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와 생산 지표는 엇갈렸지만…“6월, 아직은 회복 추세”

입력 2022.07.29 (12:25) 수정 2022.07.29 (13: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우리 경제, 산업생산은 증가했지만 소비는 줄었습니다.

지표는 엇갈렸지만, 정부는 일단 6월까지는 우리 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서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우리 경제 전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6% 증가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도소매 교육 등 서비스업은 (0.3%) 감소했지만,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광공업이 성장(1.9%)했습니다.

이로써 산업생산은 5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

세부 항목별로 전자부품 생산은 감소(-14.4%)했지만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증가(4.2%)했고, 자동차 생산도 증가(7.4)했습니다.

다만, 소비는 소매판매 하락으로 0.9% 감소했습니다.

생산이 늘었던 자동차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운송 차질이나 계절적 요인 등으로 판매 측면에선 감소하는 등 내구재(2.3%) 판매 감소가 컸고 준내구재(0.9%)도 줄었습니다.

상품 판매가 줄면서 소비가 넉 달 연속 감소한 건데, 그러나 통계청은 부문별 차이를 강조했습니다.

상품은 주춤했어도 숙박음식점업은 전월 대비 1.7% 전년 동월대비 18.8% 느는 등 대면 서비스업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겁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 심의관 : "이번달은 약간 주춤한 부문도 있지만은 분기 전체로 보면은 지금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랬을 때 소비전체로 보면은 개선 흐름이 지금 이어지고 있다고 추정가능하다고 이제 저희는 보고 있는 것이죠."]

설비투자는 4.1% 늘었고 건설기성 투자는 2.0%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소비와 생산 지표가 엇갈리긴 했지만 '광공업 생산과 설비투자가 호조를 보이면서 아직까지는 경기가 회복 내지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고 본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오늘 열린 제3차 비상 경제차관 회의에서 정부가 '7월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하고 또 주요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가 경기에 부담이 된다'고 판단한 만큼 회복 흐름이 지속 될지는 불투명합니다.

KBS 뉴스 서영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양의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와 생산 지표는 엇갈렸지만…“6월, 아직은 회복 추세”
    • 입력 2022-07-29 12:25:05
    • 수정2022-07-29 13:02:57
    뉴스 12
[앵커]

지난달 우리 경제, 산업생산은 증가했지만 소비는 줄었습니다.

지표는 엇갈렸지만, 정부는 일단 6월까지는 우리 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서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우리 경제 전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6% 증가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도소매 교육 등 서비스업은 (0.3%) 감소했지만,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광공업이 성장(1.9%)했습니다.

이로써 산업생산은 5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

세부 항목별로 전자부품 생산은 감소(-14.4%)했지만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증가(4.2%)했고, 자동차 생산도 증가(7.4)했습니다.

다만, 소비는 소매판매 하락으로 0.9% 감소했습니다.

생산이 늘었던 자동차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운송 차질이나 계절적 요인 등으로 판매 측면에선 감소하는 등 내구재(2.3%) 판매 감소가 컸고 준내구재(0.9%)도 줄었습니다.

상품 판매가 줄면서 소비가 넉 달 연속 감소한 건데, 그러나 통계청은 부문별 차이를 강조했습니다.

상품은 주춤했어도 숙박음식점업은 전월 대비 1.7% 전년 동월대비 18.8% 느는 등 대면 서비스업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겁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 심의관 : "이번달은 약간 주춤한 부문도 있지만은 분기 전체로 보면은 지금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랬을 때 소비전체로 보면은 개선 흐름이 지금 이어지고 있다고 추정가능하다고 이제 저희는 보고 있는 것이죠."]

설비투자는 4.1% 늘었고 건설기성 투자는 2.0%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소비와 생산 지표가 엇갈리긴 했지만 '광공업 생산과 설비투자가 호조를 보이면서 아직까지는 경기가 회복 내지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고 본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오늘 열린 제3차 비상 경제차관 회의에서 정부가 '7월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하고 또 주요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가 경기에 부담이 된다'고 판단한 만큼 회복 흐름이 지속 될지는 불투명합니다.

KBS 뉴스 서영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양의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