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스냅발 충격에 하락…나스닥 1.87%↓마감

입력 2022.07.23 (05:34) 수정 2022.07.23 (05: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는 기술기업 스냅의 실적 실망으로 관련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했습니다.

미 동부시각 2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7.61포인트(0.43%) 하락한 31,899.29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7.32포인트(0.93%) 떨어진 3,961.63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25.50포인트(1.87%) 밀린 11,834.11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스냅의 실적 결과와 경제 지표 등을 주목했습니다.

전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소셜미디어 업체 스냅의 주가는 분기 손실과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39% 이상 폭락했습니다.

스냅은 디지털 광고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업 중에서 가장 먼저 실적을 내놓은 기업으로,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다른 기술 기업들의 실적 전망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과 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 플랫폼스의 주가가 각각 5%, 7% 이상 하락했고, 다른 소셜미디어 업체 핀터레스트의 주가도 13% 이상 떨어졌습니다.

트위터도 예상치를 밑도는 매출을 발표하고 예상과 달리 분기 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는데, 트위터의 주가는 그러나 0.8%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지표는 모두 부진했습니다.

S&P글로벌에 따르면 미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2.3으로 잠정 집계됐는데, 이는 전달의 52.7에서 하락한 것으로 24개월 만에 최저치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욕증시, 스냅발 충격에 하락…나스닥 1.87%↓마감
    • 입력 2022-07-23 05:34:00
    • 수정2022-07-23 05:43:40
    국제
뉴욕증시는 기술기업 스냅의 실적 실망으로 관련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했습니다.

미 동부시각 2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7.61포인트(0.43%) 하락한 31,899.29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7.32포인트(0.93%) 떨어진 3,961.63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25.50포인트(1.87%) 밀린 11,834.11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스냅의 실적 결과와 경제 지표 등을 주목했습니다.

전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소셜미디어 업체 스냅의 주가는 분기 손실과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39% 이상 폭락했습니다.

스냅은 디지털 광고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업 중에서 가장 먼저 실적을 내놓은 기업으로,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다른 기술 기업들의 실적 전망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과 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 플랫폼스의 주가가 각각 5%, 7% 이상 하락했고, 다른 소셜미디어 업체 핀터레스트의 주가도 13% 이상 떨어졌습니다.

트위터도 예상치를 밑도는 매출을 발표하고 예상과 달리 분기 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는데, 트위터의 주가는 그러나 0.8%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지표는 모두 부진했습니다.

S&P글로벌에 따르면 미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2.3으로 잠정 집계됐는데, 이는 전달의 52.7에서 하락한 것으로 24개월 만에 최저치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