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물가 6.3%↑, 외환위기 이후 최고…“폭염에 전기요금 걱정”

입력 2022.08.02 (21:20) 수정 2022.08.03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물가 상황 살펴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6.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환위기 이후 최대 상승폭을 두 달 연속 갈아치웠는데, 외식물가는 물론 전기와 가스같은 공공요금이 크게 올랐습니다.

먼저 이세중 기잡니다.

[리포트]

컴퓨터 100대가 놓인 피시방.

기기에서 나오는 열을 식혀야 하는 데다 폭염에 냉방은 필수입니다.

이 피시방은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 무인으로 운영 중인데요.

전기료까지 부담되며 이렇게 한쪽 공간은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보통 매출의 20%를 전기료로 냈는데, 지난달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임수택/피시방 운영 : "손님이 있는 자리만 에어컨을 켜놓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버티다 버티다 지금 한계상황인데 전기세까지 올라버리면 지금 어떻게 해야 될지 감을 못 잡고 있어요."]

실제로 지난달 전기·가스 요금은 1년 전보다 18% 넘게 급등했는데, 특히 전기요금은 30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여기에 여름 휴가철을 맞아 야외 활동이 늘고, 식자재값까지 급등하며 외식 물가는 8% 넘게 뛰었습니다.

가공식품과 석유류 역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6.3% 오르며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두 달 연속 6%대 상승률을 보인 겁니다.

그나마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국내 기름값 상승 폭이 둔화된 게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국제유가 급등 등 우리 물가상승을 주도했던 대외적 요인들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고요."]

그러나 오는 10월 또다시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예정된데다, 장마와 폭염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도 들썩이고 있어 불안요인은 여전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월 물가 6.3%↑, 외환위기 이후 최고…“폭염에 전기요금 걱정”
    • 입력 2022-08-02 21:20:51
    • 수정2022-08-03 07:57:13
    뉴스 9
[앵커]

물가 상황 살펴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6.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환위기 이후 최대 상승폭을 두 달 연속 갈아치웠는데, 외식물가는 물론 전기와 가스같은 공공요금이 크게 올랐습니다.

먼저 이세중 기잡니다.

[리포트]

컴퓨터 100대가 놓인 피시방.

기기에서 나오는 열을 식혀야 하는 데다 폭염에 냉방은 필수입니다.

이 피시방은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 무인으로 운영 중인데요.

전기료까지 부담되며 이렇게 한쪽 공간은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보통 매출의 20%를 전기료로 냈는데, 지난달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임수택/피시방 운영 : "손님이 있는 자리만 에어컨을 켜놓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버티다 버티다 지금 한계상황인데 전기세까지 올라버리면 지금 어떻게 해야 될지 감을 못 잡고 있어요."]

실제로 지난달 전기·가스 요금은 1년 전보다 18% 넘게 급등했는데, 특히 전기요금은 30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여기에 여름 휴가철을 맞아 야외 활동이 늘고, 식자재값까지 급등하며 외식 물가는 8% 넘게 뛰었습니다.

가공식품과 석유류 역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6.3% 오르며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두 달 연속 6%대 상승률을 보인 겁니다.

그나마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국내 기름값 상승 폭이 둔화된 게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국제유가 급등 등 우리 물가상승을 주도했던 대외적 요인들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고요."]

그러나 오는 10월 또다시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예정된데다, 장마와 폭염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도 들썩이고 있어 불안요인은 여전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