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식료품, 의류까지. 생활 물가가 무섭게 치솟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히려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게 있습니다. 바로 쌀인데요. 지난해 워낙 농사가 잘 돼 수확량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쌀 소비 자체가 줄면서 쌓인 재고가 빠져나가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젭니다. 추수를 앞둔 농민들의 마음은 무겁기만 합니다.

■수확철 두 달 앞으로…농민들 "가격 더 떨어질까 걱정"
수확철을 두 달 앞둔 강원도 철원의 한 논. 푸르게 자란 벼가 논을 가득 메우고 있었습니다.
취재진은 이곳에서 벼농사를 짓는 유재우 씨를 만났습니다. 유 씨는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한숨을 내쉬며 말을 꺼냈습니다. "올해 비룟값이라든지 농약값이라든지 모든 건 다 30% 이상씩 올라있는 상태들인데. 쌀값은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 되다 보니까 앞으로 더 얼마나 떨어질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상태에서 가격이 더 내려가면 수확철 수매 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걱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강원도의 쌀 가격은 크게 떨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오대쌀'을 기준으로, 이달 중순 쌀 20kg들이 한 포대 평균 가격은 6만 6,357원이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점 6만 9,518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3,161원 떨어진 겁니다.
강원도내 주요 도시 시장의 소매 가격을 보면 하락세가 더 눈에 띕니다. 이달 중순 춘천 중앙시장에선 쌀 20kg을 5만 5,000원, 원주 중앙시장에선 6만 원씩 받고 팔았습니다. 두 곳 모두 지난해에 비해 가격이 10% 정도씩 내려갔습니다.
통계청의 산지 쌀값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20㎏ 쌀 평균 가격은 4만 5,537원이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만 5,904원과 비교해 1만 367원이나 하락한 겁니다. 특히, 지난해 10월 5만 5,355원을 기록한 뒤 8개월 연속으로 낮아졌습니다.

■지난해 풍년으로 생산량 증가…공무원까지 나서 소비 촉진
이렇게 쌀 가격이 내려간 건, 풍년이 들어 생산량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철원지역 쌀 생산량은 7만 5,000여 톤으로 2020년보다 27%가량 늘었습니다.
기준을 강원도, 전국 단위로 넓혀 봐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강원도에서 지난해 생산된 쌀은 모두 15만 6,000여 톤이었습니다. 2020년 12만 7,000여 톤이 생산된 것에 비하면 22% 증가한 수칩니다. 전국에선 388만 2,000여 톤이 생산됐는데, 2020년 생산량보다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쌀 가격이 방어가 안 되자 공무원들이 쌀 팔아주기 운동을 벌이고, 지자체 차원에서 인터넷으로 실시간 판매 활동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기도 했습니다. 김영보 철원군 농업기술센터장은 "그나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모색해서 한 조치들이다"라면서, "생산시 농협이 수매한 가격보다 계속 낮은 가격으로 쌀을 팔게 되니까, 당장 농협에서도 부담이 있고 장기적으로 농민에게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현재까지 이렇게 팔린 쌀은 26억 원 어치에 이릅니다.

■소비량은 20년 만에 반 토막…재고도 아직 가득
가격도 떨어지고, 지자체가 소비 촉진 운동도 벌이고 있지만 팔려나가는 속도는 시원찮습니다.
취재진은 철원의 양곡처리장 5곳 중 한 군데를 찾아가 봤습니다. 800kg짜리 쌀 포대 수백 개가 창고 안에 쌓여 있었습니다. 건물 천장이 닿을 정도로 쌀 포대가 쌓여 있기도 했습니다. 양곡처리장 관계자는 "예년 같으면 창고에 300톤 정도가 쌓여있어야 하는데, 올해는 아직도 1,000톤 넘게 벼가 쌓여 있다"고 말했습니다.
상황이 바뀔 기미가 보이지 않는 건,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쌀 소비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56.7kg였습니다. 일 평균으로 환산하면 155.34g, 한 끼에 51.78g입니다. 즉석밥 1공기가 210g인 것을 감안하면 반 공기도 안 되는 것입니다. 20년 전 1인당 쌀 소비량은 110kg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 많았습니다. 이래 저래, 올해 추수를 앞두고 있는 농민들의 마음은 무겁기만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가 치솟는데 쌀값만 폭락…올해 추수까지 걱정
-
- 입력 2022-07-23 11:30:26

■수확철 두 달 앞으로…농민들 "가격 더 떨어질까 걱정"
수확철을 두 달 앞둔 강원도 철원의 한 논. 푸르게 자란 벼가 논을 가득 메우고 있었습니다.
취재진은 이곳에서 벼농사를 짓는 유재우 씨를 만났습니다. 유 씨는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한숨을 내쉬며 말을 꺼냈습니다. "올해 비룟값이라든지 농약값이라든지 모든 건 다 30% 이상씩 올라있는 상태들인데. 쌀값은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 되다 보니까 앞으로 더 얼마나 떨어질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상태에서 가격이 더 내려가면 수확철 수매 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걱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강원도의 쌀 가격은 크게 떨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오대쌀'을 기준으로, 이달 중순 쌀 20kg들이 한 포대 평균 가격은 6만 6,357원이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점 6만 9,518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3,161원 떨어진 겁니다.
강원도내 주요 도시 시장의 소매 가격을 보면 하락세가 더 눈에 띕니다. 이달 중순 춘천 중앙시장에선 쌀 20kg을 5만 5,000원, 원주 중앙시장에선 6만 원씩 받고 팔았습니다. 두 곳 모두 지난해에 비해 가격이 10% 정도씩 내려갔습니다.
통계청의 산지 쌀값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20㎏ 쌀 평균 가격은 4만 5,537원이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만 5,904원과 비교해 1만 367원이나 하락한 겁니다. 특히, 지난해 10월 5만 5,355원을 기록한 뒤 8개월 연속으로 낮아졌습니다.

■지난해 풍년으로 생산량 증가…공무원까지 나서 소비 촉진
이렇게 쌀 가격이 내려간 건, 풍년이 들어 생산량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철원지역 쌀 생산량은 7만 5,000여 톤으로 2020년보다 27%가량 늘었습니다.
기준을 강원도, 전국 단위로 넓혀 봐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강원도에서 지난해 생산된 쌀은 모두 15만 6,000여 톤이었습니다. 2020년 12만 7,000여 톤이 생산된 것에 비하면 22% 증가한 수칩니다. 전국에선 388만 2,000여 톤이 생산됐는데, 2020년 생산량보다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쌀 가격이 방어가 안 되자 공무원들이 쌀 팔아주기 운동을 벌이고, 지자체 차원에서 인터넷으로 실시간 판매 활동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기도 했습니다. 김영보 철원군 농업기술센터장은 "그나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모색해서 한 조치들이다"라면서, "생산시 농협이 수매한 가격보다 계속 낮은 가격으로 쌀을 팔게 되니까, 당장 농협에서도 부담이 있고 장기적으로 농민에게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현재까지 이렇게 팔린 쌀은 26억 원 어치에 이릅니다.

■소비량은 20년 만에 반 토막…재고도 아직 가득
가격도 떨어지고, 지자체가 소비 촉진 운동도 벌이고 있지만 팔려나가는 속도는 시원찮습니다.
취재진은 철원의 양곡처리장 5곳 중 한 군데를 찾아가 봤습니다. 800kg짜리 쌀 포대 수백 개가 창고 안에 쌓여 있었습니다. 건물 천장이 닿을 정도로 쌀 포대가 쌓여 있기도 했습니다. 양곡처리장 관계자는 "예년 같으면 창고에 300톤 정도가 쌓여있어야 하는데, 올해는 아직도 1,000톤 넘게 벼가 쌓여 있다"고 말했습니다.
상황이 바뀔 기미가 보이지 않는 건,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쌀 소비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56.7kg였습니다. 일 평균으로 환산하면 155.34g, 한 끼에 51.78g입니다. 즉석밥 1공기가 210g인 것을 감안하면 반 공기도 안 되는 것입니다. 20년 전 1인당 쌀 소비량은 110kg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 많았습니다. 이래 저래, 올해 추수를 앞두고 있는 농민들의 마음은 무겁기만 합니다.
-
-
조휴연 기자 dakgalbi@kbs.co.kr
조휴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