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망원경 화제에…中 “우리도 곧 쏜다”

입력 2022.07.20 (12:44) 수정 2022.07.20 (12: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우주의 신비를 담은 영상들을 전송하며 큰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이에 질새라 중국도 우주망원경 진행 경과를 밝히고 우주정거장에 새로 설치할 실험 모듈 발사를 준비하는 등 미국과의 우주 경쟁 의지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베이징 조성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조립동의 문이 열리자 중국 창정 로켓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어 발사대 쪽으로 2시간에 걸쳐 옮겨집니다.

이달 안에 로켓을 발사해 실험실 모듈을 중국의 우주 정거장에 도킹시킬 계획입니다.

[마오완뱌오/시창 위성발사센터 부주임 : "전기 공급과 검사를 통해 원톈 실험실 모듈의 각 시스템과 발사체 시스템이 양호한 상태에 있도록 확인합니다."]

이처럼 핵심 시설의 조립을 차례로 마치면서 올해 안에 독자 우주 정거장을 완성한다는게 중국의 목표입니다.

우주 정거장 다음 단계로 추진하는 또 하나 야심찬 계획의 세부 내용도 공개했습니다.

바로 우주 망원경 '쉰톈'입니다.

내년 말 쏘아올려 2024년 정상 운영할 예정입니다.

시야가 넓은 것이 특징입니다.

[쉬슈얜/중국과학원 창춘광학정밀기계연구소 연구원 : "동등한 조건에서 허블 망원경은 별 1개를 볼 때 쉰톈 망원경은 300개의 별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다양한 우주 영상을 전송하며 화제가 되자 중국도 우주 망원경 개발 경과를 관영매체를 통해 공개하며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입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 첫 태양 탐사위성을 쏘아 올리고 화성에 탐사선을 착륙시키는데도 성공한 바 있습니다.

최근 미국 나사 국장이 중국이 달을 장악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말을 하자 중국 외교부가 거짓이라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미.중 간 경쟁이 우주에서도 점입가경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지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임스 웹’ 망원경 화제에…中 “우리도 곧 쏜다”
    • 입력 2022-07-20 12:44:25
    • 수정2022-07-20 12:50:31
    뉴스 12
[앵커]

최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우주의 신비를 담은 영상들을 전송하며 큰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이에 질새라 중국도 우주망원경 진행 경과를 밝히고 우주정거장에 새로 설치할 실험 모듈 발사를 준비하는 등 미국과의 우주 경쟁 의지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베이징 조성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조립동의 문이 열리자 중국 창정 로켓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어 발사대 쪽으로 2시간에 걸쳐 옮겨집니다.

이달 안에 로켓을 발사해 실험실 모듈을 중국의 우주 정거장에 도킹시킬 계획입니다.

[마오완뱌오/시창 위성발사센터 부주임 : "전기 공급과 검사를 통해 원톈 실험실 모듈의 각 시스템과 발사체 시스템이 양호한 상태에 있도록 확인합니다."]

이처럼 핵심 시설의 조립을 차례로 마치면서 올해 안에 독자 우주 정거장을 완성한다는게 중국의 목표입니다.

우주 정거장 다음 단계로 추진하는 또 하나 야심찬 계획의 세부 내용도 공개했습니다.

바로 우주 망원경 '쉰톈'입니다.

내년 말 쏘아올려 2024년 정상 운영할 예정입니다.

시야가 넓은 것이 특징입니다.

[쉬슈얜/중국과학원 창춘광학정밀기계연구소 연구원 : "동등한 조건에서 허블 망원경은 별 1개를 볼 때 쉰톈 망원경은 300개의 별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다양한 우주 영상을 전송하며 화제가 되자 중국도 우주 망원경 개발 경과를 관영매체를 통해 공개하며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입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 첫 태양 탐사위성을 쏘아 올리고 화성에 탐사선을 착륙시키는데도 성공한 바 있습니다.

최근 미국 나사 국장이 중국이 달을 장악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말을 하자 중국 외교부가 거짓이라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미.중 간 경쟁이 우주에서도 점입가경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지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