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곡물수출 타결되자마자 러 압박…“신속 이행해야”

입력 2022.07.23 (11:18) 수정 2022.07.23 (1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에 대한 4자 합의가 나온 직후 러시아에 신속한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현지시간 22일 성명에서 “세계의 배고픈 이들은 기다릴 수 없다”며 “러시아가 합의의 이행을 신속히 시작하고 중단이나 방해 없이 진행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제 국제사회는 러시아가 합의를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면서 “우크라이나의 항구에 대한 실질적인 봉쇄를 해제하고 곡물, 해바라기유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농산물이 세계 시장에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그는 또 이번 합의는 러시아가 해야 할 여러 조치 중 하나일 뿐이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정당화할 수 없는 잔혹한 적대행위를 계속하는 한 세계 식량안보는 위태로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터키) 대표단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상안에 최종 서명했습니다.

그동안 러시아 봉쇄에 막혀 창고에 쌓아둔 곡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흑해에 선박이 안전하게 다닐 항로를 마련한다는 내용입니다.

전쟁이 촉발한 세계 식량 부족을 해결하려고 노력해온 국제사회는 합의를 환영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파산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과 기아로 고통받는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합의가 이행되려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수개월 간 전쟁을 치르면서 깊이 쌓인 상호 불신을 극복해야 하는 등 넘어설 장벽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곡물수출 타결되자마자 러 압박…“신속 이행해야”
    • 입력 2022-07-23 11:18:53
    • 수정2022-07-23 11:32:22
    국제
미국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에 대한 4자 합의가 나온 직후 러시아에 신속한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현지시간 22일 성명에서 “세계의 배고픈 이들은 기다릴 수 없다”며 “러시아가 합의의 이행을 신속히 시작하고 중단이나 방해 없이 진행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제 국제사회는 러시아가 합의를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면서 “우크라이나의 항구에 대한 실질적인 봉쇄를 해제하고 곡물, 해바라기유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농산물이 세계 시장에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그는 또 이번 합의는 러시아가 해야 할 여러 조치 중 하나일 뿐이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정당화할 수 없는 잔혹한 적대행위를 계속하는 한 세계 식량안보는 위태로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터키) 대표단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상안에 최종 서명했습니다.

그동안 러시아 봉쇄에 막혀 창고에 쌓아둔 곡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흑해에 선박이 안전하게 다닐 항로를 마련한다는 내용입니다.

전쟁이 촉발한 세계 식량 부족을 해결하려고 노력해온 국제사회는 합의를 환영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파산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과 기아로 고통받는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합의가 이행되려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수개월 간 전쟁을 치르면서 깊이 쌓인 상호 불신을 극복해야 하는 등 넘어설 장벽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