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맥] 귀농 일번지 경북…장밋빛 ‘리틀 포레스트’?

입력 2022.07.04 (19:24) 수정 2022.07.04 (20: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팍팍한 도시에서 뭐 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 일상을 잠시 멈추고 고향을 찾은 주인공.

농작물을 직접 키우고, 매끼를 만들어 먹으며 사계절을 보냅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줄거린데요.

이런 장밋빛 '리틀 포레스트'를 꿈꾸며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매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도시에서 농촌으로 터전을 옮긴 사람은 51만 5천여 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4.2%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경북으로 귀농한 인구는 2천7백여 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시·군별로 봐도 전국 상위 5위 시군에 경북 네 곳이 포함되는 등 귀농 일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와 농식품부는 과수와 시설 채소 등 고소득 작물이 발달했고, 농지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영농기반 마련이 쉽다는 점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통계에서 특히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30대 이하 청년 귀농인들의 증가세인데요.

지난해 청년 귀농인은 천 5백여 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농식품부는 농촌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이 변화됐고 영농 정착 지원 사업 등이 효과를 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업난과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한 주거 불안도 주된 요인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귀농의 삶이 윤택한 것만은 아닙니다.

귀농인 대다수가 귀농 직전보다 연 소득이 천만 원가량 줄었는데요.

이를 회복하는 데는 최소 5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소득 부족 등을 이유로 자영업이나 일용직 등 농업 외 경제활동을 하는 가구가 58%에 달합니다.

이 때문에 농식품부는 오는 2026년까지 추진할 종합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다섯 가지 전략의 주요 내용을 보면요.

먼저, 농협 인프라를 이용한 준비 커뮤니티 지원, 농촌 지역 내 취창업 활성화, 영농 컨설팅과 정착지원금 등을 제공하고요.

또 농촌 공간 정비와 귀농·귀촌 단계별 정보, 서비스 통합 제공 플랫폼도 마련합니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귀농·귀촌 수요가 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다만, 농촌의 상주인구 증가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관계인구'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농촌 활성화 정책 방향을 '관계인구 확충'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는 혈연이나 지연, 업무상 관계가 없지만 특정 농촌 지역과 꾸준히 연고를 맺어가는 방식인데요.

일본 국토교통성이 제시한 관계 형성 7단계를 보면 무관계에서 지역 특산품 구입, 고향세 납부 등 가벼운 활동부터 자주 방문과 봉사활동, 복수지역 거주에서 이주 정착까지, 지속적이고 점진적으로 내실을 갖춰 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귀농·귀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과 함께, 관계인구 등 폭넓은 유형의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농촌 고령화와 지방소멸 문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귀농·귀촌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죠.

귀농·귀촌인들의 장밋빛 꿈이 '빛만 좋은 개살구'로 전락하지 않도록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쇼맥뉴스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쇼맥] 귀농 일번지 경북…장밋빛 ‘리틀 포레스트’?
    • 입력 2022-07-04 19:24:36
    • 수정2022-07-04 20:24:18
    뉴스7(대구)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팍팍한 도시에서 뭐 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 일상을 잠시 멈추고 고향을 찾은 주인공.

농작물을 직접 키우고, 매끼를 만들어 먹으며 사계절을 보냅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줄거린데요.

이런 장밋빛 '리틀 포레스트'를 꿈꾸며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매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도시에서 농촌으로 터전을 옮긴 사람은 51만 5천여 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4.2%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경북으로 귀농한 인구는 2천7백여 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시·군별로 봐도 전국 상위 5위 시군에 경북 네 곳이 포함되는 등 귀농 일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와 농식품부는 과수와 시설 채소 등 고소득 작물이 발달했고, 농지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영농기반 마련이 쉽다는 점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통계에서 특히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30대 이하 청년 귀농인들의 증가세인데요.

지난해 청년 귀농인은 천 5백여 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농식품부는 농촌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이 변화됐고 영농 정착 지원 사업 등이 효과를 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업난과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한 주거 불안도 주된 요인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귀농의 삶이 윤택한 것만은 아닙니다.

귀농인 대다수가 귀농 직전보다 연 소득이 천만 원가량 줄었는데요.

이를 회복하는 데는 최소 5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소득 부족 등을 이유로 자영업이나 일용직 등 농업 외 경제활동을 하는 가구가 58%에 달합니다.

이 때문에 농식품부는 오는 2026년까지 추진할 종합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다섯 가지 전략의 주요 내용을 보면요.

먼저, 농협 인프라를 이용한 준비 커뮤니티 지원, 농촌 지역 내 취창업 활성화, 영농 컨설팅과 정착지원금 등을 제공하고요.

또 농촌 공간 정비와 귀농·귀촌 단계별 정보, 서비스 통합 제공 플랫폼도 마련합니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귀농·귀촌 수요가 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다만, 농촌의 상주인구 증가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관계인구'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농촌 활성화 정책 방향을 '관계인구 확충'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는 혈연이나 지연, 업무상 관계가 없지만 특정 농촌 지역과 꾸준히 연고를 맺어가는 방식인데요.

일본 국토교통성이 제시한 관계 형성 7단계를 보면 무관계에서 지역 특산품 구입, 고향세 납부 등 가벼운 활동부터 자주 방문과 봉사활동, 복수지역 거주에서 이주 정착까지, 지속적이고 점진적으로 내실을 갖춰 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귀농·귀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과 함께, 관계인구 등 폭넓은 유형의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농촌 고령화와 지방소멸 문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귀농·귀촌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죠.

귀농·귀촌인들의 장밋빛 꿈이 '빛만 좋은 개살구'로 전락하지 않도록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쇼맥뉴스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