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인사번복 징계’ 공지…행안부 ‘발끈’·“이래서 경찰국 필요”
입력 2022.07.30 (17:22)
수정 2022.07.30 (1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과 관련해 행정안전부에 파견된 치안정책관이 징계에 회부된 가운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치안정책관에게 인사 관련 지시를 했는지를 두고 경찰청과 행안부가 한때 엇박자를 냈습니다.
■ 경찰청 "장관 지시 받은 치안정책관이 확인 안 해"
경찰청은 오늘(30일)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 인사안 혼선은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은 치안정책관이 인사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비롯됐음이 확인됐다"며 "경찰청 인사·홍보 기능도 언론의 혼란 상황에서 내부 협의를 성실히 하지 않은 과오가 지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치안정책관에 대해선 국무총리 산하 인사혁신처의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했으며, 인사·홍보 담당관은 경고 처분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치안정책관과 인사담당관은 하반기 인사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행안부 '발끈'..."장관, 인사안 전달한 적 없다"
경찰청의 이같은 발표에 행정안전부는 발끈했습니다. 특히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았다'는 내용을 문제 삼았습니다.
행안부는 설명자료에서 "이상민 장관은 경찰 인사에 관해 경찰청에서 파견된 경무관(치안정책관)에게 도움을 받거나 서로 상의한 적 없고, 해당 경무관에게 인사안을 전달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당시 경찰청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해 행안부 장관은 전혀 알수 없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해당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내부 인력이 아니라 경찰청에서 파견돼 발생한 일이라며, "바로 이런 이유로 행안부 내 공식적·대외적으로 공개된 경찰 관련 지원 조직, 즉 '경찰국'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은 행안부 안에 경찰 고위직 인사 제청을 지원하는 조직 등이 없어, 경찰청이 기안해 벌어진 일이라는 설명입니다.
■ 경찰청, '행안부 설명이 맞다?'
이에 경찰청은 오늘 오후 다시 공지를 통해 "'행안부 장관의 지시는 인사를 차질 없도록 진행하라는 지시'였음을 의미한다"며 한발 물렀습니다.
이어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에서도 행안부 장관이 치안정책관과 인사안을 공유한 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청은 "따라서 치안정책관은 대통령실과 협의된 최종안을 확인했어야 함에도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혼선이 비롯되었다는 의미"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경찰청은 지난달 21일 치안정책관으로부터 치안감 보직 인사안을 받아 공개했다가 2시간 만에 번복했습니다. 초유의 사태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기문란"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찰청 "장관 지시 받은 치안정책관이 확인 안 해"
경찰청은 오늘(30일)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 인사안 혼선은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은 치안정책관이 인사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비롯됐음이 확인됐다"며 "경찰청 인사·홍보 기능도 언론의 혼란 상황에서 내부 협의를 성실히 하지 않은 과오가 지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치안정책관에 대해선 국무총리 산하 인사혁신처의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했으며, 인사·홍보 담당관은 경고 처분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치안정책관과 인사담당관은 하반기 인사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행안부 '발끈'..."장관, 인사안 전달한 적 없다"
경찰청의 이같은 발표에 행정안전부는 발끈했습니다. 특히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았다'는 내용을 문제 삼았습니다.
행안부는 설명자료에서 "이상민 장관은 경찰 인사에 관해 경찰청에서 파견된 경무관(치안정책관)에게 도움을 받거나 서로 상의한 적 없고, 해당 경무관에게 인사안을 전달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당시 경찰청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해 행안부 장관은 전혀 알수 없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해당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내부 인력이 아니라 경찰청에서 파견돼 발생한 일이라며, "바로 이런 이유로 행안부 내 공식적·대외적으로 공개된 경찰 관련 지원 조직, 즉 '경찰국'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은 행안부 안에 경찰 고위직 인사 제청을 지원하는 조직 등이 없어, 경찰청이 기안해 벌어진 일이라는 설명입니다.
■ 경찰청, '행안부 설명이 맞다?'
이에 경찰청은 오늘 오후 다시 공지를 통해 "'행안부 장관의 지시는 인사를 차질 없도록 진행하라는 지시'였음을 의미한다"며 한발 물렀습니다.
이어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에서도 행안부 장관이 치안정책관과 인사안을 공유한 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청은 "따라서 치안정책관은 대통령실과 협의된 최종안을 확인했어야 함에도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혼선이 비롯되었다는 의미"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경찰청은 지난달 21일 치안정책관으로부터 치안감 보직 인사안을 받아 공개했다가 2시간 만에 번복했습니다. 초유의 사태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기문란"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찰청 ‘인사번복 징계’ 공지…행안부 ‘발끈’·“이래서 경찰국 필요”
-
- 입력 2022-07-30 17:22:43
- 수정2022-07-30 17:29:32

경찰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과 관련해 행정안전부에 파견된 치안정책관이 징계에 회부된 가운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치안정책관에게 인사 관련 지시를 했는지를 두고 경찰청과 행안부가 한때 엇박자를 냈습니다.
■ 경찰청 "장관 지시 받은 치안정책관이 확인 안 해"
경찰청은 오늘(30일)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 인사안 혼선은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은 치안정책관이 인사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비롯됐음이 확인됐다"며 "경찰청 인사·홍보 기능도 언론의 혼란 상황에서 내부 협의를 성실히 하지 않은 과오가 지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치안정책관에 대해선 국무총리 산하 인사혁신처의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했으며, 인사·홍보 담당관은 경고 처분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치안정책관과 인사담당관은 하반기 인사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행안부 '발끈'..."장관, 인사안 전달한 적 없다"
경찰청의 이같은 발표에 행정안전부는 발끈했습니다. 특히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았다'는 내용을 문제 삼았습니다.
행안부는 설명자료에서 "이상민 장관은 경찰 인사에 관해 경찰청에서 파견된 경무관(치안정책관)에게 도움을 받거나 서로 상의한 적 없고, 해당 경무관에게 인사안을 전달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당시 경찰청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해 행안부 장관은 전혀 알수 없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해당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내부 인력이 아니라 경찰청에서 파견돼 발생한 일이라며, "바로 이런 이유로 행안부 내 공식적·대외적으로 공개된 경찰 관련 지원 조직, 즉 '경찰국'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은 행안부 안에 경찰 고위직 인사 제청을 지원하는 조직 등이 없어, 경찰청이 기안해 벌어진 일이라는 설명입니다.
■ 경찰청, '행안부 설명이 맞다?'
이에 경찰청은 오늘 오후 다시 공지를 통해 "'행안부 장관의 지시는 인사를 차질 없도록 진행하라는 지시'였음을 의미한다"며 한발 물렀습니다.
이어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에서도 행안부 장관이 치안정책관과 인사안을 공유한 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청은 "따라서 치안정책관은 대통령실과 협의된 최종안을 확인했어야 함에도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혼선이 비롯되었다는 의미"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경찰청은 지난달 21일 치안정책관으로부터 치안감 보직 인사안을 받아 공개했다가 2시간 만에 번복했습니다. 초유의 사태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기문란"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찰청 "장관 지시 받은 치안정책관이 확인 안 해"
경찰청은 오늘(30일)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 인사안 혼선은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은 치안정책관이 인사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비롯됐음이 확인됐다"며 "경찰청 인사·홍보 기능도 언론의 혼란 상황에서 내부 협의를 성실히 하지 않은 과오가 지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치안정책관에 대해선 국무총리 산하 인사혁신처의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했으며, 인사·홍보 담당관은 경고 처분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치안정책관과 인사담당관은 하반기 인사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행안부 '발끈'..."장관, 인사안 전달한 적 없다"
경찰청의 이같은 발표에 행정안전부는 발끈했습니다. 특히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장관 지시를 받았다'는 내용을 문제 삼았습니다.
행안부는 설명자료에서 "이상민 장관은 경찰 인사에 관해 경찰청에서 파견된 경무관(치안정책관)에게 도움을 받거나 서로 상의한 적 없고, 해당 경무관에게 인사안을 전달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당시 경찰청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해 행안부 장관은 전혀 알수 없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해당 치안정책관이 행안부 내부 인력이 아니라 경찰청에서 파견돼 발생한 일이라며, "바로 이런 이유로 행안부 내 공식적·대외적으로 공개된 경찰 관련 지원 조직, 즉 '경찰국'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은 행안부 안에 경찰 고위직 인사 제청을 지원하는 조직 등이 없어, 경찰청이 기안해 벌어진 일이라는 설명입니다.
■ 경찰청, '행안부 설명이 맞다?'
이에 경찰청은 오늘 오후 다시 공지를 통해 "'행안부 장관의 지시는 인사를 차질 없도록 진행하라는 지시'였음을 의미한다"며 한발 물렀습니다.
이어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에서도 행안부 장관이 치안정책관과 인사안을 공유한 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청은 "따라서 치안정책관은 대통령실과 협의된 최종안을 확인했어야 함에도 최종안 확인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서 혼선이 비롯되었다는 의미"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경찰청은 지난달 21일 치안정책관으로부터 치안감 보직 인사안을 받아 공개했다가 2시간 만에 번복했습니다. 초유의 사태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기문란"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정성호 기자 andreas@kbs.co.kr
정성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