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8일째 폭염 특보…온열 질환자 급증, 가축 폐사도 잇따라

입력 2022.07.07 (19:03) 수정 2022.07.07 (1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 전남에 폭염 특보가 내려진지 오늘로 8일째입니다.

습도도 높아 체감 더위를 더하고 있습니다.

온열 질환자 크게 늘었고, 가축 폐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김정대 기자입니다.

[리포트]

먹구름이 해를 가렸지만 수은주는 수직 상승했습니다.

정자 그늘 아래 피해도 더위를 물리치지는 못합니다.

[차영순/광주시 송정동 : "활동하기가 너무 더워요. 밤에는 열대야가 계속 있고. 눈만 뜨면 덥고..."]

오늘 광주의 낮 최고기온은 33도.

곡성 옥과는 34.4도까지 올라 전남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체감 온도는 대부분 지역이 35도에 육박했습니다.

폭염특보는 벌써 8일째입니다.

지난 5월 말부터 지금까지 광주에서 5명, 전남에서 49명의 온열 질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지난해보다 배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가축 폐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남에서는 26개 농가 가축 5천여 마리가 폐사했는데, 특히 더위에 약한 닭과 오리 피해가 컸습니다.

[임종근/나주시 세지면 : "올해 같은 경우는 더위가 빨리 오고, 또 습도도 높고. 그러다 보니까 오리들이 폐사가 훨씬 늘어나서..."]

기상청은 지난해보다 폭염이 열흘가량 빨라졌고, 남쪽에서 습하고 더운 공기가 계속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기온이라도 습도가 높으면 체감 온도가 급상승하는데, 근래 광주 전남은 80%가 넘는 습도를 기록 중입니다.

[이덕배/광주기상청 방재기상소통팀장 : "최근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체감 온도가 높아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말인 9일과 10일에도 고기압의 영향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기상청은 다음 주, 주춤했던 장맛비가 다시 내리겠지만, 이후 폭염이 이어질 거라며 건강 관리에 유의하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전남 8일째 폭염 특보…온열 질환자 급증, 가축 폐사도 잇따라
    • 입력 2022-07-07 19:03:18
    • 수정2022-07-07 19:52:39
    뉴스7(광주)
[앵커]

광주 전남에 폭염 특보가 내려진지 오늘로 8일째입니다.

습도도 높아 체감 더위를 더하고 있습니다.

온열 질환자 크게 늘었고, 가축 폐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김정대 기자입니다.

[리포트]

먹구름이 해를 가렸지만 수은주는 수직 상승했습니다.

정자 그늘 아래 피해도 더위를 물리치지는 못합니다.

[차영순/광주시 송정동 : "활동하기가 너무 더워요. 밤에는 열대야가 계속 있고. 눈만 뜨면 덥고..."]

오늘 광주의 낮 최고기온은 33도.

곡성 옥과는 34.4도까지 올라 전남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체감 온도는 대부분 지역이 35도에 육박했습니다.

폭염특보는 벌써 8일째입니다.

지난 5월 말부터 지금까지 광주에서 5명, 전남에서 49명의 온열 질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지난해보다 배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가축 폐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남에서는 26개 농가 가축 5천여 마리가 폐사했는데, 특히 더위에 약한 닭과 오리 피해가 컸습니다.

[임종근/나주시 세지면 : "올해 같은 경우는 더위가 빨리 오고, 또 습도도 높고. 그러다 보니까 오리들이 폐사가 훨씬 늘어나서..."]

기상청은 지난해보다 폭염이 열흘가량 빨라졌고, 남쪽에서 습하고 더운 공기가 계속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기온이라도 습도가 높으면 체감 온도가 급상승하는데, 근래 광주 전남은 80%가 넘는 습도를 기록 중입니다.

[이덕배/광주기상청 방재기상소통팀장 : "최근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체감 온도가 높아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말인 9일과 10일에도 고기압의 영향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기상청은 다음 주, 주춤했던 장맛비가 다시 내리겠지만, 이후 폭염이 이어질 거라며 건강 관리에 유의하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