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물량 모두 줄어
입력 2022.07.26 (11:25)
수정 2022.07.26 (11: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국의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물량이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인허가된 건축물은 총 10만 5천243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3% 줄었습니다.
다만 면적 기준으로는 9천275만8천㎡로,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인허가된 동 수는 감소했지만, 면적은 증가한 점으로 볼 때 규모가 큰 건축물 신축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인허가 건축물 수는 수도권(3만 7천678동)이 10.5% 감소했고, 지방(6만 7천565동)은 11.7% 줄었습니다.
용도별로는 농수산 등 기타용(-29.2%)을 비롯해 주거용(-10.8%), 교육 및 사회용(-9.7%), 공업용(-9.5%), 상업용(-2.7%) 등 모든 용도의 건축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습니다.
전국의 상반기 착공 물량은 작년 동기 대비 13.1% 적은 8만 2천40동으로, 감소율은 수도권(2만 7천233동)이 11.3%, 지방(5만 4천807동)이 13.9%였습니다.
같은 기간 준공된 전국 건축물은 총 7만 4천145동이고, 연면적으로는 총 5천719만5천㎡로,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건축물 기준으로 7.4%, 면적 기준으로는 6.1% 각각 적습니다.
수도권(2천820만5천㎡)의 준공 면적은 1년 사이 7.1% 감소했고, 지방(2천898만9천㎡)은 5.1% 줄었습니다.
국토부는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되며,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과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은 건축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일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통계는 건축행정시스템(https://cloud.eais.go.kr)과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인허가된 건축물은 총 10만 5천243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3% 줄었습니다.
다만 면적 기준으로는 9천275만8천㎡로,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인허가된 동 수는 감소했지만, 면적은 증가한 점으로 볼 때 규모가 큰 건축물 신축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인허가 건축물 수는 수도권(3만 7천678동)이 10.5% 감소했고, 지방(6만 7천565동)은 11.7% 줄었습니다.
용도별로는 농수산 등 기타용(-29.2%)을 비롯해 주거용(-10.8%), 교육 및 사회용(-9.7%), 공업용(-9.5%), 상업용(-2.7%) 등 모든 용도의 건축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습니다.
전국의 상반기 착공 물량은 작년 동기 대비 13.1% 적은 8만 2천40동으로, 감소율은 수도권(2만 7천233동)이 11.3%, 지방(5만 4천807동)이 13.9%였습니다.
같은 기간 준공된 전국 건축물은 총 7만 4천145동이고, 연면적으로는 총 5천719만5천㎡로,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건축물 기준으로 7.4%, 면적 기준으로는 6.1% 각각 적습니다.
수도권(2천820만5천㎡)의 준공 면적은 1년 사이 7.1% 감소했고, 지방(2천898만9천㎡)은 5.1% 줄었습니다.
국토부는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되며,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과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은 건축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일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통계는 건축행정시스템(https://cloud.eais.go.kr)과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반기 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물량 모두 줄어
-
- 입력 2022-07-26 11:25:10
- 수정2022-07-26 11:28:48

올해 상반기 전국의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물량이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인허가된 건축물은 총 10만 5천243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3% 줄었습니다.
다만 면적 기준으로는 9천275만8천㎡로,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인허가된 동 수는 감소했지만, 면적은 증가한 점으로 볼 때 규모가 큰 건축물 신축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인허가 건축물 수는 수도권(3만 7천678동)이 10.5% 감소했고, 지방(6만 7천565동)은 11.7% 줄었습니다.
용도별로는 농수산 등 기타용(-29.2%)을 비롯해 주거용(-10.8%), 교육 및 사회용(-9.7%), 공업용(-9.5%), 상업용(-2.7%) 등 모든 용도의 건축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습니다.
전국의 상반기 착공 물량은 작년 동기 대비 13.1% 적은 8만 2천40동으로, 감소율은 수도권(2만 7천233동)이 11.3%, 지방(5만 4천807동)이 13.9%였습니다.
같은 기간 준공된 전국 건축물은 총 7만 4천145동이고, 연면적으로는 총 5천719만5천㎡로,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건축물 기준으로 7.4%, 면적 기준으로는 6.1% 각각 적습니다.
수도권(2천820만5천㎡)의 준공 면적은 1년 사이 7.1% 감소했고, 지방(2천898만9천㎡)은 5.1% 줄었습니다.
국토부는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되며,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과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은 건축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일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통계는 건축행정시스템(https://cloud.eais.go.kr)과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인허가된 건축물은 총 10만 5천243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3% 줄었습니다.
다만 면적 기준으로는 9천275만8천㎡로,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인허가된 동 수는 감소했지만, 면적은 증가한 점으로 볼 때 규모가 큰 건축물 신축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인허가 건축물 수는 수도권(3만 7천678동)이 10.5% 감소했고, 지방(6만 7천565동)은 11.7% 줄었습니다.
용도별로는 농수산 등 기타용(-29.2%)을 비롯해 주거용(-10.8%), 교육 및 사회용(-9.7%), 공업용(-9.5%), 상업용(-2.7%) 등 모든 용도의 건축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습니다.
전국의 상반기 착공 물량은 작년 동기 대비 13.1% 적은 8만 2천40동으로, 감소율은 수도권(2만 7천233동)이 11.3%, 지방(5만 4천807동)이 13.9%였습니다.
같은 기간 준공된 전국 건축물은 총 7만 4천145동이고, 연면적으로는 총 5천719만5천㎡로,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건축물 기준으로 7.4%, 면적 기준으로는 6.1% 각각 적습니다.
수도권(2천820만5천㎡)의 준공 면적은 1년 사이 7.1% 감소했고, 지방(2천898만9천㎡)은 5.1% 줄었습니다.
국토부는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되며,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과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은 건축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일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통계는 건축행정시스템(https://cloud.eais.go.kr)과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계현우 기자 kye@kbs.co.kr
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