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 쬐면 30분만에 흠집 복원…자가치유 코팅소재 개발

입력 2022.06.28 (20:04) 수정 2022.06.28 (20: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자동차 표면에 긁힘이나 흠집이 생기면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닌데요.

햇빛을 30분만 쬐면 차량 표면의 긁힘이나 흠집이 스스로 원상 복구되는 자가 치유 코팅 소재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 표면 여기저기에 긁히거나 흠집이 생긴 흔적들.

새 차를 도장할 때 입힌 보호용 코팅이 손상됐기 때문에 재도장하려면 큰 비용과 시간이 듭니다.

연구진이 자동차 모형에 특수 코팅 신소재를 입힙니다.

표면에 칼로 흠집을 낸 뒤 햇빛과 같은 레이저를 쏘자 30분 만에 흠집이 사라집니다.

이번엔 야외에서 돋보기를 이용해 햇빛을 모았더니 불과 30초 만에 원상 복구됩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개발한 자가치유 코팅 소재 기술입니다.

기존 상용 코팅 소재에 연구팀이 개발한 '힌더드 유레아' 라는 신물질과 투명한 유기 광열염료를 넣은 건데 햇빛을 비추면 빛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고분자들이 그물망 구조에서 해체됐다 붙었다를 반복하며 화학적인 결합을 하게 하는 겁니다.

[김진철/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개발한 코팅 소재는 태양광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해서 빠르고 물성 변화 없이 자기치유가 가능합니다."]

특히 일부 외국산 자가 치유 코팅 소재와는 달리 기존 보호용 코팅 소재와 내구성 등의 성능이 동일하고 햇빛에서 10% 미만을 차지하는 근적외선 파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빛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지은/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연구본부 선임연구원 : "무기소재가 아닌 유기소재 기반의 광열염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면서도 흡광계수가 높아서 소량만 사용해도 되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지금보다 내구성을 더 향상시켜 자동차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코팅 소재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햇빛 쬐면 30분만에 흠집 복원…자가치유 코팅소재 개발
    • 입력 2022-06-28 20:04:24
    • 수정2022-06-28 20:37:46
    뉴스7(대전)
[앵커]

자동차 표면에 긁힘이나 흠집이 생기면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닌데요.

햇빛을 30분만 쬐면 차량 표면의 긁힘이나 흠집이 스스로 원상 복구되는 자가 치유 코팅 소재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 표면 여기저기에 긁히거나 흠집이 생긴 흔적들.

새 차를 도장할 때 입힌 보호용 코팅이 손상됐기 때문에 재도장하려면 큰 비용과 시간이 듭니다.

연구진이 자동차 모형에 특수 코팅 신소재를 입힙니다.

표면에 칼로 흠집을 낸 뒤 햇빛과 같은 레이저를 쏘자 30분 만에 흠집이 사라집니다.

이번엔 야외에서 돋보기를 이용해 햇빛을 모았더니 불과 30초 만에 원상 복구됩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개발한 자가치유 코팅 소재 기술입니다.

기존 상용 코팅 소재에 연구팀이 개발한 '힌더드 유레아' 라는 신물질과 투명한 유기 광열염료를 넣은 건데 햇빛을 비추면 빛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고분자들이 그물망 구조에서 해체됐다 붙었다를 반복하며 화학적인 결합을 하게 하는 겁니다.

[김진철/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개발한 코팅 소재는 태양광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해서 빠르고 물성 변화 없이 자기치유가 가능합니다."]

특히 일부 외국산 자가 치유 코팅 소재와는 달리 기존 보호용 코팅 소재와 내구성 등의 성능이 동일하고 햇빛에서 10% 미만을 차지하는 근적외선 파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빛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지은/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연구본부 선임연구원 : "무기소재가 아닌 유기소재 기반의 광열염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면서도 흡광계수가 높아서 소량만 사용해도 되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지금보다 내구성을 더 향상시켜 자동차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코팅 소재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