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원주] 원주 관광 양대 축 ‘멈춰서나?’…간현·똬리굴 ‘위기’

입력 2022.07.27 (19:25) 수정 2022.07.27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원주입니다.

원창묵 전 원주시장 당시 간현관광지 조성 사업과 반곡-금대 똬리굴 개발 사업은 관광산업의 양대 축을 구성했습니다.

그런데, 원강수 시정이 출범하면서 이 두 가지 사업에 전부 제동이 걸리게 됐습니다.

강탁균 기자입니다.

[리포트]

폐선된 중앙선 옛 반곡역 앞.

54억 원이 투입된 2층짜리 관광열차가 이미 들어와 있습니다.

주차장 용지 매입을 위해 190억 원 규모의 지방채도 발행됐습니다.

200억 원 규모의 똬리굴 내부 시설물 조성 사업은 설계가 거의 끝나, 전체 공정률은 30% 정도.

하지만, 사업 인허가는 계속 지연되고 있습니다.

철도시설공단으로부터 폐철도 부지 매입도 아직이고, 환경부의 국립공원구역 변경 허가도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당초 지난해 말로 잡았던 준공시기도 2024년쯤으로 늦춰질 전망입니다.

새로 출범한 원강수 시정이 천억 원이 투입되는 똬리굴 사업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정상적인 추진 여부가 불투명해졌습니다.

[박영학/원주시 판부면 금대2리 이장 : "여기서 더 축소를 시키고 이러면은 그거는 뭐 안 하느니만 못하다, 이거죠. 아니 거기 가보니까 뭐 별거 아냐 이러면은 이미지만 더 나빠지고."]

사업비가 1,500억 원 넘게 투입된 소금산 간현 관광지.

투자 비용을 회수하려면, 매년 100만 명씩 방문해도 앞으로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현재는 케이블카용 캐빈 등 80억 원 규모의 자재 구입을 끝내는 등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상태.

하지만, 긴축 재정 기조에 따라 이 사업도 재검토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원주시 공무원/음성변조 : "인수위원회에서 주신 의견에 따라 향후 시민의 부담이 되지 않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사업을 세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원주시가 허리띠를 졸라 매겠다며, 강력한 구조조정 방침을 세웠지만, 적지 않을 매몰 비용 등을 고려하면 대대적인 사업 축소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강탁균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평창, ‘다함께 돌봄센터’ 대화점 개소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함께 돌봄센터'가 오늘(27일) 평창군 대화면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돌봄센터는 교육실과 놀이실, 보건실 등을 갖췄으며 돌봄교사들이 상주합니다.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간식비 등은 모두 군비로 지원됩니다.

봉평과 평창점에 이어 이번 대화점 개소로 평창의 돌봄센터는 3곳으로 늘었습니다.

‘제307회 횡성군의회 임시회’ 열려…군청 업무 보고

횡성군의회는 오늘(27일)부터 내일(28일)까지 제307회 임시회가 열립니다.

이번 회기엔 제9대 군의회 개원에 따라 군청 각 부서의 주요 업무계획 보고가 진행됩니다.

제9대 횡성군의회는 국민의힘 5명, 더불어민주당 2명 등 의원 7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원주] 원주 관광 양대 축 ‘멈춰서나?’…간현·똬리굴 ‘위기’
    • 입력 2022-07-27 19:25:03
    • 수정2022-07-27 19:51:30
    뉴스7(춘천)
[앵커]

원주입니다.

원창묵 전 원주시장 당시 간현관광지 조성 사업과 반곡-금대 똬리굴 개발 사업은 관광산업의 양대 축을 구성했습니다.

그런데, 원강수 시정이 출범하면서 이 두 가지 사업에 전부 제동이 걸리게 됐습니다.

강탁균 기자입니다.

[리포트]

폐선된 중앙선 옛 반곡역 앞.

54억 원이 투입된 2층짜리 관광열차가 이미 들어와 있습니다.

주차장 용지 매입을 위해 190억 원 규모의 지방채도 발행됐습니다.

200억 원 규모의 똬리굴 내부 시설물 조성 사업은 설계가 거의 끝나, 전체 공정률은 30% 정도.

하지만, 사업 인허가는 계속 지연되고 있습니다.

철도시설공단으로부터 폐철도 부지 매입도 아직이고, 환경부의 국립공원구역 변경 허가도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당초 지난해 말로 잡았던 준공시기도 2024년쯤으로 늦춰질 전망입니다.

새로 출범한 원강수 시정이 천억 원이 투입되는 똬리굴 사업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정상적인 추진 여부가 불투명해졌습니다.

[박영학/원주시 판부면 금대2리 이장 : "여기서 더 축소를 시키고 이러면은 그거는 뭐 안 하느니만 못하다, 이거죠. 아니 거기 가보니까 뭐 별거 아냐 이러면은 이미지만 더 나빠지고."]

사업비가 1,500억 원 넘게 투입된 소금산 간현 관광지.

투자 비용을 회수하려면, 매년 100만 명씩 방문해도 앞으로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현재는 케이블카용 캐빈 등 80억 원 규모의 자재 구입을 끝내는 등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상태.

하지만, 긴축 재정 기조에 따라 이 사업도 재검토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원주시 공무원/음성변조 : "인수위원회에서 주신 의견에 따라 향후 시민의 부담이 되지 않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사업을 세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원주시가 허리띠를 졸라 매겠다며, 강력한 구조조정 방침을 세웠지만, 적지 않을 매몰 비용 등을 고려하면 대대적인 사업 축소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강탁균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평창, ‘다함께 돌봄센터’ 대화점 개소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함께 돌봄센터'가 오늘(27일) 평창군 대화면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돌봄센터는 교육실과 놀이실, 보건실 등을 갖췄으며 돌봄교사들이 상주합니다.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간식비 등은 모두 군비로 지원됩니다.

봉평과 평창점에 이어 이번 대화점 개소로 평창의 돌봄센터는 3곳으로 늘었습니다.

‘제307회 횡성군의회 임시회’ 열려…군청 업무 보고

횡성군의회는 오늘(27일)부터 내일(28일)까지 제307회 임시회가 열립니다.

이번 회기엔 제9대 군의회 개원에 따라 군청 각 부서의 주요 업무계획 보고가 진행됩니다.

제9대 횡성군의회는 국민의힘 5명, 더불어민주당 2명 등 의원 7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