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 관리 관행, 무관심에 사각지대 방치
입력 2022.08.19 (07:34)
수정 2022.08.19 (0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 개폐부터 청소까지 화물차 기사에게 떠맡긴 컨테이너 관리 문제, 보도해 드렸는데요.
기사 업무가 아니라는 규정까지 정해놓고도 누가 이 업무를 하는 게 맞는지, 현장에선 책임지지 않고, 당국은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추락하거나 미끄러지는 안전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화물차 기사 업무에서 빼놓은 컨테이너 문 개방.
하지만 컨테이너 검사 과정에서 기사들은 일상적으로 직접 문을 여닫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불량 컨테이너 '교체'와 '청소' 역시, 기사 업무가 아닌데도 관행이 돼 버렸습니다.
이렇게 더해진 업무 탓에 대기시간까지 길어져 보는 비용 손해와 각종 안전사고 위험, 모두 기사 몫입니다.
[화물차 기사 : "터미널에서 제재하는 모든 불이익은 (기사들이) 다 감수를 해야 하는데, 실제 터미널이나 선사가 해 줘야 하는 일에 대해선 우리가 항의해도 터미널이나 선사에선 시정 조치를 해 주는 경우는 없거든요."]
항만을 운영하는 터미널 운영사, 이런 문제를 알고 있지만 책임은 미룹니다.
선사와 계약한 컨테이너 관리업체에 검사장을 임대해 줬을 뿐이라는 겁니다.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음성변조 : "계약관계에서 컨테이너를 책임지고 있는 당사자(선사)가 그런 역할을 해야죠. 모든 터미널이 그런 컨테이너 관리, 청소, 청결 상태까지 책임을 맡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어요."]
하지만 정작 컨테이너 관리업체는 불량 컨테이너 수리를 맡다 검사 업무까지 떠맡은 상황이라며 자신들도 억울하다고 말합니다.
[컨테이너 관리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선사한테 (비용을) 달라 하니까 터미널에 가라 하고, 터미널에 달라 하니 선사의 업무라 하고. 그럼 (컨테이너) 문은 누가 열어야 하냐, 그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냐."]
상황이 이런데도 안전운임제를 시행하는 국토교통부는 문제 해결에 소극적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컨테이너) 청소하는 거랑 문 열게 하는 거랑 그런 걸 운수사업법으로 규정하기는 애매하고, 엄밀히 말하면 저희가 관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중대재해처벌법에 이어 항만안전특별법까지 시행되며 항만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은 커졌지만, 화물차 기사의 안전이 걸린 컨테이너 관리 문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문 개폐부터 청소까지 화물차 기사에게 떠맡긴 컨테이너 관리 문제, 보도해 드렸는데요.
기사 업무가 아니라는 규정까지 정해놓고도 누가 이 업무를 하는 게 맞는지, 현장에선 책임지지 않고, 당국은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추락하거나 미끄러지는 안전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화물차 기사 업무에서 빼놓은 컨테이너 문 개방.
하지만 컨테이너 검사 과정에서 기사들은 일상적으로 직접 문을 여닫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불량 컨테이너 '교체'와 '청소' 역시, 기사 업무가 아닌데도 관행이 돼 버렸습니다.
이렇게 더해진 업무 탓에 대기시간까지 길어져 보는 비용 손해와 각종 안전사고 위험, 모두 기사 몫입니다.
[화물차 기사 : "터미널에서 제재하는 모든 불이익은 (기사들이) 다 감수를 해야 하는데, 실제 터미널이나 선사가 해 줘야 하는 일에 대해선 우리가 항의해도 터미널이나 선사에선 시정 조치를 해 주는 경우는 없거든요."]
항만을 운영하는 터미널 운영사, 이런 문제를 알고 있지만 책임은 미룹니다.
선사와 계약한 컨테이너 관리업체에 검사장을 임대해 줬을 뿐이라는 겁니다.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음성변조 : "계약관계에서 컨테이너를 책임지고 있는 당사자(선사)가 그런 역할을 해야죠. 모든 터미널이 그런 컨테이너 관리, 청소, 청결 상태까지 책임을 맡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어요."]
하지만 정작 컨테이너 관리업체는 불량 컨테이너 수리를 맡다 검사 업무까지 떠맡은 상황이라며 자신들도 억울하다고 말합니다.
[컨테이너 관리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선사한테 (비용을) 달라 하니까 터미널에 가라 하고, 터미널에 달라 하니 선사의 업무라 하고. 그럼 (컨테이너) 문은 누가 열어야 하냐, 그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냐."]
상황이 이런데도 안전운임제를 시행하는 국토교통부는 문제 해결에 소극적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컨테이너) 청소하는 거랑 문 열게 하는 거랑 그런 걸 운수사업법으로 규정하기는 애매하고, 엄밀히 말하면 저희가 관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중대재해처벌법에 이어 항만안전특별법까지 시행되며 항만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은 커졌지만, 화물차 기사의 안전이 걸린 컨테이너 관리 문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컨’ 관리 관행, 무관심에 사각지대 방치
-
- 입력 2022-08-19 07:34:53
- 수정2022-08-19 08:37:53
[앵커]
문 개폐부터 청소까지 화물차 기사에게 떠맡긴 컨테이너 관리 문제, 보도해 드렸는데요.
기사 업무가 아니라는 규정까지 정해놓고도 누가 이 업무를 하는 게 맞는지, 현장에선 책임지지 않고, 당국은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추락하거나 미끄러지는 안전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화물차 기사 업무에서 빼놓은 컨테이너 문 개방.
하지만 컨테이너 검사 과정에서 기사들은 일상적으로 직접 문을 여닫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불량 컨테이너 '교체'와 '청소' 역시, 기사 업무가 아닌데도 관행이 돼 버렸습니다.
이렇게 더해진 업무 탓에 대기시간까지 길어져 보는 비용 손해와 각종 안전사고 위험, 모두 기사 몫입니다.
[화물차 기사 : "터미널에서 제재하는 모든 불이익은 (기사들이) 다 감수를 해야 하는데, 실제 터미널이나 선사가 해 줘야 하는 일에 대해선 우리가 항의해도 터미널이나 선사에선 시정 조치를 해 주는 경우는 없거든요."]
항만을 운영하는 터미널 운영사, 이런 문제를 알고 있지만 책임은 미룹니다.
선사와 계약한 컨테이너 관리업체에 검사장을 임대해 줬을 뿐이라는 겁니다.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음성변조 : "계약관계에서 컨테이너를 책임지고 있는 당사자(선사)가 그런 역할을 해야죠. 모든 터미널이 그런 컨테이너 관리, 청소, 청결 상태까지 책임을 맡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어요."]
하지만 정작 컨테이너 관리업체는 불량 컨테이너 수리를 맡다 검사 업무까지 떠맡은 상황이라며 자신들도 억울하다고 말합니다.
[컨테이너 관리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선사한테 (비용을) 달라 하니까 터미널에 가라 하고, 터미널에 달라 하니 선사의 업무라 하고. 그럼 (컨테이너) 문은 누가 열어야 하냐, 그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냐."]
상황이 이런데도 안전운임제를 시행하는 국토교통부는 문제 해결에 소극적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컨테이너) 청소하는 거랑 문 열게 하는 거랑 그런 걸 운수사업법으로 규정하기는 애매하고, 엄밀히 말하면 저희가 관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중대재해처벌법에 이어 항만안전특별법까지 시행되며 항만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은 커졌지만, 화물차 기사의 안전이 걸린 컨테이너 관리 문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문 개폐부터 청소까지 화물차 기사에게 떠맡긴 컨테이너 관리 문제, 보도해 드렸는데요.
기사 업무가 아니라는 규정까지 정해놓고도 누가 이 업무를 하는 게 맞는지, 현장에선 책임지지 않고, 당국은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추락하거나 미끄러지는 안전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화물차 기사 업무에서 빼놓은 컨테이너 문 개방.
하지만 컨테이너 검사 과정에서 기사들은 일상적으로 직접 문을 여닫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불량 컨테이너 '교체'와 '청소' 역시, 기사 업무가 아닌데도 관행이 돼 버렸습니다.
이렇게 더해진 업무 탓에 대기시간까지 길어져 보는 비용 손해와 각종 안전사고 위험, 모두 기사 몫입니다.
[화물차 기사 : "터미널에서 제재하는 모든 불이익은 (기사들이) 다 감수를 해야 하는데, 실제 터미널이나 선사가 해 줘야 하는 일에 대해선 우리가 항의해도 터미널이나 선사에선 시정 조치를 해 주는 경우는 없거든요."]
항만을 운영하는 터미널 운영사, 이런 문제를 알고 있지만 책임은 미룹니다.
선사와 계약한 컨테이너 관리업체에 검사장을 임대해 줬을 뿐이라는 겁니다.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음성변조 : "계약관계에서 컨테이너를 책임지고 있는 당사자(선사)가 그런 역할을 해야죠. 모든 터미널이 그런 컨테이너 관리, 청소, 청결 상태까지 책임을 맡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어요."]
하지만 정작 컨테이너 관리업체는 불량 컨테이너 수리를 맡다 검사 업무까지 떠맡은 상황이라며 자신들도 억울하다고 말합니다.
[컨테이너 관리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선사한테 (비용을) 달라 하니까 터미널에 가라 하고, 터미널에 달라 하니 선사의 업무라 하고. 그럼 (컨테이너) 문은 누가 열어야 하냐, 그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냐."]
상황이 이런데도 안전운임제를 시행하는 국토교통부는 문제 해결에 소극적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컨테이너) 청소하는 거랑 문 열게 하는 거랑 그런 걸 운수사업법으로 규정하기는 애매하고, 엄밀히 말하면 저희가 관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거든요."]
중대재해처벌법에 이어 항만안전특별법까지 시행되며 항만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은 커졌지만, 화물차 기사의 안전이 걸린 컨테이너 관리 문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
-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이이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