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자산’ 금시장 거래량 사상 최고

입력 2022.07.26 (19:08) 수정 2022.07.26 (20: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식이나 가상 자산 대신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이 최근 다시 주목받으며 거래량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유와 올바른 투자법을 김계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금은방에서 3.75g 한 돈짜리가 30만원을 넘다 보니 반 돈 짜리 돌반지를 찾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금은방 직원/음성변조 : "돌 (반지)은 한 돈 하는데 돌 같은 경우도 가족이나 친한 친구 이럴때만 한 돈이고, 그게 아니면 반 돈 해주고요."]

실제 금 시세는 몇 년 동안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9년 말 g당 5만 6천원 대에서 올 3월 7만 8천원까지 40% 정도 올랐다가 최근 조금 떨어져 30% 정도 오른 7만 2천원 선입니다.

한국거래소를 통해 주식처럼 거래되는 금 시장의 금 거래량도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한국거래소를 통해 거래된 일 평균 금 거래량은 111.7kg.

3년 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전쟁에다 미국 경기침체, 세계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으로 수요가 몰리기 때문입니다.

[김대성/한국거래소 금시장팀 수석 : "(주식 등은 수수료나 세금으로) 매매차익에서 큰 폭이 아니면 그다지 큰 이득이 없는데 저희 금 시장은 모든 금융소득이 비과세 되기 때문에 그만큼 혜택이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 자산'이라고 해도 성급한 투자는 위험하긴 마찬가지.

일반적으로 금 시세와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가 최근 오르고 있는데다, 국제 금 선물 가격은 하락하고 있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대성/한국거래소 금시장팀 수석 : "포트폴리오(분산투자계획)를 투자자들이 짜서 그 범주 안에서 10%면 10%, 20%면 20% 안에 금이라는 안전 자산을 투자를 해서 좀더 수익률을 높여 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 국내 금 시세는 달러 환율의 영향을 받는 만큼 환율이 낮을 때 사고, 환율이 높을 때 파는 것이 유리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전 자산’ 금시장 거래량 사상 최고
    • 입력 2022-07-26 19:08:45
    • 수정2022-07-26 20:13:17
    뉴스7(부산)
[앵커]

주식이나 가상 자산 대신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이 최근 다시 주목받으며 거래량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유와 올바른 투자법을 김계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금은방에서 3.75g 한 돈짜리가 30만원을 넘다 보니 반 돈 짜리 돌반지를 찾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금은방 직원/음성변조 : "돌 (반지)은 한 돈 하는데 돌 같은 경우도 가족이나 친한 친구 이럴때만 한 돈이고, 그게 아니면 반 돈 해주고요."]

실제 금 시세는 몇 년 동안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9년 말 g당 5만 6천원 대에서 올 3월 7만 8천원까지 40% 정도 올랐다가 최근 조금 떨어져 30% 정도 오른 7만 2천원 선입니다.

한국거래소를 통해 주식처럼 거래되는 금 시장의 금 거래량도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한국거래소를 통해 거래된 일 평균 금 거래량은 111.7kg.

3년 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전쟁에다 미국 경기침체, 세계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으로 수요가 몰리기 때문입니다.

[김대성/한국거래소 금시장팀 수석 : "(주식 등은 수수료나 세금으로) 매매차익에서 큰 폭이 아니면 그다지 큰 이득이 없는데 저희 금 시장은 모든 금융소득이 비과세 되기 때문에 그만큼 혜택이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 자산'이라고 해도 성급한 투자는 위험하긴 마찬가지.

일반적으로 금 시세와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가 최근 오르고 있는데다, 국제 금 선물 가격은 하락하고 있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대성/한국거래소 금시장팀 수석 : "포트폴리오(분산투자계획)를 투자자들이 짜서 그 범주 안에서 10%면 10%, 20%면 20% 안에 금이라는 안전 자산을 투자를 해서 좀더 수익률을 높여 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 국내 금 시세는 달러 환율의 영향을 받는 만큼 환율이 낮을 때 사고, 환율이 높을 때 파는 것이 유리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