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제부 조정인 기자와 이 문제 조금 더 들여다 보겠습니다.
조 기자, 보통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유는 조금 다른 가봅니다.
[기자]
네, 현재 낙농농가가 생산한 우유 2백 만톤 정도를 유가공업체가 특정 가격에 사들이도록 돼 있습니다.
이 가격, 낙농가의 생산비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따져 협상을 통해 정합니다.
그 폭은 ±10%로 정해져있습니다.
이걸 '생산비연동제'라고 하는데, 여기엔 낙농 산업의 특수성이 있습니다.
우유는 매일 일정량을 짜내야 하지만, 소비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합니다.
구제역 같은 병으로 젖소가 줄면 가격은 더 불안해지겠죠.
그러니까 농가를 보호하고, 우유 공급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겁니다.
[앵커]
그런데 이제와서 바꾸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기자]
앞서 잠깐 언급되기도 했지만, 시장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일단 마시는 우유 인기가 시들합니다.
저출산 영향이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급식을 받아 우유를 소비하던 초등학생 수가 줄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신 치즈, 요거트 같은 가공 유제품이 많이 팔립니다.
이 틈을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파고 들고 있습니다.
또 '국산' 유제품이라고 해도 대부분은 저렴한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어서 국내 원유 자급률, 45%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가공유값이라도 낮춰서 경쟁력을 갖게 하자는 건데, 이걸 '용도별 차등가격제'라고 합니다.
[앵커]
농가 반발이 상당한데, 실제로 공급 거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쟁점이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물밑에서 의견을 계속해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1일, 시한이 넘어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우유 대란까지 이어질 가능성, 현재로선 낮아 보입니다.
다만 불씨가 꺼진 건 아닙니다.
정부는 전체 할당량의 5%만 가공유로 분류해 가격을 낮추자고 제안했는데, 단계적으로 이 비중을 늘릴 계획입니다.
낙농가는 수익이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는 만큼 협상 막판까지 이걸 양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앵커]
물가가 많이 올라 걱정인데, 우윳값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겠지요?
[기자]
네, 낙농가가 정부안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일 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제도 개선이 뒤로 미뤄질 경우, 현행 체제 기준으로 올해 원윳값은 1리터에 최대 58원 오른 1,160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소매가격은 유가공업체 이윤이 붙는데 우유가 들어간 빵, 아이스크림, 커피 가격을 줄줄이 끌어올릴 수 있어 인상폭을 두고 팽팽한 기싸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조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노경일
경제부 조정인 기자와 이 문제 조금 더 들여다 보겠습니다.
조 기자, 보통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유는 조금 다른 가봅니다.
[기자]
네, 현재 낙농농가가 생산한 우유 2백 만톤 정도를 유가공업체가 특정 가격에 사들이도록 돼 있습니다.
이 가격, 낙농가의 생산비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따져 협상을 통해 정합니다.
그 폭은 ±10%로 정해져있습니다.
이걸 '생산비연동제'라고 하는데, 여기엔 낙농 산업의 특수성이 있습니다.
우유는 매일 일정량을 짜내야 하지만, 소비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합니다.
구제역 같은 병으로 젖소가 줄면 가격은 더 불안해지겠죠.
그러니까 농가를 보호하고, 우유 공급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겁니다.
[앵커]
그런데 이제와서 바꾸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기자]
앞서 잠깐 언급되기도 했지만, 시장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일단 마시는 우유 인기가 시들합니다.
저출산 영향이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급식을 받아 우유를 소비하던 초등학생 수가 줄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신 치즈, 요거트 같은 가공 유제품이 많이 팔립니다.
이 틈을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파고 들고 있습니다.
또 '국산' 유제품이라고 해도 대부분은 저렴한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어서 국내 원유 자급률, 45%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가공유값이라도 낮춰서 경쟁력을 갖게 하자는 건데, 이걸 '용도별 차등가격제'라고 합니다.
[앵커]
농가 반발이 상당한데, 실제로 공급 거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쟁점이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물밑에서 의견을 계속해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1일, 시한이 넘어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우유 대란까지 이어질 가능성, 현재로선 낮아 보입니다.
다만 불씨가 꺼진 건 아닙니다.
정부는 전체 할당량의 5%만 가공유로 분류해 가격을 낮추자고 제안했는데, 단계적으로 이 비중을 늘릴 계획입니다.
낙농가는 수익이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는 만큼 협상 막판까지 이걸 양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앵커]
물가가 많이 올라 걱정인데, 우윳값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겠지요?
[기자]
네, 낙농가가 정부안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일 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제도 개선이 뒤로 미뤄질 경우, 현행 체제 기준으로 올해 원윳값은 1리터에 최대 58원 오른 1,160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소매가격은 유가공업체 이윤이 붙는데 우유가 들어간 빵, 아이스크림, 커피 가격을 줄줄이 끌어올릴 수 있어 인상폭을 두고 팽팽한 기싸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조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노경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윳값 얼마나 오를까?
-
- 입력 2022-07-25 21:21:31
- 수정2022-07-25 22:04:37
[앵커]
경제부 조정인 기자와 이 문제 조금 더 들여다 보겠습니다.
조 기자, 보통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유는 조금 다른 가봅니다.
[기자]
네, 현재 낙농농가가 생산한 우유 2백 만톤 정도를 유가공업체가 특정 가격에 사들이도록 돼 있습니다.
이 가격, 낙농가의 생산비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따져 협상을 통해 정합니다.
그 폭은 ±10%로 정해져있습니다.
이걸 '생산비연동제'라고 하는데, 여기엔 낙농 산업의 특수성이 있습니다.
우유는 매일 일정량을 짜내야 하지만, 소비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합니다.
구제역 같은 병으로 젖소가 줄면 가격은 더 불안해지겠죠.
그러니까 농가를 보호하고, 우유 공급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겁니다.
[앵커]
그런데 이제와서 바꾸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기자]
앞서 잠깐 언급되기도 했지만, 시장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일단 마시는 우유 인기가 시들합니다.
저출산 영향이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급식을 받아 우유를 소비하던 초등학생 수가 줄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신 치즈, 요거트 같은 가공 유제품이 많이 팔립니다.
이 틈을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파고 들고 있습니다.
또 '국산' 유제품이라고 해도 대부분은 저렴한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어서 국내 원유 자급률, 45%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가공유값이라도 낮춰서 경쟁력을 갖게 하자는 건데, 이걸 '용도별 차등가격제'라고 합니다.
[앵커]
농가 반발이 상당한데, 실제로 공급 거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쟁점이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물밑에서 의견을 계속해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1일, 시한이 넘어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우유 대란까지 이어질 가능성, 현재로선 낮아 보입니다.
다만 불씨가 꺼진 건 아닙니다.
정부는 전체 할당량의 5%만 가공유로 분류해 가격을 낮추자고 제안했는데, 단계적으로 이 비중을 늘릴 계획입니다.
낙농가는 수익이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는 만큼 협상 막판까지 이걸 양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앵커]
물가가 많이 올라 걱정인데, 우윳값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겠지요?
[기자]
네, 낙농가가 정부안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일 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제도 개선이 뒤로 미뤄질 경우, 현행 체제 기준으로 올해 원윳값은 1리터에 최대 58원 오른 1,160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소매가격은 유가공업체 이윤이 붙는데 우유가 들어간 빵, 아이스크림, 커피 가격을 줄줄이 끌어올릴 수 있어 인상폭을 두고 팽팽한 기싸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조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노경일
경제부 조정인 기자와 이 문제 조금 더 들여다 보겠습니다.
조 기자, 보통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유는 조금 다른 가봅니다.
[기자]
네, 현재 낙농농가가 생산한 우유 2백 만톤 정도를 유가공업체가 특정 가격에 사들이도록 돼 있습니다.
이 가격, 낙농가의 생산비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따져 협상을 통해 정합니다.
그 폭은 ±10%로 정해져있습니다.
이걸 '생산비연동제'라고 하는데, 여기엔 낙농 산업의 특수성이 있습니다.
우유는 매일 일정량을 짜내야 하지만, 소비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합니다.
구제역 같은 병으로 젖소가 줄면 가격은 더 불안해지겠죠.
그러니까 농가를 보호하고, 우유 공급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겁니다.
[앵커]
그런데 이제와서 바꾸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기자]
앞서 잠깐 언급되기도 했지만, 시장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일단 마시는 우유 인기가 시들합니다.
저출산 영향이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급식을 받아 우유를 소비하던 초등학생 수가 줄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신 치즈, 요거트 같은 가공 유제품이 많이 팔립니다.
이 틈을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파고 들고 있습니다.
또 '국산' 유제품이라고 해도 대부분은 저렴한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어서 국내 원유 자급률, 45%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가공유값이라도 낮춰서 경쟁력을 갖게 하자는 건데, 이걸 '용도별 차등가격제'라고 합니다.
[앵커]
농가 반발이 상당한데, 실제로 공급 거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쟁점이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물밑에서 의견을 계속해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1일, 시한이 넘어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우유 대란까지 이어질 가능성, 현재로선 낮아 보입니다.
다만 불씨가 꺼진 건 아닙니다.
정부는 전체 할당량의 5%만 가공유로 분류해 가격을 낮추자고 제안했는데, 단계적으로 이 비중을 늘릴 계획입니다.
낙농가는 수익이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는 만큼 협상 막판까지 이걸 양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앵커]
물가가 많이 올라 걱정인데, 우윳값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겠지요?
[기자]
네, 낙농가가 정부안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일 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제도 개선이 뒤로 미뤄질 경우, 현행 체제 기준으로 올해 원윳값은 1리터에 최대 58원 오른 1,160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소매가격은 유가공업체 이윤이 붙는데 우유가 들어간 빵, 아이스크림, 커피 가격을 줄줄이 끌어올릴 수 있어 인상폭을 두고 팽팽한 기싸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조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노경일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