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영농 폐기물’ 몸살…“잘 버리고, 잘 수거해야”

입력 2022.08.09 (07:34) 수정 2022.08.09 (11: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농사를 짓다 보면 폐비닐과 농약병 같은 많은 쓰레기가 나오기 마련이죠.

제대로 버리지도, 치우지 않는 영농 폐기물 때문에 농촌 들녘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록빛 벼가 자라고 있는 논과 농막 사이, 폐비닐과 농기구 부품이 마구잡이로 쌓여 있습니다.

비닐하우스 옆에는 보온재로 쓰인 덮개와 쓰다 버린 고무관, 모종판 등이 뒤엉켜 있습니다.

[인근 농민/음성변조 : "스티로폼, 농약병 막 버려. 농약병 얼마 전에 막 쌓여있었어. 저쪽 사람들이 그래. 말은 안 하는데 우리가 치워 그냥…."]

농수로 주변엔 언제 버린지 알 수 없는 농자재가 가득한데, 수로를 막이 피해가 이만저만 아닙니다.

[인근 농민/음성변조 : "하우스까지 물이 들어와. 못 빠지니까 계속 차고 차고 해서 여기까지 들어와. 그래서 보험도 안 해준대."]

이 마을 공터에는 경운기와 농기계용 바퀴가 버려져 있습니다.

불과 백여 미터 거리에 영농 폐기물 수거장이 있지만, 있으나마나입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촌에는 다 노인 양반들 팔구십, 칠십, 팔십잡수신 양반들이 농사 짓잖아요. 걷는 것도 힘들지만, 치워야 하는데 안 치운다 그말이야."]

수거장에 버려진 폐기물을 제때 치우지 않는 것도 문제입니다.

[영농 폐기물 수거장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오래 됐어요. 여기 안 가져간지. 1년에 한두 번이나 가져가는가…."]

전라북도는 영농 폐기물 수거장을 확대하고, 수거 횟수도 늘릴 계획입니다.

[배주현/전라북도 환경보전과 자원순환팀장 : "500개 정도의 배출 시설이 있는데, 매년 100개 이상씩 확충을 해 나가고, 수거 주기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한해 전북에서 수거되는 영농 폐기물은 2만여 톤.

농민들은 스스로 쓰레기를 줄이고 제대로 버리는 노력이 함께 할 때 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킬 수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촌 ‘영농 폐기물’ 몸살…“잘 버리고, 잘 수거해야”
    • 입력 2022-08-09 07:34:52
    • 수정2022-08-09 11:22:08
    뉴스광장(전주)
[앵커]

농사를 짓다 보면 폐비닐과 농약병 같은 많은 쓰레기가 나오기 마련이죠.

제대로 버리지도, 치우지 않는 영농 폐기물 때문에 농촌 들녘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록빛 벼가 자라고 있는 논과 농막 사이, 폐비닐과 농기구 부품이 마구잡이로 쌓여 있습니다.

비닐하우스 옆에는 보온재로 쓰인 덮개와 쓰다 버린 고무관, 모종판 등이 뒤엉켜 있습니다.

[인근 농민/음성변조 : "스티로폼, 농약병 막 버려. 농약병 얼마 전에 막 쌓여있었어. 저쪽 사람들이 그래. 말은 안 하는데 우리가 치워 그냥…."]

농수로 주변엔 언제 버린지 알 수 없는 농자재가 가득한데, 수로를 막이 피해가 이만저만 아닙니다.

[인근 농민/음성변조 : "하우스까지 물이 들어와. 못 빠지니까 계속 차고 차고 해서 여기까지 들어와. 그래서 보험도 안 해준대."]

이 마을 공터에는 경운기와 농기계용 바퀴가 버려져 있습니다.

불과 백여 미터 거리에 영농 폐기물 수거장이 있지만, 있으나마나입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촌에는 다 노인 양반들 팔구십, 칠십, 팔십잡수신 양반들이 농사 짓잖아요. 걷는 것도 힘들지만, 치워야 하는데 안 치운다 그말이야."]

수거장에 버려진 폐기물을 제때 치우지 않는 것도 문제입니다.

[영농 폐기물 수거장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오래 됐어요. 여기 안 가져간지. 1년에 한두 번이나 가져가는가…."]

전라북도는 영농 폐기물 수거장을 확대하고, 수거 횟수도 늘릴 계획입니다.

[배주현/전라북도 환경보전과 자원순환팀장 : "500개 정도의 배출 시설이 있는데, 매년 100개 이상씩 확충을 해 나가고, 수거 주기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한해 전북에서 수거되는 영농 폐기물은 2만여 톤.

농민들은 스스로 쓰레기를 줄이고 제대로 버리는 노력이 함께 할 때 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킬 수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