐만 아니라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약 80%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A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에너지) 고효율 설비들을 투자하면 설비가 상당히 고가고, 초기 투자가 굉장히 많이 든다는 거죠.”]
전국 최대 규모 산업단지인 구미 산단은 기계와 전기전자 등 탄소 다량배출 업종 비중이 전체 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탄소중립 정책과 규제를 적용할 경우 지역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이종수/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 : “(정부와 자치단체가) 열 수요, 동력 수요를 전기화 설비로 바꾸는 투자에 대해서 세제 혜택이라든지 혹은 보조금 지원을….”]
경상북도는 올 하반기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지역 기업들의 실정을 반영한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그래픽:김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