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난 중국 쓰촨성, 수력발전 떨어지자 석탄화력 늘려
입력 2022.08.24 (09:47)
수정 2022.08.24 (0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쓰촨성이 가뭄에 따른 용수 부족으로 수력발전량이 크게 떨어지자, 석탄화력발전을 크게 늘렸다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쓰촨성의 67개 석탄화력발전소가 모두 가동돼 발전용량이 천275만㎾에 달했으며, 이는 쓰촨성 전체 발전용량의 25%를 차지했습니다.
여름철 만수기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최소 부하로 가동돼 통상 발전용량 점유율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15%포인트가량 치솟았다고 차이신은 설명했습니다.
쓰촨성은 전체 전력의 80% 가까이 수력발전에 의존해왔으나 전력난이 지속되면 석탄화력발전 의존율을 갈수록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는 2020년 8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2060년까지 중국을 탄소중립국으로 만들겠다며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 중단과 함께 석탄 채굴과 사용을 줄이겠다고 선언한 것과는 결이 다른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이신은 화력발전 증가로 쓰촨성의 석탄 사용이 늘면서 지난 19일부터 쓰촨성 광안시에 대규모 석탄 비축기지가 가동에 들어갔다고 소개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쓰촨성의 67개 석탄화력발전소가 모두 가동돼 발전용량이 천275만㎾에 달했으며, 이는 쓰촨성 전체 발전용량의 25%를 차지했습니다.
여름철 만수기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최소 부하로 가동돼 통상 발전용량 점유율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15%포인트가량 치솟았다고 차이신은 설명했습니다.
쓰촨성은 전체 전력의 80% 가까이 수력발전에 의존해왔으나 전력난이 지속되면 석탄화력발전 의존율을 갈수록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는 2020년 8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2060년까지 중국을 탄소중립국으로 만들겠다며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 중단과 함께 석탄 채굴과 사용을 줄이겠다고 선언한 것과는 결이 다른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이신은 화력발전 증가로 쓰촨성의 석탄 사용이 늘면서 지난 19일부터 쓰촨성 광안시에 대규모 석탄 비축기지가 가동에 들어갔다고 소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력난 중국 쓰촨성, 수력발전 떨어지자 석탄화력 늘려
-
- 입력 2022-08-24 09:47:57
- 수정2022-08-24 09:50:58

중국 쓰촨성이 가뭄에 따른 용수 부족으로 수력발전량이 크게 떨어지자, 석탄화력발전을 크게 늘렸다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쓰촨성의 67개 석탄화력발전소가 모두 가동돼 발전용량이 천275만㎾에 달했으며, 이는 쓰촨성 전체 발전용량의 25%를 차지했습니다.
여름철 만수기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최소 부하로 가동돼 통상 발전용량 점유율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15%포인트가량 치솟았다고 차이신은 설명했습니다.
쓰촨성은 전체 전력의 80% 가까이 수력발전에 의존해왔으나 전력난이 지속되면 석탄화력발전 의존율을 갈수록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는 2020년 8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2060년까지 중국을 탄소중립국으로 만들겠다며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 중단과 함께 석탄 채굴과 사용을 줄이겠다고 선언한 것과는 결이 다른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이신은 화력발전 증가로 쓰촨성의 석탄 사용이 늘면서 지난 19일부터 쓰촨성 광안시에 대규모 석탄 비축기지가 가동에 들어갔다고 소개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쓰촨성의 67개 석탄화력발전소가 모두 가동돼 발전용량이 천275만㎾에 달했으며, 이는 쓰촨성 전체 발전용량의 25%를 차지했습니다.
여름철 만수기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최소 부하로 가동돼 통상 발전용량 점유율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15%포인트가량 치솟았다고 차이신은 설명했습니다.
쓰촨성은 전체 전력의 80% 가까이 수력발전에 의존해왔으나 전력난이 지속되면 석탄화력발전 의존율을 갈수록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는 2020년 8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2060년까지 중국을 탄소중립국으로 만들겠다며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 중단과 함께 석탄 채굴과 사용을 줄이겠다고 선언한 것과는 결이 다른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이신은 화력발전 증가로 쓰촨성의 석탄 사용이 늘면서 지난 19일부터 쓰촨성 광안시에 대규모 석탄 비축기지가 가동에 들어갔다고 소개했습니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