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발 물가 상승 막아라!…물가 잡으려 전 세계 ‘역통화전쟁’

입력 2022.07.22 (21:35) 수정 2022.07.22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유럽중앙은행까지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달러화 강세에 맞서 자기네 통화 가치를 높이는 세계 각 나라의 이른바 '역환율 전쟁'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뉴욕 연결해 더 짚어보겠습니다.

한보경 특파원, 유럽중앙은행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린 데에는 유로화 가치가 떨어지는 걸 막겠다는 계산이 깔린 거겠죠?

[기자]

네, 유럽중앙은행도 너무 비싸진 미국 달러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었을 겁니다.

유럽 경제가 전쟁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데다가,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까지 맞물리면서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는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사실상 미국 달러만 '나홀로 초강세'라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미국 따라 앞다퉈 큰 폭의 금리 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올 2분기에만 55개 나라 중앙은행이 모두 62차례에 걸쳐 0.5%p 이상 기준금리를 인상한 걸로 추산됩니다.

이달에도 18차례나 됩니다.

[앵커]

많은 나라들이 이렇게 금리 올려서 통화 가치를 끌어올리려고 하고 있어요?

[기자]

결국 물가 때문입니다.

특히 수입물가 때문인데,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통상적으로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환율은 오르는 거라 수출할 때 가격 경쟁력이 좋아집니다.

대부분 나라들이 수출에 유리한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일부러 유도하기도 했는데, 이걸 두고 '환율 전쟁'이라고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그 반대로 이른바 '역환율 전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세계 교역의 40% 가량이 달러화로 이뤄지는데 비싸진 달러가 각 국의 수입 물가를 흔들다보니 물가 잡기 위해 자국 통화가치를 끌어 올리는 게 급선무가 됐고, 그래서 금리를 올리고 있는 겁니다.

우리나라 역시 전체 수입의 80% 이상이 달러화로 결제되고 있기 때문에 1,300원 넘어선 원달러 환율은 큰 부담입니다.

[앵커]

언제쯤 달러 강세가 좀 누그러질까요?

[기자]

그건 달러화를 움직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에게 달렸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야 가능할 겁니다.

현재 물가 사태를 예측 못했듯이 연준이 이 시점을 예측하기도 물론 어려울 것 같습니다.

연준은 다음 주 열릴 통화정책회의에서도 0.75%p 이상의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나희 이지은/그래픽제작:이근희 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달러발 물가 상승 막아라!…물가 잡으려 전 세계 ‘역통화전쟁’
    • 입력 2022-07-22 21:35:28
    • 수정2022-07-22 22:06:04
    뉴스 9
[앵커]

이렇게 유럽중앙은행까지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달러화 강세에 맞서 자기네 통화 가치를 높이는 세계 각 나라의 이른바 '역환율 전쟁'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뉴욕 연결해 더 짚어보겠습니다.

한보경 특파원, 유럽중앙은행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린 데에는 유로화 가치가 떨어지는 걸 막겠다는 계산이 깔린 거겠죠?

[기자]

네, 유럽중앙은행도 너무 비싸진 미국 달러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었을 겁니다.

유럽 경제가 전쟁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데다가,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까지 맞물리면서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는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사실상 미국 달러만 '나홀로 초강세'라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미국 따라 앞다퉈 큰 폭의 금리 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올 2분기에만 55개 나라 중앙은행이 모두 62차례에 걸쳐 0.5%p 이상 기준금리를 인상한 걸로 추산됩니다.

이달에도 18차례나 됩니다.

[앵커]

많은 나라들이 이렇게 금리 올려서 통화 가치를 끌어올리려고 하고 있어요?

[기자]

결국 물가 때문입니다.

특히 수입물가 때문인데,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통상적으로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환율은 오르는 거라 수출할 때 가격 경쟁력이 좋아집니다.

대부분 나라들이 수출에 유리한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일부러 유도하기도 했는데, 이걸 두고 '환율 전쟁'이라고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그 반대로 이른바 '역환율 전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세계 교역의 40% 가량이 달러화로 이뤄지는데 비싸진 달러가 각 국의 수입 물가를 흔들다보니 물가 잡기 위해 자국 통화가치를 끌어 올리는 게 급선무가 됐고, 그래서 금리를 올리고 있는 겁니다.

우리나라 역시 전체 수입의 80% 이상이 달러화로 결제되고 있기 때문에 1,300원 넘어선 원달러 환율은 큰 부담입니다.

[앵커]

언제쯤 달러 강세가 좀 누그러질까요?

[기자]

그건 달러화를 움직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에게 달렸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야 가능할 겁니다.

현재 물가 사태를 예측 못했듯이 연준이 이 시점을 예측하기도 물론 어려울 것 같습니다.

연준은 다음 주 열릴 통화정책회의에서도 0.75%p 이상의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김나희 이지은/그래픽제작:이근희 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