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치솟고 타이어·세차비도 올라…차 굴리는 비용 25.2%↑
입력 2022.06.05 (12:13)
수정 2022.06.05 (13: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름값을 포함한 각종 차량 유지비가 오르면서 자가 운전자들의 부담이 커졌습니다.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4% 올랐습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2개 부문 가운데 교통 물가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통 물가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개인 운송장비 운영비, 운송 서비스 이용료로 구성되는데 개인 운송장비 운영 관련 품목의 상승률이 25.2%로 특히 높아, 2008년 7월(27.6%)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 등 연료비는 물론 타이어 등 소모품, 세차료, 주차료, 대리운전 이용료 등 부대 비용 대부분이 올랐습니다.
연료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휘발유(27.0%), 경유(45.8%), 자동차용 LPG(26.0%) 모두 가파르게 올랐는데, 5월 넷째 주 평균 주유소 판매가격은 휘발유 L당 1,993.8원, 경유 L당 2,000.3원에 달했습니다.
개인 운송장비 유지·수리에 드는 비용도 자동차용품(11.0%), 자동차 타이어(9.8%), 세차료(8.7%), 엔진오일 교체료(8.4%) 등을 중심으로 4.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송 서비스의 경우 대중교통 요금이 대체로 동결됐으나 항공요금 등이 오르면서 2.3% 상승했습니다.
국제 항공료와 국내 항공료가 각각 19.5%, 10.2%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여객선 요금도 9.2%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4% 올랐습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2개 부문 가운데 교통 물가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통 물가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개인 운송장비 운영비, 운송 서비스 이용료로 구성되는데 개인 운송장비 운영 관련 품목의 상승률이 25.2%로 특히 높아, 2008년 7월(27.6%)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 등 연료비는 물론 타이어 등 소모품, 세차료, 주차료, 대리운전 이용료 등 부대 비용 대부분이 올랐습니다.
연료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휘발유(27.0%), 경유(45.8%), 자동차용 LPG(26.0%) 모두 가파르게 올랐는데, 5월 넷째 주 평균 주유소 판매가격은 휘발유 L당 1,993.8원, 경유 L당 2,000.3원에 달했습니다.
개인 운송장비 유지·수리에 드는 비용도 자동차용품(11.0%), 자동차 타이어(9.8%), 세차료(8.7%), 엔진오일 교체료(8.4%) 등을 중심으로 4.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송 서비스의 경우 대중교통 요금이 대체로 동결됐으나 항공요금 등이 오르면서 2.3% 상승했습니다.
국제 항공료와 국내 항공료가 각각 19.5%, 10.2%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여객선 요금도 9.2%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름값 치솟고 타이어·세차비도 올라…차 굴리는 비용 25.2%↑
-
- 입력 2022-06-05 12:13:30
- 수정2022-06-05 13:23:31

기름값을 포함한 각종 차량 유지비가 오르면서 자가 운전자들의 부담이 커졌습니다.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4% 올랐습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2개 부문 가운데 교통 물가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통 물가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개인 운송장비 운영비, 운송 서비스 이용료로 구성되는데 개인 운송장비 운영 관련 품목의 상승률이 25.2%로 특히 높아, 2008년 7월(27.6%)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 등 연료비는 물론 타이어 등 소모품, 세차료, 주차료, 대리운전 이용료 등 부대 비용 대부분이 올랐습니다.
연료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휘발유(27.0%), 경유(45.8%), 자동차용 LPG(26.0%) 모두 가파르게 올랐는데, 5월 넷째 주 평균 주유소 판매가격은 휘발유 L당 1,993.8원, 경유 L당 2,000.3원에 달했습니다.
개인 운송장비 유지·수리에 드는 비용도 자동차용품(11.0%), 자동차 타이어(9.8%), 세차료(8.7%), 엔진오일 교체료(8.4%) 등을 중심으로 4.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송 서비스의 경우 대중교통 요금이 대체로 동결됐으나 항공요금 등이 오르면서 2.3% 상승했습니다.
국제 항공료와 국내 항공료가 각각 19.5%, 10.2%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여객선 요금도 9.2%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4% 올랐습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2개 부문 가운데 교통 물가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통 물가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 개인 운송장비 운영비, 운송 서비스 이용료로 구성되는데 개인 운송장비 운영 관련 품목의 상승률이 25.2%로 특히 높아, 2008년 7월(27.6%)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 등 연료비는 물론 타이어 등 소모품, 세차료, 주차료, 대리운전 이용료 등 부대 비용 대부분이 올랐습니다.
연료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휘발유(27.0%), 경유(45.8%), 자동차용 LPG(26.0%) 모두 가파르게 올랐는데, 5월 넷째 주 평균 주유소 판매가격은 휘발유 L당 1,993.8원, 경유 L당 2,000.3원에 달했습니다.
개인 운송장비 유지·수리에 드는 비용도 자동차용품(11.0%), 자동차 타이어(9.8%), 세차료(8.7%), 엔진오일 교체료(8.4%) 등을 중심으로 4.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송 서비스의 경우 대중교통 요금이 대체로 동결됐으나 항공요금 등이 오르면서 2.3% 상승했습니다.
국제 항공료와 국내 항공료가 각각 19.5%, 10.2%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여객선 요금도 9.2%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계현우 기자 kye@kbs.co.kr
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