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농축산물 생산·유통·판매 전 과정 가격 안정화 노력”

입력 2022.06.05 (15:04) 수정 2022.06.05 (15: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농축산물 생산·유통·판매의 전 과정에 걸쳐 가격 안정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추 부총리는 오늘(5일) 서울 도봉구 창동 농협하나로마트를 방문해 현장 물가를 점검하고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는 등 물가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우크라이나 사태와 주요 곡물 생산국의 수출 제한 조치에 따른 국제 곡물가 급등이 국내로 빠르게 전이되는 가운데 가뭄 피해까지 더해지면서 일부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생활물가도 불안하다”고 우려했습니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와 관련해 “현재 물가 상황은 대외 영향이 크므로 각 경제주체가 정부와 합심해 이겨내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도 농산물에 대한 안정적 수급관리와 식량 자급기반 확충, 생산·유통 비용 절감 등 물가 및 민생 안정 관련 대응 방안을 계속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추 부총리는 최근 심각해지는 가뭄 상황과 관련해서는 “농식품부와 농어촌공사 등 관계 기관들이 정부 내 가용재원을 최대한 활용해 관정을 개발하고 양수 장비를 지원하는 등 조치를 신속히 추진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 다목적댐 용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저수지를 준설하는 등 농촌용수 개발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노력도 기울여달라고 덧붙이고, 지난달 30일 발표한 긴급 민생안정대책에 대해선 “신속히 집행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 및 사료·비료 매입비 지원 사업을 조속히 집행하고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사업도 돼지고기 등 가격 불안 품목을 중심으로 서둘러달라고 지시했습니다.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사업은 농축산물 구매 시 20~30%(최대 1만 원)를 지원해주는 내용인데 정부는 필요하면 계란과 무, 배추 등 품목에 대한 긴급 할인행사도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추경호 부총리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출하 조절 시설과 채소 가격 안정제 물량을 활용해 공급을 확대해달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또, 가뭄에 따른 수급 불안이 물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배추·무·마늘·양파 등 노지 밭작물 중심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김인중 차관은 “오늘(5일) 비가 오더라도 일부 지역은 가뭄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작물별 가뭄 대책을 세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경호 “농축산물 생산·유통·판매 전 과정 가격 안정화 노력”
    • 입력 2022-06-05 15:04:51
    • 수정2022-06-05 15:11:44
    경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농축산물 생산·유통·판매의 전 과정에 걸쳐 가격 안정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추 부총리는 오늘(5일) 서울 도봉구 창동 농협하나로마트를 방문해 현장 물가를 점검하고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는 등 물가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우크라이나 사태와 주요 곡물 생산국의 수출 제한 조치에 따른 국제 곡물가 급등이 국내로 빠르게 전이되는 가운데 가뭄 피해까지 더해지면서 일부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생활물가도 불안하다”고 우려했습니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와 관련해 “현재 물가 상황은 대외 영향이 크므로 각 경제주체가 정부와 합심해 이겨내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도 농산물에 대한 안정적 수급관리와 식량 자급기반 확충, 생산·유통 비용 절감 등 물가 및 민생 안정 관련 대응 방안을 계속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추 부총리는 최근 심각해지는 가뭄 상황과 관련해서는 “농식품부와 농어촌공사 등 관계 기관들이 정부 내 가용재원을 최대한 활용해 관정을 개발하고 양수 장비를 지원하는 등 조치를 신속히 추진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 다목적댐 용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저수지를 준설하는 등 농촌용수 개발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노력도 기울여달라고 덧붙이고, 지난달 30일 발표한 긴급 민생안정대책에 대해선 “신속히 집행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 및 사료·비료 매입비 지원 사업을 조속히 집행하고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사업도 돼지고기 등 가격 불안 품목을 중심으로 서둘러달라고 지시했습니다.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사업은 농축산물 구매 시 20~30%(최대 1만 원)를 지원해주는 내용인데 정부는 필요하면 계란과 무, 배추 등 품목에 대한 긴급 할인행사도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추경호 부총리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출하 조절 시설과 채소 가격 안정제 물량을 활용해 공급을 확대해달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또, 가뭄에 따른 수급 불안이 물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배추·무·마늘·양파 등 노지 밭작물 중심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김인중 차관은 “오늘(5일) 비가 오더라도 일부 지역은 가뭄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작물별 가뭄 대책을 세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