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칩·옥수수빵’…가공식품 개발로 판로 개척

입력 2022.07.18 (08:30) 수정 2022.07.18 (08: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이 가공식품으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는 창업 교육부터 가공시설 지원, 통합 브랜드 개발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얇게 썰린 사과를 건조기에 넣어 말리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바삭한 사과 칩이 만들어집니다.

이 협동조합에서 지역 농특산물로 생산하는 가공품 종류만 30여 종.

농민들이 공동브랜드를 내걸고 직거래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농특산물 가공식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박종임/'들애지음' 참여 농민 : "농민이 직접 농사를 짓고 직접 가공하니까 무엇보다 가장 신뢰가 가겠죠. 창업 교육까지 받아서 조합원으로 함께 활동할 수 있고…."]

또 다른 대표 농특산물인 '대학 찰옥수수'는 빵으로 개발돼 지역 카페와 빵집 등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방성기/제과 업체 : "괴산 특산물 중에 옥수수가루가 유명하기 때문에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옥수수를 이용한 빵을 만들게 됐고요."]

온라인 쇼핑몰 입점 등 대량 생산을 통한 상품화도 앞두고 있습니다.

[임익성/○○영농조합법인 : "전국적으로 괴산 대학 찰옥수수를 이용한 빵을 알리기 위해서 온라인 판매를 계획하고 있고, 많은 교육을 받으면서 기술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는 교육부터 가공시설 지원, 통합 브랜드 개발까지 포괄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 이태원에서 진행된 반짝 매장 '괴산 상회'와 옥수수빵 순례 지도 등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 지역을 알리는 효과도 거두고 있습니다.

[정형숙/괴산군농업기술센터 농촌자원팀 : "(농민들이) 어떻게 가공을 해야 할지 어떤 제품을 만들어야 할지 어떤 것이 잘 팔릴지에 대한 고민은 많이 못 하세요. (자치단체가) 소비자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가공품을) 브랜드화하고…."]

농민과 자치단체가 협력해 생산하는 농특산물 가공식품이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은 물론 지역을 홍보하는 효과까지 거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과칩·옥수수빵’…가공식품 개발로 판로 개척
    • 입력 2022-07-18 08:30:23
    • 수정2022-07-18 08:48:45
    뉴스광장(청주)
[앵커]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이 가공식품으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는 창업 교육부터 가공시설 지원, 통합 브랜드 개발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얇게 썰린 사과를 건조기에 넣어 말리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바삭한 사과 칩이 만들어집니다.

이 협동조합에서 지역 농특산물로 생산하는 가공품 종류만 30여 종.

농민들이 공동브랜드를 내걸고 직거래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농특산물 가공식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박종임/'들애지음' 참여 농민 : "농민이 직접 농사를 짓고 직접 가공하니까 무엇보다 가장 신뢰가 가겠죠. 창업 교육까지 받아서 조합원으로 함께 활동할 수 있고…."]

또 다른 대표 농특산물인 '대학 찰옥수수'는 빵으로 개발돼 지역 카페와 빵집 등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방성기/제과 업체 : "괴산 특산물 중에 옥수수가루가 유명하기 때문에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옥수수를 이용한 빵을 만들게 됐고요."]

온라인 쇼핑몰 입점 등 대량 생산을 통한 상품화도 앞두고 있습니다.

[임익성/○○영농조합법인 : "전국적으로 괴산 대학 찰옥수수를 이용한 빵을 알리기 위해서 온라인 판매를 계획하고 있고, 많은 교육을 받으면서 기술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는 교육부터 가공시설 지원, 통합 브랜드 개발까지 포괄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 이태원에서 진행된 반짝 매장 '괴산 상회'와 옥수수빵 순례 지도 등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 지역을 알리는 효과도 거두고 있습니다.

[정형숙/괴산군농업기술센터 농촌자원팀 : "(농민들이) 어떻게 가공을 해야 할지 어떤 제품을 만들어야 할지 어떤 것이 잘 팔릴지에 대한 고민은 많이 못 하세요. (자치단체가) 소비자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가공품을) 브랜드화하고…."]

농민과 자치단체가 협력해 생산하는 농특산물 가공식품이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은 물론 지역을 홍보하는 효과까지 거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