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집·직방·리디, ‘세계 유니콘 클럽’ 입성…한국 기업 15개로 늘어

입력 2022.07.07 (15:16) 수정 2022.07.07 (15: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오늘의집’과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직방’, 콘텐츠 플랫폼 기업 ‘리디’ 등 한국 스타트업 3곳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이 선정한 ‘세계 유니콘 클럽’에 추가됐습니다.

미국의 데이터 분석·리서치 기관 CB인사이츠에 따르면 이 기관이 현지시각 6일 발표한 ‘2022 글로벌 유니콘 마켓지도’에 포함된 세계 1천170개 유니콘 기업 목록에 이 3개 스타트업이 신규로 포함됐습니다.

유니콘 마켓지도는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한국 돈 약 1조 2천994억 원을 넘는 ‘유니콘 기업’에 해당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인공지능, 핀테크, 교육기술 등 15개 분야로 분류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CB인사이츠는 매년 유니콘 기업 리스트를 업데이트해 발표하는데, 올해 지도는 이달 1일을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올해 지도에서 ‘오늘의집’과 ‘리디’는 15개 범주 가운데 이커머스·직접판매(D2C) 분야에 속했고, ‘직방’은 모바일·통신으로 분류됐습니다.

이에 따라 CB인사이트 유니콘 마켓지도에 포함된 국내 기업은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컬리 ▲쏘카 ▲두나무 ▲무신사 ▲야놀자 ▲IGA웍스 ▲위메프 ▲지피클럽 ▲에이프로젠 ▲L&P코스메틱 ▲옐로모바일 등 총 15개로 늘었습니다.

이 지도를 기준으로 2020년 말 전 세계 563개이던 유니콘 기업은 지난해 말 960개로 70% 넘게 증가했으나, 올해 들어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등 글로벌 시장 상황이 악화하면서 증가 속도가 다소 둔화했습니다.

[사진 출처 : CB인사이츠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의집·직방·리디, ‘세계 유니콘 클럽’ 입성…한국 기업 15개로 늘어
    • 입력 2022-07-07 15:16:51
    • 수정2022-07-07 15:19:18
    국제
인테리어·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오늘의집’과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직방’, 콘텐츠 플랫폼 기업 ‘리디’ 등 한국 스타트업 3곳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이 선정한 ‘세계 유니콘 클럽’에 추가됐습니다.

미국의 데이터 분석·리서치 기관 CB인사이츠에 따르면 이 기관이 현지시각 6일 발표한 ‘2022 글로벌 유니콘 마켓지도’에 포함된 세계 1천170개 유니콘 기업 목록에 이 3개 스타트업이 신규로 포함됐습니다.

유니콘 마켓지도는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한국 돈 약 1조 2천994억 원을 넘는 ‘유니콘 기업’에 해당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인공지능, 핀테크, 교육기술 등 15개 분야로 분류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CB인사이츠는 매년 유니콘 기업 리스트를 업데이트해 발표하는데, 올해 지도는 이달 1일을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올해 지도에서 ‘오늘의집’과 ‘리디’는 15개 범주 가운데 이커머스·직접판매(D2C) 분야에 속했고, ‘직방’은 모바일·통신으로 분류됐습니다.

이에 따라 CB인사이트 유니콘 마켓지도에 포함된 국내 기업은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컬리 ▲쏘카 ▲두나무 ▲무신사 ▲야놀자 ▲IGA웍스 ▲위메프 ▲지피클럽 ▲에이프로젠 ▲L&P코스메틱 ▲옐로모바일 등 총 15개로 늘었습니다.

이 지도를 기준으로 2020년 말 전 세계 563개이던 유니콘 기업은 지난해 말 960개로 70% 넘게 증가했으나, 올해 들어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등 글로벌 시장 상황이 악화하면서 증가 속도가 다소 둔화했습니다.

[사진 출처 : CB인사이츠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