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조사 하고도 일제 잔재 청산에는 늑장

입력 2022.08.16 (21:48) 수정 2022.08.16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복절을 맞아, 친일 잔재 실태를 살펴보는 연속 기획입니다.

어제는 광복 7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곳곳에 적지 않은 일제 잔재가 남아 있는 실태 전해드렸는데요.

정작 자치단체는 이를 알고도 청산에 늑장입니다.

이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 시내 한 도심 공원입니다.

산책로 한편에 '천지신단'이라 새겨진 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바로 옆 유래비에는, "80여 년 전부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빌기 위해, 매년 제사를 지내온 비"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지신단비는 일제 강점기, 미신 타파와 농촌 진흥을 이유로 강요했던, 식민지 사상 통제 정책의 하나였습니다.

2년 전, 일제 조사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도 안내문조차 세우지 않았습니다.

[시민/음성변조 : "이 지역의 열사들 민족 운동하신 분들 비석 아닌가요?"]

이뿐 아닙니다.

충청북도가 조사를 통해 확인한 일제 잔재물 31곳 가운데 안내문 설치 등 후속 조치가 이뤄진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이상식/전 충북도의원 : "과거 청산 그리고 계승 이런 것들에 대해서 방관자적인 자세를 취했던 것이 사실이고요. 도의회가 선도적으로 추동해내서 연구, 조사, 조례까지 제정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일제 잔재 청산은, 단순히 '철거'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제 잔재물이 갖는 사회·역사·문화적 가치를 살펴 처분 방식을 두고, 우리 사회가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말합니다.

문화재적 가치를 살펴 보존하거나, '단죄비'와 같이, 일제 잔재임을 알리는 안내판 설치, 그리고 철거 등 다양한 방안을 포괄합니다.

하지만, 대대적인 기초 조사에도 후속 조치는 여전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장기영/광복회 충청북도지부장 : "엄청 오래된 것처럼 잊혀져가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우리 아버지 어머니, 또는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 때지, 엄청 오래된 역사가 아니에요."]

'충청북도 일제 잔재 발굴 및 교육에 관한 조례'는, 지사가 일제 잔재물을 발굴과 관리, 역사 교육 활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만영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오은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초 조사 하고도 일제 잔재 청산에는 늑장
    • 입력 2022-08-16 21:48:42
    • 수정2022-08-16 22:04:17
    뉴스9(청주)
[앵커]

광복절을 맞아, 친일 잔재 실태를 살펴보는 연속 기획입니다.

어제는 광복 7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곳곳에 적지 않은 일제 잔재가 남아 있는 실태 전해드렸는데요.

정작 자치단체는 이를 알고도 청산에 늑장입니다.

이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 시내 한 도심 공원입니다.

산책로 한편에 '천지신단'이라 새겨진 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바로 옆 유래비에는, "80여 년 전부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빌기 위해, 매년 제사를 지내온 비"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지신단비는 일제 강점기, 미신 타파와 농촌 진흥을 이유로 강요했던, 식민지 사상 통제 정책의 하나였습니다.

2년 전, 일제 조사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도 안내문조차 세우지 않았습니다.

[시민/음성변조 : "이 지역의 열사들 민족 운동하신 분들 비석 아닌가요?"]

이뿐 아닙니다.

충청북도가 조사를 통해 확인한 일제 잔재물 31곳 가운데 안내문 설치 등 후속 조치가 이뤄진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이상식/전 충북도의원 : "과거 청산 그리고 계승 이런 것들에 대해서 방관자적인 자세를 취했던 것이 사실이고요. 도의회가 선도적으로 추동해내서 연구, 조사, 조례까지 제정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일제 잔재 청산은, 단순히 '철거'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제 잔재물이 갖는 사회·역사·문화적 가치를 살펴 처분 방식을 두고, 우리 사회가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말합니다.

문화재적 가치를 살펴 보존하거나, '단죄비'와 같이, 일제 잔재임을 알리는 안내판 설치, 그리고 철거 등 다양한 방안을 포괄합니다.

하지만, 대대적인 기초 조사에도 후속 조치는 여전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장기영/광복회 충청북도지부장 : "엄청 오래된 것처럼 잊혀져가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우리 아버지 어머니, 또는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 때지, 엄청 오래된 역사가 아니에요."]

'충청북도 일제 잔재 발굴 및 교육에 관한 조례'는, 지사가 일제 잔재물을 발굴과 관리, 역사 교육 활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만영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오은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