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뒤 폭염 기승…4호 태풍 ‘에어리’ 초고속 북상
입력 2022.07.01 (21:20)
수정 2022.07.01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루한 장맛비가 대부분 그치면서 오랜만에 이런 파란 하늘, 또 따가운 햇살을 만났습니다.
참 반가웠는데, 잠시뿐일 것 같습니다.
다음 주 다시 장맛비가 내리고, 반갑지 않은 손님인 태풍도 올라옵니다.
김민경 기잡니다.
[리포트]
장맛비가 그치자마자 이번엔 따가운 햇볕이 내리쬡니다.
습도도 높아 밖에 잠시만 있어도 금방 땀이 나고 지칩니다.
[이유진/서울시 영등포구 : "아무래도 습하니까 조금 더 예민지수가 올라가는 것 같고, 갈증도 계속 나는 것 같아요."]
오늘(1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됐습니다.
특히 대구의 한낮 기온은 36.2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찜통 더위는 주말 내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다음 주에는 폭염 대신 태풍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소용돌이 구름, 오늘 오전에 발생한 제4호 태풍 '에어리'입니다.
태풍은 빠르게 북상합니다.
태풍 발생 사흘 만인 다음 주 월요일 밤 제주 남해상까지 접근하겠습니다.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때문입니다.
[문일주/교수/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 : "라니냐 시기에는 북서 태평양에서 북서쪽으로 좀 더 치우쳐서 태풍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요. 그러다 보니까 태풍이 발생하면 좀 더 빨리 우리나라 근처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태풍은 곧장 내륙으로 상륙할 수도 있지만, 일본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어떤 진로가 되더라도 제주와 남부지방은 직접 영향권에 들게 됩니다.
[박중환/기상청 예보분석관 : "제4호 태풍이 빠르게 북상하여 3일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4~5일경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이번 태풍은 많은 수증기를 머금고 있어서 강풍뿐 아니라 폭우를 동반할 가능성도 큽니다.
장마 뒤라 침수와 산사태에 다시 대비를 서둘러야 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최하운/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최창준 김미정 최유현
지루한 장맛비가 대부분 그치면서 오랜만에 이런 파란 하늘, 또 따가운 햇살을 만났습니다.
참 반가웠는데, 잠시뿐일 것 같습니다.
다음 주 다시 장맛비가 내리고, 반갑지 않은 손님인 태풍도 올라옵니다.
김민경 기잡니다.
[리포트]
장맛비가 그치자마자 이번엔 따가운 햇볕이 내리쬡니다.
습도도 높아 밖에 잠시만 있어도 금방 땀이 나고 지칩니다.
[이유진/서울시 영등포구 : "아무래도 습하니까 조금 더 예민지수가 올라가는 것 같고, 갈증도 계속 나는 것 같아요."]
오늘(1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됐습니다.
특히 대구의 한낮 기온은 36.2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찜통 더위는 주말 내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다음 주에는 폭염 대신 태풍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소용돌이 구름, 오늘 오전에 발생한 제4호 태풍 '에어리'입니다.
태풍은 빠르게 북상합니다.
태풍 발생 사흘 만인 다음 주 월요일 밤 제주 남해상까지 접근하겠습니다.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때문입니다.
[문일주/교수/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 : "라니냐 시기에는 북서 태평양에서 북서쪽으로 좀 더 치우쳐서 태풍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요. 그러다 보니까 태풍이 발생하면 좀 더 빨리 우리나라 근처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태풍은 곧장 내륙으로 상륙할 수도 있지만, 일본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어떤 진로가 되더라도 제주와 남부지방은 직접 영향권에 들게 됩니다.
[박중환/기상청 예보분석관 : "제4호 태풍이 빠르게 북상하여 3일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4~5일경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이번 태풍은 많은 수증기를 머금고 있어서 강풍뿐 아니라 폭우를 동반할 가능성도 큽니다.
장마 뒤라 침수와 산사태에 다시 대비를 서둘러야 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최하운/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최창준 김미정 최유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우 뒤 폭염 기승…4호 태풍 ‘에어리’ 초고속 북상
-
- 입력 2022-07-01 21:20:50
- 수정2022-07-01 21:56:05

[앵커]
지루한 장맛비가 대부분 그치면서 오랜만에 이런 파란 하늘, 또 따가운 햇살을 만났습니다.
참 반가웠는데, 잠시뿐일 것 같습니다.
다음 주 다시 장맛비가 내리고, 반갑지 않은 손님인 태풍도 올라옵니다.
김민경 기잡니다.
[리포트]
장맛비가 그치자마자 이번엔 따가운 햇볕이 내리쬡니다.
습도도 높아 밖에 잠시만 있어도 금방 땀이 나고 지칩니다.
[이유진/서울시 영등포구 : "아무래도 습하니까 조금 더 예민지수가 올라가는 것 같고, 갈증도 계속 나는 것 같아요."]
오늘(1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됐습니다.
특히 대구의 한낮 기온은 36.2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찜통 더위는 주말 내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다음 주에는 폭염 대신 태풍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소용돌이 구름, 오늘 오전에 발생한 제4호 태풍 '에어리'입니다.
태풍은 빠르게 북상합니다.
태풍 발생 사흘 만인 다음 주 월요일 밤 제주 남해상까지 접근하겠습니다.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때문입니다.
[문일주/교수/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 : "라니냐 시기에는 북서 태평양에서 북서쪽으로 좀 더 치우쳐서 태풍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요. 그러다 보니까 태풍이 발생하면 좀 더 빨리 우리나라 근처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태풍은 곧장 내륙으로 상륙할 수도 있지만, 일본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어떤 진로가 되더라도 제주와 남부지방은 직접 영향권에 들게 됩니다.
[박중환/기상청 예보분석관 : "제4호 태풍이 빠르게 북상하여 3일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4~5일경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이번 태풍은 많은 수증기를 머금고 있어서 강풍뿐 아니라 폭우를 동반할 가능성도 큽니다.
장마 뒤라 침수와 산사태에 다시 대비를 서둘러야 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최하운/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최창준 김미정 최유현
지루한 장맛비가 대부분 그치면서 오랜만에 이런 파란 하늘, 또 따가운 햇살을 만났습니다.
참 반가웠는데, 잠시뿐일 것 같습니다.
다음 주 다시 장맛비가 내리고, 반갑지 않은 손님인 태풍도 올라옵니다.
김민경 기잡니다.
[리포트]
장맛비가 그치자마자 이번엔 따가운 햇볕이 내리쬡니다.
습도도 높아 밖에 잠시만 있어도 금방 땀이 나고 지칩니다.
[이유진/서울시 영등포구 : "아무래도 습하니까 조금 더 예민지수가 올라가는 것 같고, 갈증도 계속 나는 것 같아요."]
오늘(1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됐습니다.
특히 대구의 한낮 기온은 36.2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찜통 더위는 주말 내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다음 주에는 폭염 대신 태풍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소용돌이 구름, 오늘 오전에 발생한 제4호 태풍 '에어리'입니다.
태풍은 빠르게 북상합니다.
태풍 발생 사흘 만인 다음 주 월요일 밤 제주 남해상까지 접근하겠습니다.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때문입니다.
[문일주/교수/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 : "라니냐 시기에는 북서 태평양에서 북서쪽으로 좀 더 치우쳐서 태풍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요. 그러다 보니까 태풍이 발생하면 좀 더 빨리 우리나라 근처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태풍은 곧장 내륙으로 상륙할 수도 있지만, 일본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어떤 진로가 되더라도 제주와 남부지방은 직접 영향권에 들게 됩니다.
[박중환/기상청 예보분석관 : "제4호 태풍이 빠르게 북상하여 3일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4~5일경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이번 태풍은 많은 수증기를 머금고 있어서 강풍뿐 아니라 폭우를 동반할 가능성도 큽니다.
장마 뒤라 침수와 산사태에 다시 대비를 서둘러야 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최하운/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최창준 김미정 최유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