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얀마 사형집행 규탄’ 공동성명 동참…“비난받아 마땅”
입력 2022.07.26 (08:45)
수정 2022.07.26 (08: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교부가 민주화 운동가 4명에 대한 사형을 집행한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는 국제사회 공동성명에 동참했습니다.
외교부는 오늘(26일) “지난 주말 미얀마 군부의 반(反) 군부 인사 사형 집행과 관련해, 미국·영국·일본·호주·캐나다·뉴질랜드·노르웨이 및 유럽연합(EU)과 함께 외교장관 명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공동성명을 통해 사형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반 군부 세력을 더 강력하게 탄압하려는 미얀마 군부에 국제사회의 엄중한 반대와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얀마 상황을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으며, 폭력 중단·부당하게 구금된 인사들의 석방 및 민주주의 회복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참가국들은 공동 성명에서 이번 사형을 “미얀마 군부의 인권과 법치에 대한 무시를 더욱 잘 보여주는, 비난받아 마땅한 폭력 행위”로 규탄했습니다.
또 군부에 △부당하게 구금된 인사 석방 △수감시설 접근 허용 △아세안 5개 합의 사항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2021년 특별 정상회담을 열고, 폭력 즉각 중단, 모든 당사자 간 건설적 대화 개시, 아세안 의장 특사 중재 등 5개 사항을 놓고 미얀마 군부와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군부는 이후에도 유혈 진압을 계속하는 등 사실상 합의를 백지화했고, 현재까지 민주화 운동 탄압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어제(26일) 사형을 집행한 인사는 ‘표 제야 또’ 전 민주주의민족동맹 의원, ‘초 민 유’ 활동가, 군부 정보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민간인 2명입니다.
미얀마 인권상황을 감시하는 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이달 22일까지 2,007명이 군부에 목숨을 잃었고, 군부 쿠데타 이후 100명 이상이 사형 판결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5·18기념재단 제공]
외교부는 오늘(26일) “지난 주말 미얀마 군부의 반(反) 군부 인사 사형 집행과 관련해, 미국·영국·일본·호주·캐나다·뉴질랜드·노르웨이 및 유럽연합(EU)과 함께 외교장관 명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공동성명을 통해 사형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반 군부 세력을 더 강력하게 탄압하려는 미얀마 군부에 국제사회의 엄중한 반대와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얀마 상황을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으며, 폭력 중단·부당하게 구금된 인사들의 석방 및 민주주의 회복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참가국들은 공동 성명에서 이번 사형을 “미얀마 군부의 인권과 법치에 대한 무시를 더욱 잘 보여주는, 비난받아 마땅한 폭력 행위”로 규탄했습니다.
또 군부에 △부당하게 구금된 인사 석방 △수감시설 접근 허용 △아세안 5개 합의 사항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2021년 특별 정상회담을 열고, 폭력 즉각 중단, 모든 당사자 간 건설적 대화 개시, 아세안 의장 특사 중재 등 5개 사항을 놓고 미얀마 군부와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군부는 이후에도 유혈 진압을 계속하는 등 사실상 합의를 백지화했고, 현재까지 민주화 운동 탄압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어제(26일) 사형을 집행한 인사는 ‘표 제야 또’ 전 민주주의민족동맹 의원, ‘초 민 유’ 활동가, 군부 정보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민간인 2명입니다.
미얀마 인권상황을 감시하는 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이달 22일까지 2,007명이 군부에 목숨을 잃었고, 군부 쿠데타 이후 100명 이상이 사형 판결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5·18기념재단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미얀마 사형집행 규탄’ 공동성명 동참…“비난받아 마땅”
-
- 입력 2022-07-26 08:45:30
- 수정2022-07-26 08:51:57

외교부가 민주화 운동가 4명에 대한 사형을 집행한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는 국제사회 공동성명에 동참했습니다.
외교부는 오늘(26일) “지난 주말 미얀마 군부의 반(反) 군부 인사 사형 집행과 관련해, 미국·영국·일본·호주·캐나다·뉴질랜드·노르웨이 및 유럽연합(EU)과 함께 외교장관 명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공동성명을 통해 사형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반 군부 세력을 더 강력하게 탄압하려는 미얀마 군부에 국제사회의 엄중한 반대와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얀마 상황을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으며, 폭력 중단·부당하게 구금된 인사들의 석방 및 민주주의 회복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참가국들은 공동 성명에서 이번 사형을 “미얀마 군부의 인권과 법치에 대한 무시를 더욱 잘 보여주는, 비난받아 마땅한 폭력 행위”로 규탄했습니다.
또 군부에 △부당하게 구금된 인사 석방 △수감시설 접근 허용 △아세안 5개 합의 사항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2021년 특별 정상회담을 열고, 폭력 즉각 중단, 모든 당사자 간 건설적 대화 개시, 아세안 의장 특사 중재 등 5개 사항을 놓고 미얀마 군부와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군부는 이후에도 유혈 진압을 계속하는 등 사실상 합의를 백지화했고, 현재까지 민주화 운동 탄압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어제(26일) 사형을 집행한 인사는 ‘표 제야 또’ 전 민주주의민족동맹 의원, ‘초 민 유’ 활동가, 군부 정보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민간인 2명입니다.
미얀마 인권상황을 감시하는 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이달 22일까지 2,007명이 군부에 목숨을 잃었고, 군부 쿠데타 이후 100명 이상이 사형 판결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5·18기념재단 제공]
외교부는 오늘(26일) “지난 주말 미얀마 군부의 반(反) 군부 인사 사형 집행과 관련해, 미국·영국·일본·호주·캐나다·뉴질랜드·노르웨이 및 유럽연합(EU)과 함께 외교장관 명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공동성명을 통해 사형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반 군부 세력을 더 강력하게 탄압하려는 미얀마 군부에 국제사회의 엄중한 반대와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얀마 상황을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으며, 폭력 중단·부당하게 구금된 인사들의 석방 및 민주주의 회복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참가국들은 공동 성명에서 이번 사형을 “미얀마 군부의 인권과 법치에 대한 무시를 더욱 잘 보여주는, 비난받아 마땅한 폭력 행위”로 규탄했습니다.
또 군부에 △부당하게 구금된 인사 석방 △수감시설 접근 허용 △아세안 5개 합의 사항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2021년 특별 정상회담을 열고, 폭력 즉각 중단, 모든 당사자 간 건설적 대화 개시, 아세안 의장 특사 중재 등 5개 사항을 놓고 미얀마 군부와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군부는 이후에도 유혈 진압을 계속하는 등 사실상 합의를 백지화했고, 현재까지 민주화 운동 탄압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어제(26일) 사형을 집행한 인사는 ‘표 제야 또’ 전 민주주의민족동맹 의원, ‘초 민 유’ 활동가, 군부 정보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민간인 2명입니다.
미얀마 인권상황을 감시하는 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이달 22일까지 2,007명이 군부에 목숨을 잃었고, 군부 쿠데타 이후 100명 이상이 사형 판결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5·18기념재단 제공]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