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 옆에서 밥지어 먹어”…갈길 먼 경비원 노동인권

입력 2022.08.24 (10:07) 수정 2022.08.24 (11: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근무 환경이 비좁아 변기 옆에서 밥을 지어 먹는다면 어떨까요?

실제, 아파트 경비원들의 일상입니다.

특히 낡고 오래된 아파트들의 근무환경이 열악한데, 이런저런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사정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광주의 한 아파트 경비실.

화장실 변기 바로 옆에 냉장고와 전자레인지를 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 경비원 : "너무 충격이었죠. 그 변기통 있는 곳에서 (냉장고) 문을 열었다가 닫았다가 음식을 꺼냈다가 먹는데 진짜…."]

단지 내 다른 경비실, 전기밥솥을 두고 화장실에서 밥을 지어 먹고 있습니다.

반지하로 구불구불 난 통로를 따라가면 휴게시설이 나옵니다.

빈 공간에 커튼을 쳐 놓고 외부에서 호스로 물을 끌어와 샤워장으로 쓰고 있습니다.

따로 환풍시설도 없어 습하고 악취까지 풍깁니다.

[경비원 : "지하에는 원래 환풍기 없어요. 냉난방 시설은 없고, 선풍기 여러 개 대비, 준비시켜놓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근로자 휴게시설을 최소 6제곱미터 이상 확보하고, 18도에서 28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난방 시설과 환기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오래된 아파트나 규모가 작은 공동주택은 이를 지키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광주시는 2018년부터 시설 개선 사업비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4년간 153건으로 신청이 저조합니다.

아파트 입주민들이 시설개선비의 20%를 부담스러워 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겁니다.

이달 들어 휴게시설 설치 의무 시행령도 신설됐지만, 근로자 수로 정하는 대상 사업장을 두고 논란입니다.

[정찬호/광주시 비정규직지원센터장 : "하청 용역업체 소속 상시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거냐 아니면 그 아파트에 전부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를 모두 합했을 때 그것을 상시근로자 수로 하는 거냐…."]

아파트 경비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현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변기 옆에서 밥지어 먹어”…갈길 먼 경비원 노동인권
    • 입력 2022-08-24 10:07:36
    • 수정2022-08-24 11:20:00
    930뉴스(광주)
[앵커]

근무 환경이 비좁아 변기 옆에서 밥을 지어 먹는다면 어떨까요?

실제, 아파트 경비원들의 일상입니다.

특히 낡고 오래된 아파트들의 근무환경이 열악한데, 이런저런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사정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광주의 한 아파트 경비실.

화장실 변기 바로 옆에 냉장고와 전자레인지를 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 경비원 : "너무 충격이었죠. 그 변기통 있는 곳에서 (냉장고) 문을 열었다가 닫았다가 음식을 꺼냈다가 먹는데 진짜…."]

단지 내 다른 경비실, 전기밥솥을 두고 화장실에서 밥을 지어 먹고 있습니다.

반지하로 구불구불 난 통로를 따라가면 휴게시설이 나옵니다.

빈 공간에 커튼을 쳐 놓고 외부에서 호스로 물을 끌어와 샤워장으로 쓰고 있습니다.

따로 환풍시설도 없어 습하고 악취까지 풍깁니다.

[경비원 : "지하에는 원래 환풍기 없어요. 냉난방 시설은 없고, 선풍기 여러 개 대비, 준비시켜놓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근로자 휴게시설을 최소 6제곱미터 이상 확보하고, 18도에서 28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난방 시설과 환기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오래된 아파트나 규모가 작은 공동주택은 이를 지키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광주시는 2018년부터 시설 개선 사업비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4년간 153건으로 신청이 저조합니다.

아파트 입주민들이 시설개선비의 20%를 부담스러워 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겁니다.

이달 들어 휴게시설 설치 의무 시행령도 신설됐지만, 근로자 수로 정하는 대상 사업장을 두고 논란입니다.

[정찬호/광주시 비정규직지원센터장 : "하청 용역업체 소속 상시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거냐 아니면 그 아파트에 전부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를 모두 합했을 때 그것을 상시근로자 수로 하는 거냐…."]

아파트 경비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현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