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치 않은 고물가에…외식도 집밥도 부담

입력 2022.05.25 (06:25) 수정 2022.05.25 (06: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은데요.

소비자들이 예상하는, 앞으로 1년 동안의 물가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집밥을 먹기에도, 외식을 하기에도 부담이 큽니다.

김화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정육 판매대 앞, 주부들이 가격표를 한참 들여다봅니다.

망설인 끝에 돼지고기 한 팩을 집었지만 높아진 가격은 여전히 부담입니다.

[성기란/경기도 화성시 : "모든 게 다 올랐어요. 돼지고기나 고기 종류, 생선, 과일도 그렇고. 자주 먹고 시장 보는 것도 좀 생각을 하게 되고, 두 번 갈 거 한 번 가게 되고 하죠."]

조금이라도 싸게 살 수 있을까 이 매장, 저 매장을 돌아다니기도 합니다.

[대형마트 고객 : "고기 좀 싸게 판다고 해서 고기 좀 사러 왔는데요. (이 마트가) 싸게 할 때도 있고 다른 마트가 더 저렴하게 할 때도 있고 그래 가지고 그때그때 봐 가면서..."]

또 식용유나 간장 같은 요리에 꼭 필요한 재료도 비싸져 집에서 밥 한끼 차리기도 빠듯합니다.

[대형마트 고객 : "배달하는 것도, 배달비도 많이 올랐고. 또 그렇다고 집에서 장 봐서 만들려고 하니까 이런 기본 식자재값도 너무 많이 올라서..."]

점심 메뉴로 직장인들이 즐겨 찾는 칼국수는 8천 원, 설렁탕은 만 원입니다.

거리두기 규제가 풀렸지만 물가 뛴 것을 생각하면 회식도 맘대로 못할 처지입니다.

[최형석/직장인 : "원래 기존에 (소주 한 병 값이) 4천 원이었다면 요즘에는 그냥 흔하게 이제 5천 원인 거를 느껴만 봤을 때도 물가가 많이 올랐다..."]

간편식인 라면과 빵 가격 역시 10% 안팎으로 올랐습니다.

지난 1년동안 소비자들이 체감한 물가상승률도 9년 넉 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고물가 속에 소비자들은 앞으로의 생활형편마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물가를 잡겠다는 당국의 노력이 더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화영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상치 않은 고물가에…외식도 집밥도 부담
    • 입력 2022-05-25 06:25:01
    • 수정2022-05-25 06:40:16
    뉴스광장 1부
[앵커]

최근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은데요.

소비자들이 예상하는, 앞으로 1년 동안의 물가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집밥을 먹기에도, 외식을 하기에도 부담이 큽니다.

김화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정육 판매대 앞, 주부들이 가격표를 한참 들여다봅니다.

망설인 끝에 돼지고기 한 팩을 집었지만 높아진 가격은 여전히 부담입니다.

[성기란/경기도 화성시 : "모든 게 다 올랐어요. 돼지고기나 고기 종류, 생선, 과일도 그렇고. 자주 먹고 시장 보는 것도 좀 생각을 하게 되고, 두 번 갈 거 한 번 가게 되고 하죠."]

조금이라도 싸게 살 수 있을까 이 매장, 저 매장을 돌아다니기도 합니다.

[대형마트 고객 : "고기 좀 싸게 판다고 해서 고기 좀 사러 왔는데요. (이 마트가) 싸게 할 때도 있고 다른 마트가 더 저렴하게 할 때도 있고 그래 가지고 그때그때 봐 가면서..."]

또 식용유나 간장 같은 요리에 꼭 필요한 재료도 비싸져 집에서 밥 한끼 차리기도 빠듯합니다.

[대형마트 고객 : "배달하는 것도, 배달비도 많이 올랐고. 또 그렇다고 집에서 장 봐서 만들려고 하니까 이런 기본 식자재값도 너무 많이 올라서..."]

점심 메뉴로 직장인들이 즐겨 찾는 칼국수는 8천 원, 설렁탕은 만 원입니다.

거리두기 규제가 풀렸지만 물가 뛴 것을 생각하면 회식도 맘대로 못할 처지입니다.

[최형석/직장인 : "원래 기존에 (소주 한 병 값이) 4천 원이었다면 요즘에는 그냥 흔하게 이제 5천 원인 거를 느껴만 봤을 때도 물가가 많이 올랐다..."]

간편식인 라면과 빵 가격 역시 10% 안팎으로 올랐습니다.

지난 1년동안 소비자들이 체감한 물가상승률도 9년 넉 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고물가 속에 소비자들은 앞으로의 생활형편마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물가를 잡겠다는 당국의 노력이 더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화영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