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원숭이두창’ 19개국 확산…감시 강화
입력 2022.05.24 (23:51)
수정 2022.06.22 (1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예로부터 마마라고 불렸던 병, 천연두의 다른 말은 두창이라고도 합니다.
천연두는 43년 전에 종식됐는데요.
이 천연두와 비슷한 원숭이두창이라는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세계 19개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어떤 병인지, 국내 유입 가능성은 없는지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며칠전부터 언론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어떤 병입니까?
[앵커]
증상을 살펴볼까요.
뒤로 보시면 몸에서 수포가 올라오는 게 특징인데요.
천연두만큼 위험한 질병입니까?
[앵커]
이게 감염병이라 접촉을 통해서 전염될 것 같은데 호흡기를 통해서도 전파 됩니까?
[앵커]
일부 지역에서만 존재하던 풍토병이 어떻게 단 열흘 만에 세계 19개국, 130여 명에게 퍼져나간 걸까요?
[앵커]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는게 방역당국의 판단인데요.
정부도 대비에 나섰죠.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앵커]
원숭이두창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는 있습니까?
[앵커]
그럼 지금 연령대를 정해서 예방접종을 해야할까요?
[앵커]
지금 상황에서 원숭이두창이 또 다른 펜데믹이 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예로부터 마마라고 불렸던 병, 천연두의 다른 말은 두창이라고도 합니다.
천연두는 43년 전에 종식됐는데요.
이 천연두와 비슷한 원숭이두창이라는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세계 19개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어떤 병인지, 국내 유입 가능성은 없는지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며칠전부터 언론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어떤 병입니까?
[앵커]
증상을 살펴볼까요.
뒤로 보시면 몸에서 수포가 올라오는 게 특징인데요.
천연두만큼 위험한 질병입니까?
[앵커]
이게 감염병이라 접촉을 통해서 전염될 것 같은데 호흡기를 통해서도 전파 됩니까?
[앵커]
일부 지역에서만 존재하던 풍토병이 어떻게 단 열흘 만에 세계 19개국, 130여 명에게 퍼져나간 걸까요?
[앵커]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는게 방역당국의 판단인데요.
정부도 대비에 나섰죠.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앵커]
원숭이두창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는 있습니까?
[앵커]
그럼 지금 연령대를 정해서 예방접종을 해야할까요?
[앵커]
지금 상황에서 원숭이두창이 또 다른 펜데믹이 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원숭이두창’ 19개국 확산…감시 강화
-
- 입력 2022-05-24 23:51:18
- 수정2022-06-22 17:00:31

[앵커]
예로부터 마마라고 불렸던 병, 천연두의 다른 말은 두창이라고도 합니다.
천연두는 43년 전에 종식됐는데요.
이 천연두와 비슷한 원숭이두창이라는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세계 19개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어떤 병인지, 국내 유입 가능성은 없는지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며칠전부터 언론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어떤 병입니까?
[앵커]
증상을 살펴볼까요.
뒤로 보시면 몸에서 수포가 올라오는 게 특징인데요.
천연두만큼 위험한 질병입니까?
[앵커]
이게 감염병이라 접촉을 통해서 전염될 것 같은데 호흡기를 통해서도 전파 됩니까?
[앵커]
일부 지역에서만 존재하던 풍토병이 어떻게 단 열흘 만에 세계 19개국, 130여 명에게 퍼져나간 걸까요?
[앵커]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는게 방역당국의 판단인데요.
정부도 대비에 나섰죠.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앵커]
원숭이두창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는 있습니까?
[앵커]
그럼 지금 연령대를 정해서 예방접종을 해야할까요?
[앵커]
지금 상황에서 원숭이두창이 또 다른 펜데믹이 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예로부터 마마라고 불렸던 병, 천연두의 다른 말은 두창이라고도 합니다.
천연두는 43년 전에 종식됐는데요.
이 천연두와 비슷한 원숭이두창이라는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세계 19개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어떤 병인지, 국내 유입 가능성은 없는지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며칠전부터 언론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어떤 병입니까?
[앵커]
증상을 살펴볼까요.
뒤로 보시면 몸에서 수포가 올라오는 게 특징인데요.
천연두만큼 위험한 질병입니까?
[앵커]
이게 감염병이라 접촉을 통해서 전염될 것 같은데 호흡기를 통해서도 전파 됩니까?
[앵커]
일부 지역에서만 존재하던 풍토병이 어떻게 단 열흘 만에 세계 19개국, 130여 명에게 퍼져나간 걸까요?
[앵커]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는게 방역당국의 판단인데요.
정부도 대비에 나섰죠.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앵커]
원숭이두창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는 있습니까?
[앵커]
그럼 지금 연령대를 정해서 예방접종을 해야할까요?
[앵커]
지금 상황에서 원숭이두창이 또 다른 펜데믹이 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