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공격 러시아 무기에 미국·유럽·아시아 부품 사용”

입력 2022.08.09 (05:21) 수정 2022.08.09 (05: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사용한 무기에 미국, 유럽, 아시아 기업에서 만든 반도체 등 부품이 쓰였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는 우크라이나에서 회수한 러시아 무기 일부를 조사한 결과를 담아 현지시각 8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RUSI는 로이터 통신과 협업해 러시아 무기와 군용품 등 27개를 뜯어 분석해보니 최소 450개의 부품이 외국에서 생산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기업이 만든 부품이 317개로 가장 많았고 일본 34개, 타이완 30개, 스위스 18개, 네덜란드 14개, 독일 11개, 중국 6개, 한국 6개, 영국 5개, 오스트리아 2개 순으로 그 뒤를 따랐습니다.

러시아군이 사용한 무선통신장비에는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국 기업이 만든 위상동기회로(PLL) 실리콘게이트가 담겨 있었습니다.

다만, RUSI는 "유명한 서구와 아시아 기업 로고가 박힌 부품이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무기별로 보면 러시아의 최신 무기인 9M727 순항미사일에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 사이프러스 세미컨덕터 등이 만든 부품이 들어있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도시 곳곳을 타격한 Kh-101 순항 미사일에서도 인텔, 자일링스 등이 생산한 부품 31개가 발견됐습니다.

러시아 무기에 들어간 부품을 생산한 기업들은 각국 정부가 부과하는 제재를 준수하고 있으며 러시아로 제품 수출을 중단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로이터가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RUSI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크라 공격 러시아 무기에 미국·유럽·아시아 부품 사용”
    • 입력 2022-08-09 05:21:16
    • 수정2022-08-09 05:23:53
    국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사용한 무기에 미국, 유럽, 아시아 기업에서 만든 반도체 등 부품이 쓰였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는 우크라이나에서 회수한 러시아 무기 일부를 조사한 결과를 담아 현지시각 8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RUSI는 로이터 통신과 협업해 러시아 무기와 군용품 등 27개를 뜯어 분석해보니 최소 450개의 부품이 외국에서 생산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기업이 만든 부품이 317개로 가장 많았고 일본 34개, 타이완 30개, 스위스 18개, 네덜란드 14개, 독일 11개, 중국 6개, 한국 6개, 영국 5개, 오스트리아 2개 순으로 그 뒤를 따랐습니다.

러시아군이 사용한 무선통신장비에는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국 기업이 만든 위상동기회로(PLL) 실리콘게이트가 담겨 있었습니다.

다만, RUSI는 "유명한 서구와 아시아 기업 로고가 박힌 부품이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무기별로 보면 러시아의 최신 무기인 9M727 순항미사일에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 사이프러스 세미컨덕터 등이 만든 부품이 들어있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도시 곳곳을 타격한 Kh-101 순항 미사일에서도 인텔, 자일링스 등이 생산한 부품 31개가 발견됐습니다.

러시아 무기에 들어간 부품을 생산한 기업들은 각국 정부가 부과하는 제재를 준수하고 있으며 러시아로 제품 수출을 중단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로이터가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RUSI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