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선박 진수작업 재개…“손해배상 청구 반대”

입력 2022.07.23 (21:07) 수정 2022.07.23 (2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22일) 노사 협상이 타결된 대우조선해양에서는 점거 농성이 있었던 작업장에서 다시 조업이 시작됐습니다.

이번 파업에 참가했던 하청업체 노동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2천여 명의 사람들이 이른바 '희망버스'를 타고 현장에 모이기도 했습니다.

최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동자 7명이 점거 농성을 벌였던 선박건조장에 바닷물이 채워졌습니다.

예인선들이 수문을 연 뒤 물에 뜬 선박 블록을 끌고 바다로 나갑니다.

30만 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을 물에 띄워 기본 성능 점검을 하는 진수 작업입니다.

파업으로 공정이 멈춘 지 5주 만입니다.

이 배의 인도 예정일은 오는 10월말로 시한이 촉박합니다.

대우조선과 협력업체 측은 지연된 생산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 여름 휴가 기간에도 많은 직원이 출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옥정수/대우조선해양협력사협의회 사무국장 : "(휴가 때도 다들 출근을 해서) 밀린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 해야하지 않을까 월요일에 출근해서 전체적으로 좀 재정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노사 협상 타결로 조업은 정상화됐지만 손해배상 청구 소송 취하 문제는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주최 측 추산 2천3백 명의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희망버스'를 타고 대우조선 옥포조선소 앞으로 모였습니다.

["그들은 언제까지 하청으로 살아야 합니까."]

협력업체 노동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모인 참가자들은 파업 참가 노동자들에 대한 '민·형사상 면책'을 요구했습니다.

[류승아/희망버스 탑승자 : "노동자들은 파업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것은 보장되어있는 것인데 그것을 불법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사용자들의 억지죠."]

파업에 참여했던 협력업체 노동자들도 문화제에 참가해 참가자들과 서로를 격려했습니다.

[유최안/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 : "동지들, 모자란 승리이지만 함께 나눌 수가 있다면, 다시 싸울 수가 있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법원은 경찰 조사 출석 의사를 밝혔다는 점을 들어 파업을 주도한 협력업체 노동자 9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기각했습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우조선 선박 진수작업 재개…“손해배상 청구 반대”
    • 입력 2022-07-23 21:07:02
    • 수정2022-07-23 21:41:31
    뉴스 9
[앵커]

어제(22일) 노사 협상이 타결된 대우조선해양에서는 점거 농성이 있었던 작업장에서 다시 조업이 시작됐습니다.

이번 파업에 참가했던 하청업체 노동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2천여 명의 사람들이 이른바 '희망버스'를 타고 현장에 모이기도 했습니다.

최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동자 7명이 점거 농성을 벌였던 선박건조장에 바닷물이 채워졌습니다.

예인선들이 수문을 연 뒤 물에 뜬 선박 블록을 끌고 바다로 나갑니다.

30만 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을 물에 띄워 기본 성능 점검을 하는 진수 작업입니다.

파업으로 공정이 멈춘 지 5주 만입니다.

이 배의 인도 예정일은 오는 10월말로 시한이 촉박합니다.

대우조선과 협력업체 측은 지연된 생산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 여름 휴가 기간에도 많은 직원이 출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옥정수/대우조선해양협력사협의회 사무국장 : "(휴가 때도 다들 출근을 해서) 밀린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 해야하지 않을까 월요일에 출근해서 전체적으로 좀 재정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노사 협상 타결로 조업은 정상화됐지만 손해배상 청구 소송 취하 문제는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주최 측 추산 2천3백 명의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희망버스'를 타고 대우조선 옥포조선소 앞으로 모였습니다.

["그들은 언제까지 하청으로 살아야 합니까."]

협력업체 노동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모인 참가자들은 파업 참가 노동자들에 대한 '민·형사상 면책'을 요구했습니다.

[류승아/희망버스 탑승자 : "노동자들은 파업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것은 보장되어있는 것인데 그것을 불법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사용자들의 억지죠."]

파업에 참여했던 협력업체 노동자들도 문화제에 참가해 참가자들과 서로를 격려했습니다.

[유최안/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 : "동지들, 모자란 승리이지만 함께 나눌 수가 있다면, 다시 싸울 수가 있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법원은 경찰 조사 출석 의사를 밝혔다는 점을 들어 파업을 주도한 협력업체 노동자 9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기각했습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