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간 북 제작 장인,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 된다

입력 2022.08.09 (11:20) 수정 2022.08.09 (14: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북 제작 기술을 익히며 전통을 이어온 장인 2명이 국가무형문화재가 됩니다.

문화재청은 윤종국 씨와 임선빈 씨를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북 제작 보유자로 인정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악기장은 전통 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을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핵심 기능 및 예능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편경 제작 등으로 나뉩니다.

이번에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윤종국 씨는 증조부 때부터 4대째 북 제작의 전통을 이어온 장인입니다.

국가무형문화재 북 제작 보유자였던 부친 고(故) 윤덕진 씨로부터 기법을 전수 받아 40여 년 동안 북 메우기(북통에 가죽을 씌우는 일) 기술을 연마했고 1995년 북 제작 전승교육사로 인정받았습니다.

1999년 '경기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받은 임선빈 씨는 60여 년간 북을 제작하는 데 한 길을 걸었습니다.

특히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 개회식에서 사용한 대고(大鼓·나무나 금속으로 된 테에 가죽을 메우고 방망이로 쳐서 소리를 내는 북)를 제작한 것으로 잘 알려졌습니다.

현재 악기장 보유자는 북 제작 1인, 현악기 제작 1인, 편종·편경 제작 1인 등 총 3명입니다.

문화재청은 두 사람에 대해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들의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십 년간 북 제작 장인,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 된다
    • 입력 2022-08-09 11:20:01
    • 수정2022-08-09 14:37:50
    문화
수십 년 동안 북 제작 기술을 익히며 전통을 이어온 장인 2명이 국가무형문화재가 됩니다.

문화재청은 윤종국 씨와 임선빈 씨를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북 제작 보유자로 인정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악기장은 전통 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을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핵심 기능 및 예능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편경 제작 등으로 나뉩니다.

이번에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윤종국 씨는 증조부 때부터 4대째 북 제작의 전통을 이어온 장인입니다.

국가무형문화재 북 제작 보유자였던 부친 고(故) 윤덕진 씨로부터 기법을 전수 받아 40여 년 동안 북 메우기(북통에 가죽을 씌우는 일) 기술을 연마했고 1995년 북 제작 전승교육사로 인정받았습니다.

1999년 '경기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받은 임선빈 씨는 60여 년간 북을 제작하는 데 한 길을 걸었습니다.

특히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 개회식에서 사용한 대고(大鼓·나무나 금속으로 된 테에 가죽을 메우고 방망이로 쳐서 소리를 내는 북)를 제작한 것으로 잘 알려졌습니다.

현재 악기장 보유자는 북 제작 1인, 현악기 제작 1인, 편종·편경 제작 1인 등 총 3명입니다.

문화재청은 두 사람에 대해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들의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