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130명·사망 31명…BA.2.75 변이 또 확인

입력 2022.07.23 (07:14) 수정 2022.07.23 (15: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 19 유행이 다시 확산하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진 BA.2.75 변이 감염자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다시 기둥을 세우고, 천막을 칩니다.

유행이 잦아들던 시기 3곳만 남기고 철수했던 임시선별검사소가 속속 다시 문을 열고 있습니다.

전국 70곳에 추가로 마련돼 주말, 야간 검사도 진행합니다.

["증빙 서류가 있어야 해요. 보건소에서 문자가 왔다든지."]

만 60살 이상과 면역저하자, 동거인이 확진된 밀접접촉자, 해외 입국자 등이 이곳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가검사키트로 양성이 나왔다면 키트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검사자 : "아이가 셋인데 둘이 확진을 받아 가지고 저희는 이제 이게(임시선별검사소) 열린다 해가지고 PCR 검사를 받으러 왔어요."]

어제 신규 확진자는 6만 8천여 명, 위중증 환자 수는 하루 새 23명 늘어난 130명으로 1주일 전의 2배가 됐습니다.

사망자 수 역시 31명으로 55일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거의 우세종이 된 BA.5 변이보다 전파력과 면역 회피성이 더 강한 BA.2.75 감염자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최근 해외에 다녀온 적이 없는 인천의 50대입니다.

역시 인천에 사는 60대와 인도에서 입국한 외국인에 이어 세 번째 감염 사례인데, 이들의 역학적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손영래/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 "BA.2.75의 경우에는 이미 지역사회에서 감염이 확인된 바 있어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서서히 감염이 확산되고 있다고 보고 있는 중입니다."]

방역당국은 변이 유입으로 가속화 하는 재유행에 대응해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주민센터를 통해 고령층의 접종 예약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 조원준/영상편집:정재숙/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중증 130명·사망 31명…BA.2.75 변이 또 확인
    • 입력 2022-07-23 07:14:09
    • 수정2022-07-23 15:56:57
    뉴스광장
[앵커]

코로나 19 유행이 다시 확산하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진 BA.2.75 변이 감염자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다시 기둥을 세우고, 천막을 칩니다.

유행이 잦아들던 시기 3곳만 남기고 철수했던 임시선별검사소가 속속 다시 문을 열고 있습니다.

전국 70곳에 추가로 마련돼 주말, 야간 검사도 진행합니다.

["증빙 서류가 있어야 해요. 보건소에서 문자가 왔다든지."]

만 60살 이상과 면역저하자, 동거인이 확진된 밀접접촉자, 해외 입국자 등이 이곳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가검사키트로 양성이 나왔다면 키트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검사자 : "아이가 셋인데 둘이 확진을 받아 가지고 저희는 이제 이게(임시선별검사소) 열린다 해가지고 PCR 검사를 받으러 왔어요."]

어제 신규 확진자는 6만 8천여 명, 위중증 환자 수는 하루 새 23명 늘어난 130명으로 1주일 전의 2배가 됐습니다.

사망자 수 역시 31명으로 55일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거의 우세종이 된 BA.5 변이보다 전파력과 면역 회피성이 더 강한 BA.2.75 감염자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최근 해외에 다녀온 적이 없는 인천의 50대입니다.

역시 인천에 사는 60대와 인도에서 입국한 외국인에 이어 세 번째 감염 사례인데, 이들의 역학적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손영래/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 "BA.2.75의 경우에는 이미 지역사회에서 감염이 확인된 바 있어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서서히 감염이 확산되고 있다고 보고 있는 중입니다."]

방역당국은 변이 유입으로 가속화 하는 재유행에 대응해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주민센터를 통해 고령층의 접종 예약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 조원준/영상편집:정재숙/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