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AI·바이오 교류 강화…원전 시장 공동진출
입력 2022.05.23 (10:00)
수정 2022.05.23 (1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미국과 기술 전문인력 간의 인적 교류를 확대하고 투자촉진과 연구개발 협력을 통해 신흥 기술 협력관계를 증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상회담의 성과에 대한 설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AI, 양자기술, 바이오기술 등 핵심 신흥기술을 보호하고 진흥하기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원자력발전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로(SMR) 분야에서 미국 주도의 제3국 역량 강화 프로그램(FIRST)에 우리나라가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양국 정부 협력 아래 원전 시장 공동진출과 기업 간 협력 지원을 추진합니다.
고위급위원회를 통해서는 핵연료 공급확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 안보 협력 심화 등의 세부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IPEF 참여를 통해서는 핵심 광물 협력과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은 물론 탈탄소나 디지털 등 새로운 통상이슈에 대한 글로벌 규범을 주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와 미국 상무부는 기존 국장급 산업협력대화를 장관급으로 격상해 기존 NSC 핫라인과 별도로 공급망을 논의하는 협의 채널 역할을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상회담의 성과에 대한 설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AI, 양자기술, 바이오기술 등 핵심 신흥기술을 보호하고 진흥하기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원자력발전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로(SMR) 분야에서 미국 주도의 제3국 역량 강화 프로그램(FIRST)에 우리나라가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양국 정부 협력 아래 원전 시장 공동진출과 기업 간 협력 지원을 추진합니다.
고위급위원회를 통해서는 핵연료 공급확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 안보 협력 심화 등의 세부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IPEF 참여를 통해서는 핵심 광물 협력과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은 물론 탈탄소나 디지털 등 새로운 통상이슈에 대한 글로벌 규범을 주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와 미국 상무부는 기존 국장급 산업협력대화를 장관급으로 격상해 기존 NSC 핫라인과 별도로 공급망을 논의하는 협의 채널 역할을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韓美 AI·바이오 교류 강화…원전 시장 공동진출
-
- 입력 2022-05-23 10:00:22
- 수정2022-05-23 10:09:49

우리나라가 미국과 기술 전문인력 간의 인적 교류를 확대하고 투자촉진과 연구개발 협력을 통해 신흥 기술 협력관계를 증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상회담의 성과에 대한 설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AI, 양자기술, 바이오기술 등 핵심 신흥기술을 보호하고 진흥하기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원자력발전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로(SMR) 분야에서 미국 주도의 제3국 역량 강화 프로그램(FIRST)에 우리나라가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양국 정부 협력 아래 원전 시장 공동진출과 기업 간 협력 지원을 추진합니다.
고위급위원회를 통해서는 핵연료 공급확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 안보 협력 심화 등의 세부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IPEF 참여를 통해서는 핵심 광물 협력과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은 물론 탈탄소나 디지털 등 새로운 통상이슈에 대한 글로벌 규범을 주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와 미국 상무부는 기존 국장급 산업협력대화를 장관급으로 격상해 기존 NSC 핫라인과 별도로 공급망을 논의하는 협의 채널 역할을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상회담의 성과에 대한 설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AI, 양자기술, 바이오기술 등 핵심 신흥기술을 보호하고 진흥하기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원자력발전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로(SMR) 분야에서 미국 주도의 제3국 역량 강화 프로그램(FIRST)에 우리나라가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양국 정부 협력 아래 원전 시장 공동진출과 기업 간 협력 지원을 추진합니다.
고위급위원회를 통해서는 핵연료 공급확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 안보 협력 심화 등의 세부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IPEF 참여를 통해서는 핵심 광물 협력과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은 물론 탈탄소나 디지털 등 새로운 통상이슈에 대한 글로벌 규범을 주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와 미국 상무부는 기존 국장급 산업협력대화를 장관급으로 격상해 기존 NSC 핫라인과 별도로 공급망을 논의하는 협의 채널 역할을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