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하는 환율…물가·경기에 부담
입력 2022.08.22 (21:20)
수정 2022.08.22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그럼 여기서 환율 문제, 경제부 오수호 기자와 더 살펴보겠습니다.
오 기자, 달러와 비교한 환율이 우리 원화만 오른 건 아닌거죠?
[기자]
지금은 달러가 우리 원화는 물론 다른 국가의 통화보다 강세다, 그러니까 달러값이 비싸진 상탭니다.
지난달 29일과 비교하면 원·달러 환율이 3% 정도 올랐는데, 달러 인덱스라고 하죠,
유로화와 일본 엔 같은 주요 6개국 통화와 달러를 비교한 지수도 2% 이상 상승했습니다.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우리 시각 금요일 밤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만나 어떤 발언을 할지 관심인데, 그때까진 달러 강세 움직임은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어디까지 오를지, 예측치는 어떻습니까?
[기자]
환율 예측, 참 어려운데요.
시장에선 천4백 원을 넘을 거라는 관측도 있고요,
천350원 선에서 멈출 거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앵커]
결국 중요한 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일 텐데요.
[기자]
먼저 달러로는 같은 가격이더라도 국내로 들여올 땐 더 많은 원화를 줘야 하니까 수입물가가 오릅니다.
요즘 국제유가와 곡물 가격이 떨어지면서 물가가 안정될 거란 기대가 있었는데, 환율이 오르면 이런 효과가 상쇄됩니다.
추석 이후 9월 말이나 10월 초쯤이 정점일 거라고 봤는데, 이게 더 미뤄질 수 있습니다.
또 앞서 말씀드린 대로 달러화 대비로는 대부분 나라의 환율이 상승세여서 우리 수출 경쟁력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앵커]
목요일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고요.
기준금리를 또 올릴 가능성이 있는거죠?
[기자]
물가 때문에 기준금리 또 올릴 거라는 건 거의 확실하고요.
오르는 환율, 기준금리를 올릴 이유가 추가되는 거죠.
지금 한미 간 금리가 이미 역전돼 있죠,
이런 상황에서 다음 달 또 미국이 기준금리를 0.75%p 올릴 거란 전망이 나오거든요.
요즘처럼 달러 선호 심리가 강할 때 금리 격차가 크면 한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를 올리긴 올릴 텐데, 물가와 환율, 또 경기둔화 우려를 얼마나 고려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최창준
그럼 여기서 환율 문제, 경제부 오수호 기자와 더 살펴보겠습니다.
오 기자, 달러와 비교한 환율이 우리 원화만 오른 건 아닌거죠?
[기자]
지금은 달러가 우리 원화는 물론 다른 국가의 통화보다 강세다, 그러니까 달러값이 비싸진 상탭니다.
지난달 29일과 비교하면 원·달러 환율이 3% 정도 올랐는데, 달러 인덱스라고 하죠,
유로화와 일본 엔 같은 주요 6개국 통화와 달러를 비교한 지수도 2% 이상 상승했습니다.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우리 시각 금요일 밤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만나 어떤 발언을 할지 관심인데, 그때까진 달러 강세 움직임은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어디까지 오를지, 예측치는 어떻습니까?
[기자]
환율 예측, 참 어려운데요.
시장에선 천4백 원을 넘을 거라는 관측도 있고요,
천350원 선에서 멈출 거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앵커]
결국 중요한 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일 텐데요.
[기자]
먼저 달러로는 같은 가격이더라도 국내로 들여올 땐 더 많은 원화를 줘야 하니까 수입물가가 오릅니다.
요즘 국제유가와 곡물 가격이 떨어지면서 물가가 안정될 거란 기대가 있었는데, 환율이 오르면 이런 효과가 상쇄됩니다.
추석 이후 9월 말이나 10월 초쯤이 정점일 거라고 봤는데, 이게 더 미뤄질 수 있습니다.
또 앞서 말씀드린 대로 달러화 대비로는 대부분 나라의 환율이 상승세여서 우리 수출 경쟁력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앵커]
목요일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고요.
기준금리를 또 올릴 가능성이 있는거죠?
[기자]
물가 때문에 기준금리 또 올릴 거라는 건 거의 확실하고요.
오르는 환율, 기준금리를 올릴 이유가 추가되는 거죠.
지금 한미 간 금리가 이미 역전돼 있죠,
이런 상황에서 다음 달 또 미국이 기준금리를 0.75%p 올릴 거란 전망이 나오거든요.
요즘처럼 달러 선호 심리가 강할 때 금리 격차가 크면 한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를 올리긴 올릴 텐데, 물가와 환율, 또 경기둔화 우려를 얼마나 고려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급등하는 환율…물가·경기에 부담
-
- 입력 2022-08-22 21:20:10
- 수정2022-08-22 21:48:35

[앵커]
그럼 여기서 환율 문제, 경제부 오수호 기자와 더 살펴보겠습니다.
오 기자, 달러와 비교한 환율이 우리 원화만 오른 건 아닌거죠?
[기자]
지금은 달러가 우리 원화는 물론 다른 국가의 통화보다 강세다, 그러니까 달러값이 비싸진 상탭니다.
지난달 29일과 비교하면 원·달러 환율이 3% 정도 올랐는데, 달러 인덱스라고 하죠,
유로화와 일본 엔 같은 주요 6개국 통화와 달러를 비교한 지수도 2% 이상 상승했습니다.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우리 시각 금요일 밤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만나 어떤 발언을 할지 관심인데, 그때까진 달러 강세 움직임은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어디까지 오를지, 예측치는 어떻습니까?
[기자]
환율 예측, 참 어려운데요.
시장에선 천4백 원을 넘을 거라는 관측도 있고요,
천350원 선에서 멈출 거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앵커]
결국 중요한 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일 텐데요.
[기자]
먼저 달러로는 같은 가격이더라도 국내로 들여올 땐 더 많은 원화를 줘야 하니까 수입물가가 오릅니다.
요즘 국제유가와 곡물 가격이 떨어지면서 물가가 안정될 거란 기대가 있었는데, 환율이 오르면 이런 효과가 상쇄됩니다.
추석 이후 9월 말이나 10월 초쯤이 정점일 거라고 봤는데, 이게 더 미뤄질 수 있습니다.
또 앞서 말씀드린 대로 달러화 대비로는 대부분 나라의 환율이 상승세여서 우리 수출 경쟁력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앵커]
목요일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고요.
기준금리를 또 올릴 가능성이 있는거죠?
[기자]
물가 때문에 기준금리 또 올릴 거라는 건 거의 확실하고요.
오르는 환율, 기준금리를 올릴 이유가 추가되는 거죠.
지금 한미 간 금리가 이미 역전돼 있죠,
이런 상황에서 다음 달 또 미국이 기준금리를 0.75%p 올릴 거란 전망이 나오거든요.
요즘처럼 달러 선호 심리가 강할 때 금리 격차가 크면 한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를 올리긴 올릴 텐데, 물가와 환율, 또 경기둔화 우려를 얼마나 고려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최창준
그럼 여기서 환율 문제, 경제부 오수호 기자와 더 살펴보겠습니다.
오 기자, 달러와 비교한 환율이 우리 원화만 오른 건 아닌거죠?
[기자]
지금은 달러가 우리 원화는 물론 다른 국가의 통화보다 강세다, 그러니까 달러값이 비싸진 상탭니다.
지난달 29일과 비교하면 원·달러 환율이 3% 정도 올랐는데, 달러 인덱스라고 하죠,
유로화와 일본 엔 같은 주요 6개국 통화와 달러를 비교한 지수도 2% 이상 상승했습니다.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우리 시각 금요일 밤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만나 어떤 발언을 할지 관심인데, 그때까진 달러 강세 움직임은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어디까지 오를지, 예측치는 어떻습니까?
[기자]
환율 예측, 참 어려운데요.
시장에선 천4백 원을 넘을 거라는 관측도 있고요,
천350원 선에서 멈출 거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앵커]
결국 중요한 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일 텐데요.
[기자]
먼저 달러로는 같은 가격이더라도 국내로 들여올 땐 더 많은 원화를 줘야 하니까 수입물가가 오릅니다.
요즘 국제유가와 곡물 가격이 떨어지면서 물가가 안정될 거란 기대가 있었는데, 환율이 오르면 이런 효과가 상쇄됩니다.
추석 이후 9월 말이나 10월 초쯤이 정점일 거라고 봤는데, 이게 더 미뤄질 수 있습니다.
또 앞서 말씀드린 대로 달러화 대비로는 대부분 나라의 환율이 상승세여서 우리 수출 경쟁력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앵커]
목요일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고요.
기준금리를 또 올릴 가능성이 있는거죠?
[기자]
물가 때문에 기준금리 또 올릴 거라는 건 거의 확실하고요.
오르는 환율, 기준금리를 올릴 이유가 추가되는 거죠.
지금 한미 간 금리가 이미 역전돼 있죠,
이런 상황에서 다음 달 또 미국이 기준금리를 0.75%p 올릴 거란 전망이 나오거든요.
요즘처럼 달러 선호 심리가 강할 때 금리 격차가 크면 한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를 올리긴 올릴 텐데, 물가와 환율, 또 경기둔화 우려를 얼마나 고려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최창준
-
-
오수호 기자 oasis@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