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원유가격 협상 난항…우유 대란 오나?

입력 2022.07.26 (18:05) 수정 2022.07.26 (1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자고 일어나면 들리는 가격 인상 소식, 그런데 최근 우윳값 올랐다는 뉴스는 뜸한데요.

예정대로면 우유 원료인 원윳값도 다음 달 1일부터 올라야 하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가격 협상은 첫 발조차 떼지 못하고 있습니다.

낙농가는 거세게 반발하면서 납유 거부까지 검토하고 있고, 정부와 유가공업계는 납품가를 계속 올려줄 수만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경제부 조정인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조 기자, 낙농가들이 반발하는 이유, 뭐 때문인가요?

[기자]

최근에 사료값은 물론이고 각종 생산비 많이 올랐잖아요.

원윳값도 올려야 하는데, 유업계가 협상 테이블에도 나오지 않고 있어섭니다.

통상 원윳값은 업계와 농가의 협상으로 결정이 되거든요.

당장 다음달 1일이 가격 적용 시한인데 유가공 업체들이 현재 원윳값 산정 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반발하면서 가격협상에 응하지 않고 있는 겁니다.

[앵커]

유가공 업계는 뭐가 불만인가요?

[기자]

한마디로 국내 원윳값, 너무 비싸고 또 생산자 위주로 산정된다, 이겁니다.

최근 유제품 시장이 많이 바뀌었거든요.

일단 저출산 영향으로 마시는 우유 인기가 시들하고, 대신 치즈. 요거트 같은 가공 유제품이 많이 팔리고 있는데, 문제는 이 틈을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파고 들고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지금 같은 방식이면 국내 원유가 너무 비싸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는 건데요.

이 제도 바꾸기 전엔 가격 협상 못 한다는 겁니다.

[앵커]

현재 원유 가격, 어떻게 결정되길래 이런 불만이 나오나요?

[기자]

네,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물량과 가격을 각각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하나는 쿼터, 즉 의무 할당제입니다.

현재는 낙농가가 생산한 우유 2백 만톤 정도를 유가공업체가 모두 사들이도록 돼 있습니다.

또 다른 큰 틀은 '생산비 연동제' 라는 건데요.

농가 생산비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따져 협상을 통해 정합니다.

그 폭은 ±10%로 정해져있습니다.

[앵커]

보통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유는 조금 특이하네요.

[기자]

네, 낙농 산업의 특수성 때문인데요.

우유는 매일 일정량을 짜내야 하지만, 소비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합니다.

구제역 같은 병으로 젖소가 줄면 가격은 더 불안해지겠죠.

그러니까 농가를 보호하고, 우유 공급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물량과 가격을 묶어두니까 수요는 줄어서 원유는 남아도는데, 그래도 가격은 떨어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앵커]

그럼 어떻게 바꾸려는 건가요?

[기자]

일단, 할당제는 놔두더라도 가격 책정 방식을 좀 바꾸자는 건데요.

지금까지 마시는 '흰 우유'용과 치즈 등의 '가공용 우유'에 같은 값을 적용했는데, 앞으론 가공용 우유 가격을 낮추자는 겁니다.

이걸 '용도별 차등가격제'라고 하는데요.

유럽, 미국 등지의 원유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겠다는 겁니다.

[앵커]

가격이 깎이면 농가 입장에선 불만이 클 수밖에 없겠네요.

[기자]

네, 정부는 일단 전체 할당량의 5%만 가공유로 분류하자고 제안했지만, 이 비중을 단계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낙농가는 수익이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는 만큼 협상 막판까지 이걸 양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이죠.

또 최근 사료값 인상 등으로 낙농가의 사정도 썩 좋지 않거든요.

낙농 농가의 평균 부채는 2년 동안 40% 가까이 늘었고, 220곳이 넘게 문을 닫았습니다.

남은 젖소는 39만 7천여 마리, 11년 전 구제역 파동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게 낙농협회 조사 결과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공용 우유를 800원으로 낮추면, 더는 낙농이 어렵다는 겁니다.

[앵커]

이렇게 반발이 상당한데, 실제로 공급 거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불씨가 남아있긴 하지만, 물밑에서 의견을 계속해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1일, 시한이 넘어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우유 대란까지 이어질 가능성, 현재로선 낮아 보입니다.

만약 제도 개선에 합의가 되면 곧바로 가격 인상도 이어질 텐데, 올해 원윳값, 음용유일 수도 있지만 1리터에 최대 58원 오른 1,160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우유는 물론, 우유가 들어간 빵, 아이스크림, 커피 가격을 줄줄이 끌어올릴 수 있어 인상폭을 두고 팽팽한 기싸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원유가격 협상 난항…우유 대란 오나?
    • 입력 2022-07-26 18:05:21
    • 수정2022-07-26 18:25:52
    통합뉴스룸ET
[앵커]

자고 일어나면 들리는 가격 인상 소식, 그런데 최근 우윳값 올랐다는 뉴스는 뜸한데요.

예정대로면 우유 원료인 원윳값도 다음 달 1일부터 올라야 하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가격 협상은 첫 발조차 떼지 못하고 있습니다.

낙농가는 거세게 반발하면서 납유 거부까지 검토하고 있고, 정부와 유가공업계는 납품가를 계속 올려줄 수만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경제부 조정인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조 기자, 낙농가들이 반발하는 이유, 뭐 때문인가요?

[기자]

최근에 사료값은 물론이고 각종 생산비 많이 올랐잖아요.

원윳값도 올려야 하는데, 유업계가 협상 테이블에도 나오지 않고 있어섭니다.

통상 원윳값은 업계와 농가의 협상으로 결정이 되거든요.

당장 다음달 1일이 가격 적용 시한인데 유가공 업체들이 현재 원윳값 산정 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반발하면서 가격협상에 응하지 않고 있는 겁니다.

[앵커]

유가공 업계는 뭐가 불만인가요?

[기자]

한마디로 국내 원윳값, 너무 비싸고 또 생산자 위주로 산정된다, 이겁니다.

최근 유제품 시장이 많이 바뀌었거든요.

일단 저출산 영향으로 마시는 우유 인기가 시들하고, 대신 치즈. 요거트 같은 가공 유제품이 많이 팔리고 있는데, 문제는 이 틈을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파고 들고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지금 같은 방식이면 국내 원유가 너무 비싸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는 건데요.

이 제도 바꾸기 전엔 가격 협상 못 한다는 겁니다.

[앵커]

현재 원유 가격, 어떻게 결정되길래 이런 불만이 나오나요?

[기자]

네,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물량과 가격을 각각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하나는 쿼터, 즉 의무 할당제입니다.

현재는 낙농가가 생산한 우유 2백 만톤 정도를 유가공업체가 모두 사들이도록 돼 있습니다.

또 다른 큰 틀은 '생산비 연동제' 라는 건데요.

농가 생산비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따져 협상을 통해 정합니다.

그 폭은 ±10%로 정해져있습니다.

[앵커]

보통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유는 조금 특이하네요.

[기자]

네, 낙농 산업의 특수성 때문인데요.

우유는 매일 일정량을 짜내야 하지만, 소비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합니다.

구제역 같은 병으로 젖소가 줄면 가격은 더 불안해지겠죠.

그러니까 농가를 보호하고, 우유 공급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물량과 가격을 묶어두니까 수요는 줄어서 원유는 남아도는데, 그래도 가격은 떨어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앵커]

그럼 어떻게 바꾸려는 건가요?

[기자]

일단, 할당제는 놔두더라도 가격 책정 방식을 좀 바꾸자는 건데요.

지금까지 마시는 '흰 우유'용과 치즈 등의 '가공용 우유'에 같은 값을 적용했는데, 앞으론 가공용 우유 가격을 낮추자는 겁니다.

이걸 '용도별 차등가격제'라고 하는데요.

유럽, 미국 등지의 원유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겠다는 겁니다.

[앵커]

가격이 깎이면 농가 입장에선 불만이 클 수밖에 없겠네요.

[기자]

네, 정부는 일단 전체 할당량의 5%만 가공유로 분류하자고 제안했지만, 이 비중을 단계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낙농가는 수익이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는 만큼 협상 막판까지 이걸 양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이죠.

또 최근 사료값 인상 등으로 낙농가의 사정도 썩 좋지 않거든요.

낙농 농가의 평균 부채는 2년 동안 40% 가까이 늘었고, 220곳이 넘게 문을 닫았습니다.

남은 젖소는 39만 7천여 마리, 11년 전 구제역 파동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게 낙농협회 조사 결과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공용 우유를 800원으로 낮추면, 더는 낙농이 어렵다는 겁니다.

[앵커]

이렇게 반발이 상당한데, 실제로 공급 거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불씨가 남아있긴 하지만, 물밑에서 의견을 계속해서 교환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1일, 시한이 넘어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우유 대란까지 이어질 가능성, 현재로선 낮아 보입니다.

만약 제도 개선에 합의가 되면 곧바로 가격 인상도 이어질 텐데, 올해 원윳값, 음용유일 수도 있지만 1리터에 최대 58원 오른 1,160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우유는 물론, 우유가 들어간 빵, 아이스크림, 커피 가격을 줄줄이 끌어올릴 수 있어 인상폭을 두고 팽팽한 기싸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