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美 대통령 신뢰도…트럼프 17%→바이든 70% 급상승
입력 2022.08.16 (04:17)
수정 2022.08.16 (0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 대통령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도가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올해 1분기 미국의 17개 우호국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해 지난달 말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한국 국민의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2022년 기준 70%로 취임 첫해인 2021년 67%보다 3%p 상승했습니다.
이는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증액을 요구하며 주한미군 철수 위협까지 하는 등 동맹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때보다 급상승한 것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한국 국민의 신뢰도는 취임 첫해인 2017년 17%에서 시작해 2018년 44%, 2019년 46%로 올랐지만, 임기 마지막 해인 2020년 또다시 17%로 떨어졌습니다.
올해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폴란드가 가장 높았고 한국은 2위에 올랐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중간값은 60%였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17개국 중 작년과 비교할 자료가 없는 3개국을 제외한 14개국 중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오른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는 점입니다.
미국에 대한 호감도 역시 한국은 89%로 폴란드(9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한국 국민의 대미 호감도는 작년 대비 12%포인트 올랐는데, 상승 폭 기준으로는 한국이 17개국 중 가장 컸습니다.
미국을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 보느냐는 문항에서 한국민은 전년보다 무려 25%포인트 증가한 8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대답해 중간값(79%)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미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올해 1분기 미국의 17개 우호국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해 지난달 말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한국 국민의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2022년 기준 70%로 취임 첫해인 2021년 67%보다 3%p 상승했습니다.
이는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증액을 요구하며 주한미군 철수 위협까지 하는 등 동맹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때보다 급상승한 것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한국 국민의 신뢰도는 취임 첫해인 2017년 17%에서 시작해 2018년 44%, 2019년 46%로 올랐지만, 임기 마지막 해인 2020년 또다시 17%로 떨어졌습니다.
올해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폴란드가 가장 높았고 한국은 2위에 올랐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중간값은 60%였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17개국 중 작년과 비교할 자료가 없는 3개국을 제외한 14개국 중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오른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는 점입니다.
미국에 대한 호감도 역시 한국은 89%로 폴란드(9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한국 국민의 대미 호감도는 작년 대비 12%포인트 올랐는데, 상승 폭 기준으로는 한국이 17개국 중 가장 컸습니다.
미국을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 보느냐는 문항에서 한국민은 전년보다 무려 25%포인트 증가한 8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대답해 중간값(79%)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인, 美 대통령 신뢰도…트럼프 17%→바이든 70% 급상승
-
- 입력 2022-08-16 04:17:04
- 수정2022-08-16 06:51:00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 대통령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도가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올해 1분기 미국의 17개 우호국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해 지난달 말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한국 국민의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2022년 기준 70%로 취임 첫해인 2021년 67%보다 3%p 상승했습니다.
이는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증액을 요구하며 주한미군 철수 위협까지 하는 등 동맹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때보다 급상승한 것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한국 국민의 신뢰도는 취임 첫해인 2017년 17%에서 시작해 2018년 44%, 2019년 46%로 올랐지만, 임기 마지막 해인 2020년 또다시 17%로 떨어졌습니다.
올해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폴란드가 가장 높았고 한국은 2위에 올랐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중간값은 60%였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17개국 중 작년과 비교할 자료가 없는 3개국을 제외한 14개국 중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오른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는 점입니다.
미국에 대한 호감도 역시 한국은 89%로 폴란드(9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한국 국민의 대미 호감도는 작년 대비 12%포인트 올랐는데, 상승 폭 기준으로는 한국이 17개국 중 가장 컸습니다.
미국을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 보느냐는 문항에서 한국민은 전년보다 무려 25%포인트 증가한 8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대답해 중간값(79%)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미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올해 1분기 미국의 17개 우호국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해 지난달 말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한국 국민의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2022년 기준 70%로 취임 첫해인 2021년 67%보다 3%p 상승했습니다.
이는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증액을 요구하며 주한미군 철수 위협까지 하는 등 동맹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때보다 급상승한 것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한국 국민의 신뢰도는 취임 첫해인 2017년 17%에서 시작해 2018년 44%, 2019년 46%로 올랐지만, 임기 마지막 해인 2020년 또다시 17%로 떨어졌습니다.
올해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폴란드가 가장 높았고 한국은 2위에 올랐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중간값은 60%였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17개국 중 작년과 비교할 자료가 없는 3개국을 제외한 14개국 중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오른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는 점입니다.
미국에 대한 호감도 역시 한국은 89%로 폴란드(9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한국 국민의 대미 호감도는 작년 대비 12%포인트 올랐는데, 상승 폭 기준으로는 한국이 17개국 중 가장 컸습니다.
미국을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 보느냐는 문항에서 한국민은 전년보다 무려 25%포인트 증가한 8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대답해 중간값(79%)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박희봉 기자 thankyou@kbs.co.kr
박희봉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