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분석과 장인의 기술로…‘직지’ 원형 복원

입력 2022.07.11 (07:47) 수정 2022.07.11 (08: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인 '직지'의 원형을 복제하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과학적 분석과 장인의 손길을 거친 전통 방식으로 직지의 원형이 고스란히 재현됐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판 위에 칼끝을 세워 조심스레 망치로 두드리자 행운을 뜻하는 상상 속 꽃 무늬가 새겨집니다.

완성된 목판에 밀랍을 발라 둥근 돌로 밀어내면 한지 위로 꽃이 피어납니다.

책 표지에 글씨나 문양을 새기는 전통적인 책 제작 방법입니다.

한지와 먹 등의 재료 역시 국가무형문화재가 참여해 전통 방식으로 제작됐습니다.

소중한 기록 유산인 직지의 원형이 옛 방식으로 재현된 겁니다.

[박영덕/충북 무형문화재 각자장 : "최고의 장인들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분들이 십시일반 (힘을 보태) 고려 시대 때 책을 만드는 과정을 다시 재현하는."]

직지의 원형 복원은 과학적인 분석의 산물.

청주시가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협력해 단 한 권 남은 직지 원본의 종이 성분과 표면 상태, 먹 농도 등을 세밀하게 분석했습니다.

[최태호/충북대학교 목재종이학과 교수 : "직지 원본의 표지 및 내지에 사용된 유기물과 무기물을 분석 기기를 활용해서 분석 (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현재 남은 직지 원본을 그대로 재현한 복본과 1377년 발행된 상태를 추정해 만든 복본이 각각 30부씩 제작됐습니다.

[윤희봉/청주 고인쇄박물관 학예사 : "(사진 등으로 복제한) 영인본으로 대체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복제를 해왔습니다. 원본을 대체할 수 있을 만한 복제품을 만들려는 노력의 하나로..."]

과학적 분석과 장인의 손끝을 통해 복원된 직지 복본은 오는 9월, 직지문화제를 통해 대중에 처음 공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학적 분석과 장인의 기술로…‘직지’ 원형 복원
    • 입력 2022-07-11 07:47:43
    • 수정2022-07-11 08:48:46
    뉴스광장
[앵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인 '직지'의 원형을 복제하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과학적 분석과 장인의 손길을 거친 전통 방식으로 직지의 원형이 고스란히 재현됐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판 위에 칼끝을 세워 조심스레 망치로 두드리자 행운을 뜻하는 상상 속 꽃 무늬가 새겨집니다.

완성된 목판에 밀랍을 발라 둥근 돌로 밀어내면 한지 위로 꽃이 피어납니다.

책 표지에 글씨나 문양을 새기는 전통적인 책 제작 방법입니다.

한지와 먹 등의 재료 역시 국가무형문화재가 참여해 전통 방식으로 제작됐습니다.

소중한 기록 유산인 직지의 원형이 옛 방식으로 재현된 겁니다.

[박영덕/충북 무형문화재 각자장 : "최고의 장인들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분들이 십시일반 (힘을 보태) 고려 시대 때 책을 만드는 과정을 다시 재현하는."]

직지의 원형 복원은 과학적인 분석의 산물.

청주시가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협력해 단 한 권 남은 직지 원본의 종이 성분과 표면 상태, 먹 농도 등을 세밀하게 분석했습니다.

[최태호/충북대학교 목재종이학과 교수 : "직지 원본의 표지 및 내지에 사용된 유기물과 무기물을 분석 기기를 활용해서 분석 (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현재 남은 직지 원본을 그대로 재현한 복본과 1377년 발행된 상태를 추정해 만든 복본이 각각 30부씩 제작됐습니다.

[윤희봉/청주 고인쇄박물관 학예사 : "(사진 등으로 복제한) 영인본으로 대체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복제를 해왔습니다. 원본을 대체할 수 있을 만한 복제품을 만들려는 노력의 하나로..."]

과학적 분석과 장인의 손끝을 통해 복원된 직지 복본은 오는 9월, 직지문화제를 통해 대중에 처음 공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