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동상, 철거는 커녕 ‘알림 표지’도 어려워
입력 2022.08.15 (21:35)
수정 2022.08.15 (2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국 곳곳에는 '친일 인사'의 동상이 남아있습니다.
대부분 친일 내용은 빼고, 업적이나 좋은 이미지만 강조하고 있죠.
친일 행적을 적은 표지, 이른바 '단죄문'을 세우려는 시도가 있긴 한데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정해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원에 자리 잡은 난파 홍영후의 동상입니다.
["나의 살던 고향은."]
친숙한 노래의 작곡가, 홍난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그는, 일제 침략을 미화하는 곡도 여럿 만들었는데, 그런 행적을 아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김백훈/수원시 권선구 : "유명 인물 기념하는 동상 이런 거 아닐까?"]
[주미경/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 아 그래요? 친일파라는 거 처음 들은 것 같아요."]
지난해 그 옆으로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동상은 못 없애더라도, 적어도 '정확한 정보'는 알리자는 취지였습니다.
[조성순/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라고 생각하면, 거의 다 속속들이 우리 국민들이 알았으면..."]
친일 동상 등 잔재가 남은 장소는 경기도에만 161곳.
그 중 10곳에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그것도 어렵게 세운 겁니다.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로 알려진 해평 윤 씨 가옥.
윤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윤치소와 당숙 윤치호 등 친일 인사 4명이 살았던 곳입니다.
시설은 보존하더라도 친일 행적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우자고 도의회가 권고까지 했지만, 지역 여론의 반대에 막혀 있습니다.
[아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친일과 관련된 내용들을 적게 해버리면 마을의 이미지가 많이 훼손이 될 거를 걱정하시는..."]
조선총독부에서 중추원 참의를 지낸 박필병도, 이 국립대 캠퍼스 안에서는 그저 '설립자'로만 칭송될 뿐입니다.
[조혜진/한경대 재학생 : "(친일 행적을) 안내문에 솔직하게 써놓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고. 인정을 하고, 반성하는 거잖아요."]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친일했던 분들의 활동을 소상히 알리고 객관적으로 알리는 것이 앞으로 미래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분란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다고 봐요."]
친일 인사 동상이 전국에 얼마나 있는지, 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한번도,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민준 서다은 최하운
전국 곳곳에는 '친일 인사'의 동상이 남아있습니다.
대부분 친일 내용은 빼고, 업적이나 좋은 이미지만 강조하고 있죠.
친일 행적을 적은 표지, 이른바 '단죄문'을 세우려는 시도가 있긴 한데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정해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원에 자리 잡은 난파 홍영후의 동상입니다.
["나의 살던 고향은."]
친숙한 노래의 작곡가, 홍난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그는, 일제 침략을 미화하는 곡도 여럿 만들었는데, 그런 행적을 아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김백훈/수원시 권선구 : "유명 인물 기념하는 동상 이런 거 아닐까?"]
[주미경/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 아 그래요? 친일파라는 거 처음 들은 것 같아요."]
지난해 그 옆으로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동상은 못 없애더라도, 적어도 '정확한 정보'는 알리자는 취지였습니다.
[조성순/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라고 생각하면, 거의 다 속속들이 우리 국민들이 알았으면..."]
친일 동상 등 잔재가 남은 장소는 경기도에만 161곳.
그 중 10곳에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그것도 어렵게 세운 겁니다.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로 알려진 해평 윤 씨 가옥.
윤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윤치소와 당숙 윤치호 등 친일 인사 4명이 살았던 곳입니다.
시설은 보존하더라도 친일 행적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우자고 도의회가 권고까지 했지만, 지역 여론의 반대에 막혀 있습니다.
[아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친일과 관련된 내용들을 적게 해버리면 마을의 이미지가 많이 훼손이 될 거를 걱정하시는..."]
조선총독부에서 중추원 참의를 지낸 박필병도, 이 국립대 캠퍼스 안에서는 그저 '설립자'로만 칭송될 뿐입니다.
[조혜진/한경대 재학생 : "(친일 행적을) 안내문에 솔직하게 써놓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고. 인정을 하고, 반성하는 거잖아요."]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친일했던 분들의 활동을 소상히 알리고 객관적으로 알리는 것이 앞으로 미래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분란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다고 봐요."]
친일 인사 동상이 전국에 얼마나 있는지, 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한번도,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민준 서다은 최하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일 동상, 철거는 커녕 ‘알림 표지’도 어려워
-
- 입력 2022-08-15 21:35:19
- 수정2022-08-15 21:44:34
[앵커]
전국 곳곳에는 '친일 인사'의 동상이 남아있습니다.
대부분 친일 내용은 빼고, 업적이나 좋은 이미지만 강조하고 있죠.
친일 행적을 적은 표지, 이른바 '단죄문'을 세우려는 시도가 있긴 한데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정해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원에 자리 잡은 난파 홍영후의 동상입니다.
["나의 살던 고향은."]
친숙한 노래의 작곡가, 홍난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그는, 일제 침략을 미화하는 곡도 여럿 만들었는데, 그런 행적을 아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김백훈/수원시 권선구 : "유명 인물 기념하는 동상 이런 거 아닐까?"]
[주미경/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 아 그래요? 친일파라는 거 처음 들은 것 같아요."]
지난해 그 옆으로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동상은 못 없애더라도, 적어도 '정확한 정보'는 알리자는 취지였습니다.
[조성순/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라고 생각하면, 거의 다 속속들이 우리 국민들이 알았으면..."]
친일 동상 등 잔재가 남은 장소는 경기도에만 161곳.
그 중 10곳에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그것도 어렵게 세운 겁니다.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로 알려진 해평 윤 씨 가옥.
윤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윤치소와 당숙 윤치호 등 친일 인사 4명이 살았던 곳입니다.
시설은 보존하더라도 친일 행적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우자고 도의회가 권고까지 했지만, 지역 여론의 반대에 막혀 있습니다.
[아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친일과 관련된 내용들을 적게 해버리면 마을의 이미지가 많이 훼손이 될 거를 걱정하시는..."]
조선총독부에서 중추원 참의를 지낸 박필병도, 이 국립대 캠퍼스 안에서는 그저 '설립자'로만 칭송될 뿐입니다.
[조혜진/한경대 재학생 : "(친일 행적을) 안내문에 솔직하게 써놓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고. 인정을 하고, 반성하는 거잖아요."]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친일했던 분들의 활동을 소상히 알리고 객관적으로 알리는 것이 앞으로 미래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분란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다고 봐요."]
친일 인사 동상이 전국에 얼마나 있는지, 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한번도,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민준 서다은 최하운
전국 곳곳에는 '친일 인사'의 동상이 남아있습니다.
대부분 친일 내용은 빼고, 업적이나 좋은 이미지만 강조하고 있죠.
친일 행적을 적은 표지, 이른바 '단죄문'을 세우려는 시도가 있긴 한데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정해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원에 자리 잡은 난파 홍영후의 동상입니다.
["나의 살던 고향은."]
친숙한 노래의 작곡가, 홍난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그는, 일제 침략을 미화하는 곡도 여럿 만들었는데, 그런 행적을 아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김백훈/수원시 권선구 : "유명 인물 기념하는 동상 이런 거 아닐까?"]
[주미경/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 아 그래요? 친일파라는 거 처음 들은 것 같아요."]
지난해 그 옆으로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동상은 못 없애더라도, 적어도 '정확한 정보'는 알리자는 취지였습니다.
[조성순/수원시 권선구 : "친일파라고 생각하면, 거의 다 속속들이 우리 국민들이 알았으면..."]
친일 동상 등 잔재가 남은 장소는 경기도에만 161곳.
그 중 10곳에 '단죄문'이 세워졌습니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그것도 어렵게 세운 겁니다.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로 알려진 해평 윤 씨 가옥.
윤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윤치소와 당숙 윤치호 등 친일 인사 4명이 살았던 곳입니다.
시설은 보존하더라도 친일 행적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우자고 도의회가 권고까지 했지만, 지역 여론의 반대에 막혀 있습니다.
[아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친일과 관련된 내용들을 적게 해버리면 마을의 이미지가 많이 훼손이 될 거를 걱정하시는..."]
조선총독부에서 중추원 참의를 지낸 박필병도, 이 국립대 캠퍼스 안에서는 그저 '설립자'로만 칭송될 뿐입니다.
[조혜진/한경대 재학생 : "(친일 행적을) 안내문에 솔직하게 써놓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고. 인정을 하고, 반성하는 거잖아요."]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친일했던 분들의 활동을 소상히 알리고 객관적으로 알리는 것이 앞으로 미래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분란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다고 봐요."]
친일 인사 동상이 전국에 얼마나 있는지, 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한번도,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촬영기자:김민준 서다은 최하운
-
-
정해주 기자 seyo@kbs.co.kr
정해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